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지황을 첨가한 쌀 쿠키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신숙경,민아영,김현정,이수진,심은경,이근종,이보담,김미리,Shin, Suk Kyung,Min, A Young,Kim, Hyun Jeong,Lee, Su Jin,Sim, Eun Kyoung,Lee, Kun Jong,Lee, Bo Dam,Kim, Mee 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2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the rice cookies with R. glutinosa Preparata (0%, 4%, 8%, 12%) and bean flour (10%). The moisture of cookies was increased depending on amount of R. glutinosa Preparata (RRP). The pH of cookies with RR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cookies. Sugar content and reducing sugar of cookies were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RP. L-value and b-value of cookies with 12% RRP were lower than the control, whereas a-valu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Spread factor of cookies with RRP was lower than the control, and hardness of cookies was increased depending on amount of RRP added. The antioxidant activity such as DPPH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okies with RRP,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Also, total phenol content of cookies was increas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RRP. In sensory test, cookies with 8% RRP received the highest score for overall preference. As a result, the optimum amount of RRP concentrate to be added in the cookies was found to be 8%.

      • KCI등재

        시판막장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성

        전소현,신숙경,김현정,민아영,김미리,Jeon, So Hean,Shin, Suk Kyung,Kim, Hyun Jeong,Min, A Young,Kim, Mee Ree 한국식품조리과학회 2015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akjang,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aste, which has recently been disappearing, for its preservation. Six kinds of commercial Makjang from three different regions (Kang-won-do, Choong-chung-do, and Kyung-sang-do) were analysed for approximate composition, salinity, pH, total phenol contents, and DPPH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Moisture content of samples was 48.30-58.93% while, crude protein was 9.42-13.67%. Crude fat was 2.45-6.50%, crude fiber was 2.08-6.45%, and ash was 6.59-14.64%. Salinity content ranged from 5.63-12.68%, and pH ranged from 4.36-5.67. Soluble solid content and reducing sugar content of samples ranged from 38.3-54.5 Brix and 22.38-31.61% respectively. The lightness, redness, and yellowness of the Hunter color system of samples were 16.58-28.19, 7.8-16.51, and 8.35-14.21, respectively. Total polyphenol contents were 0.20-0.45 mg/ml. Antioxidant activities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C_{50}$ value) ranged from 45.07 mg/ml to 95.93 mg/ml and 69.81 mg/ml to 309.40 mg/ml,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Makjang is needed to standardize for quality control, and for mass production.

      • KCI등재

        정형 명세를 이용한 제품계열 아키텍처의 인스턴스화 기법

        신숙경(Suk Kyung Shin),허진선(Jin Sun Her),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6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3 No.12

        제품계열 공학(Product Line Engineering, PLE)은 최근 각광받고 있는 효율적인 소프트웨어 재사용 접근 방법 중 하나로 핵심자산을 인스턴스화(Instantiate)하여 여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 핵심자산(Core Asset)의 구성요소로는 제품계열 아키텍처(Product Line Architecture, PLA), 컴포넌트, 의사결정모델(Decision Model)이 있다. 이런 요소 중, PLA는 핵심자산의 전체적인 구조를 정의하고 있어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현재 많은 PLE 방법론들이 소개되어 있으나, PLA의 구체적인 구성요소와 어플리케이션을 만들기 위해 PLA를 인스턴스화하기 위한 체계적인 기법이 미비하다. PLA의 구성요소를 명확히 정의하고 인스턴스화 프로세스를 상세히 정의하기 위해 정형명세가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PLA의 메타모델을 제시하고 PLA를 정형명세 언어인 Object-Z로 명세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정형명세를 이용한 인스턴스화 규칙을 제안하며, 이런 규칙은 PLA를 인스턴스화하기 위한 제약사항을 상세히 정의하고 있다. 제안된 정형명세를 적용함으로써, PLA의 인스턴스화는 상세하고 명확하게 수행될 수 있어 고품질의 소프트웨어를 생산할 수 있다. Product line engineering (PLE) is one of the recent and effective reuse approaches that enables developing a number of applications by instantiating a core asset. Elements of a core asset are product line architecture (PLA), component, and decision model. Among these elements, PLA is the key element since it defines the overall structure of the core asset. Although numerous PLE methodologies have been introduced, it is still unclear what should be the elements of a PLA and how to systematically instantiate it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mal specifications can play a key role in defining detailed and precise instantiation process. In this paper, we first present a meta model of PLA and show how to specify PLA in a formal language, Object-Z. Then, we propose instantiation rules using formal specification and those rules precisely define constraints for instantiating PLA. By applying the proposed formal specification, we believe PLA instantiation can be carried out precisely and correctly, yielding high quality software development.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객체지향 설계에서 정형명세를 이용한 컴포넌트 설계로의 변환 기법

