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입지유형별 편의점의 건축특성에 관한 조사연구 : 광주광역시 편의점 건축을 중심으로

        신석균,김현구 광주대학교 1997 産業技術硏究 Vol.8 No.-

        본 연구에서는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편의점 중에서 주거지역에 위치한 방림점, 유흥지역에 위치한, 업무 및 상업지역에 위치한 월산점, 그리고 대학가지역에 위치한 전대점 등 4개의 편의점 이용자의 사회, 인구학적 속성과 이용실태 및 내부공간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편의점의 주이용자는 30대 이하의 젊은층이며 업무 및 상업지역, 유흥지역 등 도심내 지역에 위치한 편의점의 경우 무특정 다수가 이용하고 있는 반면, 도심 밖에 위치한 주거지역의 편의점은 가정주부가, 그리고 대학가 지역의 편의점은 학생이 주로 이용하고 있다. 2. 편의점의 주된 이용 이유는 언제나 구매가능하다는 것이며, 이것은 편의점이 다른 소매점과는 달리 24시간 영업한다는 점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편의점의 주 이용시간대는 오후 2시경부터 오후 9시까지로 나타났다. 3. 편의점 건축계획시 고려될 주요 사항으로는 편의점의 위치가 실내공간의 진열상태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나타났다. 또한, 계획시 입지에 대한 타당성계획과 실내공간의 평면배치 및 동선기능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4. 편의점에서 주로 구매하는 상품은 음료/주류와 패스트푸드 등 식료품이라는 점에서, 식료품공간에 대한 세심한 고려와 아울러 이것을 시식할 수 있는 식사 및 휴게공간에 대한 공간적 배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5. 사용자가 요구하는 편의점건축의 적정건축면적은 현재의 1-1.5배인 30-45평 정도이지만, 편의점의 적정 건축규모는 사용자의 요구와 함께 사업자의 사업타당성을 고려하여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Many Convenience Store are opened in Korea and about 70s of CVS are opening in Kwangju. In this study, We aimed at enterprise CVS, "Mimi-Stop", have 22 numbers of stores in Kwangju, is also to compare several location type. Especially, We surveyed the relation of architectural planning and consumer's behavior of purchase. The survey on CVS shows the following results; 1. The main consumer's age is less than thirty years old, irrespective of district of location. In amusement district and business district, there are various consumers. In residential district, the major consumers are house-wives. In university district, the major consumers are students. 2. Among the analysys results, the reason of use in CVS is that CVS is opened in every time a day. The major time zone of purchase is from 2 p.m. to 9 p.m.

      • 지역별 지역문화복지시설의 건축규모에 관한 조사분석

        신석균,유우상 광주대학교 1996 産業技術硏究 Vol.7 No.-

        우리나라의 문화공간은 선진외국에 비해 시설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할 뿐더러, 그 질적 수준마저 열악한 상태이다. 향후 문화공간의 공급계획은 상대적으로 시설수가 열세이거나 그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해당 규모밀도를 고려하여 지역특성에 따른 지역문화를 개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워져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시설 중 지역문화복지시설을 중심으로 시,도 및 문화권역별로 그 건축규모를 각각 상호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지역문화복지시설 조성계획에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In Korea, the recognition of culture is growing higher by the economic growth and the enrichness of the life. The spaces and places for culture shall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e by the regional goverme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ilding sizes of regional cutural community facility to supply the cutural facilities effectively.

      • 지역별 도서관의 건축규모에 관한 조사분석

        신석균,유우상 광주대학교 1996 産業技術硏究 Vol.7 No.-

        도서관은 일반적으로 공공도서관과 대학도서관으로 분류된다. 우리나라의 도서관은 선진외국에 비해 시설수는 절대적으로 부족할 뿐더러, 그 질적 수준마저 열악한 상태이다. 향후 공공도서관의 공급계획은 상대적으로 시설수가 열세이거나 그 수준이 낮은 지역에서 해당 규모밀도를 고려하여 지역특성에 따른 지역문화를 개발할 수 있는 방향으로 이루워져야 한다. 본 연구는 문화시설 중 도서관을 중심으로 시,도 및 문화권역별 그 건축규모를 각각 상호비교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도서관시설 조성계획에 기본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The library is classified into public and university one in general. In Korea, the recognition of culture is growing higher by the economic growth and the enrichness of the life. The spaces and places for publi library shall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culture by the regional government.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building sizes of the library to supply the cultural facilities effectively.

      • 디자인 텍스트를 통해 본 건축가 사고의 변천에 관한 연구

        신석균,윤대한,정명환 광주대학교 1999 産業技術硏究 Vol.12 No.-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 『건축사』지를 통해 발표한 국내 단독주택을 중심으로 건축가가 직접 기술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디자인 주제어를 추출하고 주제언술의 구성비와 그 내용을 시대별, 그리고 주제어의 특성상 개념적 언술과 구체적 언술로 구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건축가는 단독주택에서 많이 사용한 주제는 공간, 프로그램, 대지, 형태 그리고 기능 순으로 나타나서 건축가는 공간에 보다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시대의 흐름에 따라 공간관련 주제는 디자인 관점에서 높은 관심의 대상으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90년대에 이를수록 프로그램관련 주제는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반면, 형태관련 주제는 70년대에 비해 절반정도의 수준으로 적게 사용함으로써 건축가는 90년대에 이를수록 형태위주의 표현보다는 공간이나 프로그램관련 주제에 보다 높은 관심가지고 사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thus, aims at understanding architects' thoughts on designing single-family house. The study, first extracted keywords concerning design themes from the texts written by architects published a monthly magazine of "Korean Architect" since 1970. Second, the keywords extracted were categorized in terms of time, location and the degree of conceptualization resulting in five design issues related the follwings; program, site, space, form, and function. The categories, were, then, compared each other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emphasis shifts on design issues. The finding are as follows: In designing single-family House, the fine design themes categorized were found as the following order in terms of the frequency they were used in texts; space, program, site, form and function. This tells us that architects have paid more attention to space-related issues. However, as time being passed, the shift of the area of emphasis was also found; the program-related issues had a higher frequency in 1990s, whereas, had form-related issues been. found only approximately half the times than in 197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