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 KCI등재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신연수 한국인간·식물·환경학회 2010 인간식물환경학회지 Vol.13 No.6

        본 연구는 방과 후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 다. 연구대상은 D시 S지역아동센터 다니는 저소득층 남녀 초등학생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기간은 2009년 8월부터 12월까지이었다. 원예활동 프로그램은 총 20회로 구성되었다. 사회성은 전체 원예활동 전 15.93점에서 원예활동 후 16.95점으로 유의하게(p<.01) 향상되어 원예활동이 저소득층 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에 의한 대상아동 전체의 변화에서도 전체 원예활동 전 24.18점이였으나, 원예활동 후 26.73점으로 유의하게(p<.01) 변화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다양한 원예활동은 저소득층 아동들의 긍정적인 정서함양과 사회성 발달에 큰 효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앞으로 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한 다양하고 흥미있는 원예활동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함으로써 아동들의 사회성 및 자아존중감 발달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after school's horticultural activity to the children's school adjustment and self-esteem in low-income group. The research was targeting on 11 elementary school students attending at children center in D City and was conducted from August to December, 2009.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consists of totally 20 times. Consequently children's sociality in the low-income group improved as a result of horticultural activity and that positive effect to the children. In self-esteem test before horticultural activity, its numerical value was 24.18 but after self-esteem it lowered to 26.73 within approximation to 0.01. Regarding this result, various horticultural activity is effective to set up the children's positive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especially for the children who have psychologically insecure situation in the low-come group. In short, diverse horticultural activities programs are effective on promoting children from the low-income familes social development and self-esteem.

      • KCI등재후보
      • 주가지수선물에 있어 외국인의 하루중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신연수 한국정보기술전략혁신학회 1998 情報學硏究 Vol.1 No.2

        주가지수선물거래에 있어 외국인의 투자제한이 완전히 철폐된 상태이고, 특히 이들 거래가 우리나라 기관투자자 뿐만 아니라 일반개인에게까지 정보의 주도자로써 미치는 영향이 클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들 외국인이 우리나라 선물시장에서 과연 어떠한 거래를 하고 있는 지에 대하여 비거주외국인은행, 비거주외국인증권회사, 비거주외국인계약형투신, 비거주외국인기타법인, 거주외국인증권회사로 구체화시켜 분석하였다. 이 논문은 외국인의 하루중 투자가 어떠한 패턴을 그리고 있으며 특히 이들 외국인간의 정보유입에 따른 시간대별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고 있는지에 대하여 실증분석하였다. The measure of public information flow developed here is the number of order frequency. In the first part of the analysis, I document the general pattern of public information, with an emphasis on the intraday arrival of information. Overall, I find that public information arrival is nonconstant Consistent with earlier studies, I find that information arrival exhibits an inverted U-shape pattern across intraday trading. Over the average trading day, the flow of public information increases throughout the morning hours and then falls over the period, between 3:00 P.M. and 3:05. The second part of my analysis focuse is the relation between the public information variable and measure of intraday order frequency, specifically insignificant effect. According to time flow in the intraday trading, although the number of insignificant effect is increasing moderately, the result is remarkable in light of the aggreate nature of the public information and order frequency variable employed. The foreigner's investor group changes homogenously.

