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일(韓日)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에 관한 고찰

        신원기 한국국어교육학회 2008 새국어교육 Vol.0 No.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extended nose’ folktales in Korea and Japan. Therefore, I tried to arrange a outline of Korea's <Happiness which flies away(날아간 행복)> and Japan's <Gegorou which had become crucian carp(鮒になった源五郎, 붕어가 된 겐고로)>. After I observed the meaning of folktales with priority given to the outline, I realized that <Happiness which flies away>, which is Korea's ‘extended nose’ folktales, has meaning of the dis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earth, the realization of motives, the dis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heaven, the realization of horizontal expansion, the frustration of vertical rising and so on. <Gegorou which had become crucian carp>, which is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 shows meaning of ac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earth, the realization of motives, the discord between human beings and heaven, the frustration of motives, the realization of horizontal expansion, the frustration of vertical rising, etc. Considering the materials of two folktales, I noticed that Korea's ‘extended nose’ folktal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Japan in the side of subject, the tool, the object and divinity etc. There is the sharp difference in the tool which makes the nose longer. In Korea's folktales the tool is ‘the fan’, while it's ‘the drum’ in those of Japan. The result of comparing the incidents results in the fact that both Korea's ‘extended nose’ folktales and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s develop in the order of ‘Lack - Lack Liquidated - Interdiction - Violation - Consequence’. However, there is difference in the end of the folktales. While I can find out the strict divinity through the Korea's folktales, I can do the duplicity of God through Japan's. When compared with the meaning of the two folktales, Korea's and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s have close correlation. Because the two folktales are same in the story dimension but different in the discourse dimen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I study literary educational value of ‘extended nose’ folktales in Korea and Japan. In Korea's and Japan's ‘extended nose’ folktales commonly appear the values of these; the necessity between evil deeds and punishments, the rising will and limitation of the desire, similarity and diversity of world recognition, etc. 본고에서는 한국과 일본에 전하는 ‘늘어난 코’ 설화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늘어난 코’ 설화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알아보았다. 우선, 한국의 <날아간 행복>과 일본의 <鮒になった源五郎(붕어가 된 겐고로)>의 개요를 중심으로 설화의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한국의 ‘늘어난 코’ 설화 <날아간 행복>에는 인간과 지상의 갈등과 동기의 실현, 인간과 천상의 갈등과 동기의 좌절, 수평적 확장의 실현과 수직적 상승의 좌절 등의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 <鮒になった源五郎(붕어가 된 겐고로)>에서는 인간과 지상의 조화와 동기의 실현, 인간과 천상의 갈등과 동기의 좌절, 수평적 확장의 실현과 수직적 상승의 좌절 등의 의미를 살필 수 있었다. 제재를 비교한 결과,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는 주체, 도구, 대상, 신격 등의 측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특히 코를 늘이는 도구에서 그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한국은 부채이고 일본은 북이었다. 사건을 비교한 결과,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는 공통적으로 ‘결핍 - 결핍의 제거 - 금지 - 위반 - 결과’의 순서로 전개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설화의 결말에서는 한국과 일본의 차이점을 볼 수 있었다. 한국 설화에서는 신의 엄격성을, 일본 설화에서는 신의 이중성을 읽을 수 있었다. 의미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날아간 행복>과 일본의 <鮒になった源五郎(붕어가 된 겐고로)>는 이야기 차원에서는 같고 담론 차원에서는 다르다고 보아, 두 설화는 친연성과 관련성이 아주 깊은 이야기라고 보았다. 위의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에 나타난 문학교육적 가치를 고구해 보았다. 한국과 일본의 ‘늘어난 코’ 설화에는 악행필벌(惡行必罰)의 인과성, 욕망의 상승 의지와 한계, 세계관의 유사성과 다양성 등의 가치가 공통적으로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각각 내용 고찰, 내용 이해, 내용 해석의 과정을 통해 추출할 수 있는 가치였다.