        신숙경(Suk Kyung Shin),이종국(Jong Kook Lee),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7

        재사용성과 확장성을 높이는 객체지향 개발이 보편화 되면서 새로운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경우 기 개발되어 검증된 객체지향 산출물을 재사용함으로써 개발기간을 단축하고 품질을 향상할 수 있다. 이렇게 성능이 검증된 기 개발된 객체지향 산출물을 이용하여 컴포넌트 기반 모델로 변환하면 짧은 기간에 고품질의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미 개발되어 있는 객체지향 설계 모델을 이용하여 컴포넌트 기반 설계로 변환하되 변환의 정확성을 위해 정형명세 기법을 사용한다. 컴포넌트 기반 설계를 정형명세하기 위해 컴포넌트 정형명세 언어를 정의한다. 그리고 객체지향 설계의 정적, 동적, 기능적 측면을 정형명세 언어 Object-Z를 사용하여 정형명세하는 기법을 제시한 후, 객체지향 정형명세를 컴포넌트 정형명세로 변환하는 기법을 제시한다. 사례연구는 제시된 변환 기법을 적용하여 객체지향 정형명세가 컴포넌트 기반 정형명세로의 변환과정을 설명한다. As object-oriented development technology that increases extensibility and reusability has been widely spread, it can shorten development period and enhance quality by reusing verified object-oriented artifacts. Thus we can construct high quality component-based system at short time transforming component-based model using verified object-oriented artifacts. In this paper, we propose techniques to transform available object-oriented design model into component-based model using formal specification techniques in order to increase accuracy of transformation. First,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for component is defined for formal specification of component-based design. And, techniques for formal specification of object-oriented design using Object-Z, a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is proposed in structural, functional, and dynamic aspects. Next, we present techniques for transforming formal specification of object-oriented design into formal specification of component-based design. Through a case study we apply the proposed transformation techniques and show the transformation process of object-oriented formal specification into component-based formal specification.

      • KCI등재

        오디박 첨가 모닝빵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성

        김현정 ( Hyun Jeong Kim ),신숙경 ( Suk Kyung Shin ),김미리 ( Mee Ree Kim ) 한국식품조리과학회(구 한국조리과학회) 2013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Vol.29 No.6