      • KCI등재후보

        코스닥시장에서의 신규공모주의 장기성과 분석 : 수요예측제도 도입 후를 중심으로

        신연수,서충원,신용재 대한경영정보학회 2009 경영과 정보연구 Vol.28 No.1

        신규공모주(initial public offerings)는 기업의 중요한 자금조달 수단 중 하나에 속한다. 우리나라는 그 동안 신규공모주의 공모가를 산정하는 절차 및 제도에 많은 변화를 겪어 왔다. 특히 수요예측제도(book building)는 신규공모주의 공모가를 결정하는 방식에 있어서 획기적인 변화를 초래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코스닥시장을 대상으로 수요예측제도 도입 이후의 신규공모주의 장기성과를 분석한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결과에 신뢰성을 제고하고자 이벤트타임 포트폴리오(event time portfolio) 접근법과 더불어 캘린더타임 포트폴리오(calendar time portfolio) 접근법을 이용하여 신규공모주의 장기성과를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이벤트타임 포트폴리오 접근법인 보유초과수익률(BHAR)과 누적초과수익률(CAR)을 이용한 분석에서 신규공모주의 장기성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값을 보이며, 왜도(Skewness)를 조정한 통계검정에서도 동일하게 나타났다. 또한, 상대적 부(Wealth Relatives)의 경우 대부분의 기간에서 1보다 크게 나타나 양(+)의 장기성과를 보였다. 캘린더타임 포트폴리오 접근법인 Fama-French의 3요인 모형, 캘린더타임 초과수익률(CTAR), RATS(Return Across Time and Securities) 모형 등을 이용한 분석결과, 신규공모주의 초과수익률이 대체로 유의한 양(+)의 값을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벤처기업 여부와 관계없이 모든 집단에 동일하게 나타남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신규공모주의 장기성과가 저평가되었다는 기존의 대다수 주장과 달리, 신규공모주가 장기적으로 고성과를 지닌다는 주장을 지지한다.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세 한국어 ‘-리러-’의 용법 : ‘과거에서의 미래’를 중심으로

        신연수 이화어문학회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이화어문논집 Vol.42 N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eaning of prefinal ending ‘-rireo-’ in Middle Korean. ‘-rireo-’ is a combination of prefinal ending ‘-ri-’ and ‘-deo-’ in Middle Korean and expresses a variety of meanings-future in the past, assumption in the past, possibility in the past in indicative mood and counter-factual supposition in subjunctive mood. This study focuses on the use of ‘-rireo-’ as ‘future in the past’ marker in Middle Korean. ‘Future in the past’ is to refer to a future event relative to a point in the past. ‘-rireo-’ refers to a future event that is scheduled and predictable at a point in the past. ‘-rireo-’ is also comparable to ‘-(eu)l yejeong-i-eoss-’ which expresses the future in the past in Contemporary Korean. ‘-(eu)l yejeong-i-eoss-’ only refers to scheduled future event relative to a point in the past whereas ‘-rireo-’ refers to either scheduled or predictable future event. 중세 한국어의 ‘-리러-’는 선어말어미 ‘-리-’와 ‘-더-’의 결합형으로, 다양한 의미와 용법을 가진다. ‘-리러-’는 직설법(indicative mood)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과거에서의 추정’, ‘과거에서의 가능성’ 등을 표현하며, 종속법 (subjunctive mood)에서 주로 ‘-더든’, ‘-던댄’ 등의 연결어미와 함께 쓰여 ‘반사실적 가정’을 표현한다. 본고는 ‘-리러-’의 여러 용법 중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에 주목하여, 15세기와 16세기의 한글 문헌에 나타난 용례를 검토하고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의 특징을 파악하였다. ‘과거에서의 미래’는 과거를 기준시로 했을 때 미래, 즉 그 시점 이후에 일어날 일을 표현하는 것이다. ‘-리러-’는 중세 한국어에서 과거 시점에서의 예정된 미래 사건이나 일어날 것이라고 예측되는 사태를 나타내는데, 이때 화자가 그 사건 또는 사태에 대해 단언하고 있다는 점에서 과거에서의 미래 용법이 확인된다. 또한 과거 시점에서 예정된 미래 사건이나 예측되는 사태는, 발화시인 현재를 기준으로 할 때 일어난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한편 현대 한국어에서는 ‘-ㄹ 것이었-’, ‘-ㄹ 예정이었-’ 등의 우언적 구성을 통해 과거에서의 미래를 나타낼 수 있다. 그중에서 ‘-ㄹ 예정이었-’은 과거 시점에서의 예정된 미래 사건을 표현하는데, ‘-리러-’와 비교하였을 때 그 사건이 예정된 때에 일어나지 않았다는 문맥에서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