      • 넓은 읽기를 위한 <借馬說> 해석

        신원기 문창어문학회 1999 문창어문논집 Vol.36 No.-

        The pu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Lee, Gok's(李穀) <Chamaseol: A story of horse borrowing> for accurate apprecistion. Reading is a active process in which the reader reconstructs meaning. For this reconstruction of meaning. we require accurate understanding and analysis. Reading which confines itself to decoding for comprehension is known as narrow reading. In contract, reading which includes analysis is known as broad reading. This broad reading is necessary for accurate appreciation. As the basis of this research, an analysis of <Chamaseol> was undertaken. For an accurate analysis, content and form of A study of horse borrowing were researched. Content research focussed on the 'story' dimension. including synopsis, construction and expressive technique. Research into form examined the 'discourse' dimension, that is, the historical context and the way in which <Chamaseol> was formed. The results of my analysis uncovered a convergent theme, which I suggest is the theme of <Chamaseol>. The King and the vassal must exercise caution and restrain themselves. Further analysis of <Chamaseol> in various ways would contribute greater understanding.

      • KCI등재

        한·일(韓日)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의 설화(說話) 교재 고찰 : <삼년고개>와 <三年とうげ>를 중심으로

        신원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and format of textbook of Three-year Hill, which is found in National Language Textbook of Korea and Japan. Examining the aspect of programming Folktale Three-year Hill , given in Korean Textbook and Japanese Textbook, into the teaching material, I tried to research the difference and similarities of them. So, I compared the contents and objective of education in Korea with those in Japan. Then,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the contents of Three-Year Hill in the textbook and the unit system. As a result of comparing two countries' teaching contents in their curriculum, I found that the amount of Korean teaching contents was more than that of Japan. In other words, Japan aims to take a macroscopic view but Korea aims to get a microscopic understanding. After I made a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objective in the textbook, I concluded that Korea focused on understanding of characters and events but Japan focused on appreciation throughout the work. The comparison of contents in Three-year Hill text led us to the conclusion:two countries' plot had something in common, but there are difference in the subject, the description of background, insert version and etc. By comparing the two unit systems, I noticed that Korean Three-year Hill had various divisions but didn't converge into one subject. The former is a strength and the latter is a weakness. In contrary, Japanese Three-year Hill had consistency in the unit systems by arranging many learning elements consistently with one learning objective. 본고의 목적은 한국과 일본의 『국어』 교과서에 나오는 <삼년고개>의 교재 구성과 체재를 살펴, 양국 설화 교재의 특징을 고찰하는 것이었다. 한일 양국 교과서에 실린 <삼년고개> 설화의 교재화 양상을 살펴보아,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를 고구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첫째, 한일 양국의 교육내용과 학습목표를 비교해 보았다. 둘째, 교과서에 실린 <삼년고개>의 내용과, 교과서 단원 체재를 비교해 보았다. 셋째, 이를 바탕으로 양국 설화 교재의 특징을 고찰해 보았다. 한일 양국의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육내용을 비교해 본 결과, 한국은 교육내용이 많았고 일본은 적었다. 그래서 일본은 거시적 이해를 목표로 하고, 우리는 미시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교과서에 나타난 학습목표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학습목표는 인물과 사건 파악에 치중했고, 일본의 학습목표는 작품 전체의 감상에 치중했다는 차이가 있었다. 교과서에 실린 <삼년고개>의 내용을 비교한 결과, 줄거리는 한일 양국이 거의 비슷했지만, 배경 묘사, 넘어진 원인, 운문의 역할과 기능 등에서 차이가 있었다. 교과서의 체재를 비교한 결과, 한국의 <삼년고개> 단원 체재는 다양한 갈래를 보여주는 장점과, 하나의 주제에 수렴되지 않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일본의 <삼년고개> 단원은 단일한 학습목표에 여러 학습 요소를 통일성 있게 배열하여, 단원 전체의 일관성이 돋보였다. 이러한 비교 결과, 한국은 문학 작품의 수단적 가치를 강조하고, 일본은 문학 작품의 본질적 가치를 강조하는 특징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설화에 나타난 소외의 모습과 문학교육적 가치 -우리말 최초의 설화집「朝鮮童話大集(1926)」을 중심으로-