        본 연구는 항산화능이 우수하나 착즙 후 버려지는 오디박을 건조시켜 모닝빵에 첨가(0, 1, 3, 5 %)하여 품질특성과 항산화능을 분석하였다. 빵의 무게와 부피는 건오디박 함량 3%인 경우 대조군에 비하여 증가하였으나 그 이상 첨가 시에는 감소하였다. 빵의 pH는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 반면, 산도는 건조 오디박 첨가량이 증가 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당도와 환원당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색도는 L값과 b값의 경우, 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나, a값은 증가하였다. 총 phenol함량은 건오디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항산화능은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hydroxy 라디칼 소거능 모두 건오디 박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IC50 값이 낮아져, 건오디박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산화능이 증가되었다. 관능검사 결과, 기호도에서 외관의 색은 3% 건오디박 첨가군이 4.6점으로 가장 높았다. 맛과 향은 3% 건오디박 첨가군이 각각 4.5점, 3.8점으로 가장 높았다. 경도 및 씹힘성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전반적인 기호도와 구입의사는 1% 건오디박 첨가군이 각각 4.9점으로 가장 높았다. 강도검사에서 건오디박을 첨가할수록 색과 오디향, 오디맛의 강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와 반대로 버터향과 버터맛, 경도와 씹힘성의 강도는 건오디 박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모닝빵 제조 시 건오디 박의 첨가로 인해 모닝빵의 품질이 개선되고 항산화능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소비자검사와 강도검사를 고려할 때 건오디박 1~3% 첨가군이 적정한 배합비로 결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functional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The effect of dried mulberry pomace (0, 1, 3 or 5%)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s was evaluated. The weight, volume and height were higher in bread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compared with control bread. As the concentration of the dried mulberry pomace increased, decreased in pH and increased in acidity. The sugar concentration(°Brix) and reducing sugar(%) increased with the amount of dried mulberry pomace. The hunter color system L(lightness) and b(yellowness) value of the crumb of breads with increasing dried mulberry pomace were decreased, but the a(redness) value was increased. Contents of total phenol increased with addition amount of dried mulberry pomace. The antioxidant activities such as DPPH and hydroxy radical scavanging activity of the dried mulberry pomace increased with increase of dried mulberry pomace amount. The sensory results showed that scores of over-all preference of the breads added with dried mulberry pomace were higher than that of control.

      • KCI등재

        저장 중 건오디박 첨가 빵의 품질 특성

        김현정(Hyun Jeong Kim),신숙경(Suk Kyung Shin),김미리(Mee Ree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3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2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storage quality characteristics of bread with added dried mulberry pomace (DMP, 0, 1, 3 or 5%) during storage at 4°C for 7 days.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the moisture content was higher in breads containing DMP compared with the control bread. Textural properties by TPA showed that the hardness of DMP bread maintained a lower hardness than that of the control during the entire storage period. Moreover,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result showed that ΔH (crystal melting enthalpy) of the bread containing DMP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bread, which indicate the retarding of retrogradation. The sensory preference tes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bread with 3% DMP had higher scores in over-all preference than the oth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MP delays the retrogradation of bread during storage.

      • KCI등재

        Component - Z : Object - Z를 확장한 컴포넌트 정형 명세 언어

        이종국(Jong Kook Lee),신숙경(Suk Kyung Shin),김수동(Soo Dong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1 No.5