        신원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5 No.-

        본고의 목적은 설화에 나타난 소외의 모습과 문학교육적 가치를 살피는 것이었다. 분석 자료는 심의린이 1926년 발행한 우리말 최초의 설화집인 朝鮮童話大集에 나타난 8편의 설화로 한정했다. 이를 위해 첫째, 설화에 나타난 소외의 모습을 소외의 원인, 소외의 양상, 소외의결과로 나누어 고찰해 보았다. 조선동화대집에 나타나는 소외의 주된 원인은 정신적 요인이었다. 이야기 편수가 많을 뿐 아니라, 결말에서도 소외가 계속되기 때문이었다. 소외의 양상은 자아에게 부정적이었고, 세계에도 부정적이었다. 이야기의 등장인물들은 주로 정신적 요인으로 인하여 세상과 화합하지 못했다. 그 원인으로 인한 소외의 양상 역시, 자신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고, 자신을 둘러싼 상황에도부정적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소외의 결과는 6편의 이야기가 소외 심화의 결말을, 2편의 이야기가 소외 극복의결말을 맺고 있었다. 둘째, 설화의 소외를 문학교육의 현장에서 다룰 때, 어떤 가치를 지니는가에 대한접근을 시도해보았다. 소외 심화의 이야기는 ‘자폐적 지식의 우회적 비판’이라는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그리고 소외 극복의 이야기는 ‘재능과 적극성의 긍정적 인정’이라는 가치를 지닌다고 보았다. 이러한 소외 심화와 소외 극복의 이야기들이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가치는, ‘소통을 통한 소외의 극복’이었다. The main objectives of this writing was to see the feature of alienation and the meaning of literary education which folktales imply. The materials for analysis were limited to eight stories in the 朝鮮童話大集(Choseon Donghwa Daejib), which is the first collection of Korean folktales published by Sim Eui Ryn in 1926. To consider the feature of alienation in folktales, I divided it into the causes, the aspects, and the results of alienation. First, why does the alienation happen in folktales? My research showed that it was by mental causes and most of the stories in ‘Joseon Donghwa Daejib’ had the alienated characteristics and they continued to appear in the end of the stories. And these mental causes made characters of the stories not be in harmony with their surroundings. As a result, the alienation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self as well as on the situation around him/her. How does the alienation in folktales end? Six of eight stories which I analyzed showed that the alienation was deepening to the ending, while the others had the ending in which it was overcome. Next, I tried to know what meanings the alienation of folktales has in the literary education. My conclusion was that the stories deepening the alienation indirectly criticized the autistic knowledge and the stories overcoming the alienation positively accepted the talents and the initiative. But both of them ultimately sought the conquest of alienation through communication.

      • KCI등재

        신화(神話)의 문학교육적(文學敎育的) 가치(價値)에 관한 고찰(考察)

        신원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0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36 No.-

        본고의 목적은 신화의 문학교육적 가치를 밝히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먼저 신화의 특성을 내용적 측면, 구조적 측면, 해석적 측면으로 나누어 살폈다. 내용적 측면의 특성은 1차적 고찰로, 구조적 측면의 특성은 2차적 분석으로, 해석적 측면의 특성은 3차적 투시로 살필 수 있었다. 신화의 내용적 측면의 특성은 ‘신성성, 특이성, 기원성’으로, 구조적 측면의 특성은 ‘천부지모, 영웅의 일생’으로, 해석적 측면의 특성은 ‘상징성, 제의성’으로 나누어 보았다. 내용적 측면의 특성에서 도출된 문학교육적 가치는 ‘성속의 분리와 조화’였다. 구조적 측면의 특성에서 추출된 문학교육적 가치는 ‘시련의 극복과 위업의 성취’였고, 해석적 측면의 특성에서 확인된 문학교육적 가치는 ‘보편성과 개별성의 탐색’이었다. 신화의 교재화나 교수-학습을 위해, 신화의 특성과 문학교육적 가치를 인지적 영역의 단계에 따라 위계화해 보았다. 내용적 측면의 특성인 신성성, 특이성, 기원성과 문학교육적 가치인 성속의 분리와 조화는 지식ㆍ이해 단계의 수준이었다. 그리고 구조적 측면의 특성인 천부지모, 영웅의 일생과 문학교육적 가치인 시련의 극복과 위업의 성취는 적용ㆍ분석 단계의 수준이었고, 보편성과 개별성의 탐색은 평가 단계의 수준이었다. 따라서 지식ㆍ이해 수준인 신성성, 특이성, 기원성과 성속의 분리와 조화는 저학년 또는 초등학교 과정에서 교수-학습해야 한다. 적용ㆍ분석 수준인 천부지모, 영웅의 일생과 시련의 극복과 위업의 성취는 중학년 또는 중학교 과정에서 교수-학습해야 한다. 그리고 평가 수준인 상징성, 제의성과 보편성과 개별성의 탐색은 고학년 또는 고등학교 과정에서 교수-학습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Myth. Most of all, the features of the myth are to be dealt with in three aspects; the content, the structure, and its interpretation. First, its content covers the sacredness, the extraordinariness and the origin. Second, its structure is characterized by the heaven-father and earth-mother plot or the heroic life. Third, its interpretation is usually developed into the symbolization and the ritualization.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above, the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myth is to be focused on the harmoniza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secular, the heroic overcoming all the obstacles and hardships and their great achievements, and the pursuit of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which have been instructed regardless of the students' levels in school. But it needs to be more hierarchized in accordance with its significance and the students' levels in school. Firstly, the harmonization and separation between the spiritual and the secular belongs to the level of knowledge in the cognitive fields. Secondly, the heroic overcoming all the obstacles and hardships and their great deeds depend on the level of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Thirdly, the pursuit of the universality and individuality is concerned with the level of analysis and synthesi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each these literary significances and characteristics on Korean myth according to grade level or development level of students. Knowledge, comprehension and application fields are mainly involved with the convergent cognitive level, which is suitable for a primary school or the lower classes. And analysis and synthesis fields are related with the divergent cognitive level, which is more suitable for a junior high school or higher classes.

      • KCI등재

        설화(說話) 제재를 활용한 인성교육의 가능성 고찰 -초등학교 4-1 ‘국어’ 교과를 중심으로-

        신원기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0 한국초등국어교육 Vol.44 No.-

        This paper aimed to study how to strengthen elementary students' nature education by learning Korean folktales. According to this purpose, the first thing was to look into the relations between literary value of Korean folktales and the education of human nature. Learning the significance of the folktales helped learners to discover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outer world and to find the clues to solve the inner problem. In addition, it was a first step to form a view of the world. That is to say, learning the meaning of the folktales led to the self-discovery and realizing each own position in their society, which was the purpose of the human nature education. Second, this paper studied how the materials of the folktales dealt with in the fourth grade's Korean of the primary school are related to the education of human nature. The subject matter of 'Iyagy Guishin (a ghost who tells stories)' makes learners aware of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that of 'Gyun-woo and Jing-nyuh (the Altair and the Vega)' helps us make sure that the positive anticipation brings promising development. Finally, I considered practical ways Korean folktales could be used in educating the human nature. One of features of the folktales, which is to recite the story in front of the audience, was connected with the class activities such as telling its appreciation, writing a report or a critical essay on it and so on. During these activities, students were able to broaden a prospect to criticize Korean folktales and it also enabled them to be aware of the upright human nature. 본고의 목적은 설화의 교수-학습을 통해 초등학생의 인성교육 가능성을 고찰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첫째, 설화의 문학성과 인성교육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학습자는 설화의 의미를 교수-학습하는 과정에서 외면적인 세계 발견과 내면 문제 해결의 단서를 찾아, 이를 ‘세계 형성의 실마리’로 삼을 수 있었다. 설화의 의미를 통해서 학습할 수 있는 세계 형성의 실마리는 자아발견과 연결되는데, 이는 바로 인성교육의 목표이기도 했다. 둘째, 초등학교 4-1 ‘국어’ 과목에 나타난 설화 제재가 어떻게 인성교육과 관련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야기 귀신>이란 설화 제재를 통해서는 소통의 중요성을 교수-학습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견우와 직녀>라는 설화 제재를 통해서는 긍정적 기대 지평의 확립을 교수-학습할 수 있었다. 셋째, 구연(口演)을 활용한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고찰했다. 설화는 청자를 직접 앞에 두고 구연되는 특성이 있는데, 이러한 특성은 감상이나 비평의 말하기 수업 활동으로 연결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원만한 인간 관계 형성과 세계의 다양성 인식이라는, 인성교육의 가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