        컴포넌트 기반 소프트웨어 공학(CBSE)은 재사용 가능한 컴포넌트를 조립하여 시스템을 개발하는 방법이다. CBSE는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과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평가되고 있다. 정형 명세를 사용하면 컴포넌트 구성 요소들 사이의 일관성과 정확성을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컴포넌트 설계의 품질을 높일 수 있다. 현재까지 제안된 컴포넌트 정형 명세 언어들은 인터페이스 간의 계약, 컴포넌트의 구조적인 측면과 동적인 측면,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 컴포넌트 간의 결합, 가변성 중 일부만을 명세에 반영한다. 따라서 지금까지 발표된 정형 명세 언어를 컴포넌트 설계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본 논문에서는 컴포넌트 정형 명세 언어인 Component-Z를 제안한다. Component-Z는 Object-Z를 확장하여 컴포넌트 명세를 위한 새로운 표기법을 추가하고 의미론을 확장한다. Component-Z를 사용하여 인터페이스, 컴포넌트 내부 구조, 컴포넌트 내부 워크플로우와 인터페이스간의 워크플로우를 명세할 수 있다. 또한 가변점(variation point), 가변치(variant), customization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가변성을 명세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와 컴포넌트 사이의 관계는 매핑 스키마(mapping schema)를 사용하여 정의한다. 또한 병렬 연산자(parallel operator)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간의 결합을 명세할 수 있고 컴포넌트 기반 시스템을 명세하여 컴포넌트가 배포된 상황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된 정형 명세 언어를 사용하여 컴포넌트 설계에 필요한 모든 요소를 표현 할 수 있다. 사례연구에서는 은행 계좌 관리 시스템을 명세하여 Component-Z가 컴포넌트 설계의 전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인다. Component-based software engineering (CBSE) composes reusable components and develops applications with the components. CBSE is admitted to be a new paradigm that reduces the costs and times to develop software systems. The high quality of component designs can be assured if the consistency and correctness among the elements of a component are verified with formal specifications. Current formal languages for components include only some parts of contracts between interfaces, structural aspects and behavioral aspects of component, component-based system, component composition and variability. Therefore, it is not adequate to use current formal languages in all steps of a component design process. In this paper, we suggest a formal language to specify component designs Component-Z. Component-Z extends Object-Z, adds new notations to specify components. It can be possible to specify interfaces, the inner structure of a component, inner workflows, and workflows among interfaces with Component-Z. In addition, Component-Z provides the notations and semantics to specify variability with variation points, variants and required interfaces. The relation between interfaces and components is defined with mapping schemas. Parallel operator is used to specify component composition. It can be possible to describe deployed components with the specifications of component-based systems. Therefore, the formal specification language proposed in this paper can represent all elements to design components. In the case study, we specify an account management system in a bank so that we show that Component-Z can be used in all steps of component design.

      • KCI등재

        창의적·도전적 융합연구 생태계 구축을 위한 기초융합연구 지원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박귀순(Kwisun Park),신숙경(Suk Kyung Shin),송영동(Young Dong Song),이성종(Sung Jong Lee),이은규(Eunkyu Lee),차은종(Eun Jong Cha)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12

        한국연구재단은 이공분야와 인문사회분야 간 통합 연구를 포함한 융합연구 생태계 구축으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연구를 중점적으로 지원하고자 한다. 이에 기초연구사업의 융합연구를 활성화하고 실질적인 융합연구를 발굴하기 위한 전략을 도출하고 창의적·도전적 융합연구 지원체계 구축을 골자로 하는 ‘융합연구사업추진체계’를 수립하였다. 사업추진체계는 연구분야 중심의 지원분야 재설정, 문제중심융합 신설, 신청자격 확대, ‘융합연구 우수성 평가’ 신설, 최소 융합성 지표 및 가이드라인 도출로 구성되었다. 동 사업추진체계 적용 전 약 38%였던 복수 연구분야분류 지정 경향이 적용 후 98% 이상으로 급증하여 거시적 분야분류 간 융합연구 지원이라는 근본적인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였다. 선정여부와 융합연구 평가프로세스 간 회귀분석 및 피어슨 상관 분석 결과에 근거하여 평가 단계별 배점제에서 다음 단계 추천 방식으로 평가프로세스를 개선하였다. 또한 연구계획서 양식, 분야 지정 방식 개선안을 도출하여 2013년에 확대적용하였다.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provides underpinning to boost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in convergence research including research amalgamating Science and Engineering with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Division of Electrical Engineering, Information Sciences and Convergence Research recategorized a scientific and engineering array of convergence research in basic sciences and reformed a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Framework in 2012. The test case was thoroughly analyzed and reviewed for successful application in the 2013 mid-career researcher program. The core of convergence research-specific review process is ‘Suitability Review’ that is performed by the ‘Suitability Review Committee for Convergence Research’ and ‘Merit Review’ that is conducted as a conventional peer review. As a good result of the pilot program, prior allocation of budget for convergence research was decided to the 2013 Core Research Program and the modified convergence Research Support Framework was extensively applied in the ‘2013 Implementation Plan for Basic Research Program in Science and Engineer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