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王弼과 程頤 『周易』 해석의 불일치 사례 연구

        신상후(Shin, Sang-Who) 한국도교문화학회 2024 道敎文化硏究 Vol.60 No.-

        본 연구의 목표는 『周易』에 대한 王弼(226-249)과 程頤(1033-1107)의 해석에 있어서 불일치 사례를 찾아내고 이를 분석 · 분류함으로써, 왕필 易學과 정이 易學의 차이를 조망하는 데에 있다. 왕필과 정이는 모두 義理易學派의 대표적 인물이다. 그렇다면 『주역』 해석에서 이 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선행연구에서는 대체로 “왕필의 의리는 ⽞學에 기반을 두고, 정이의 의리는 성리학에 기반을 둔다.”라고 언급되곤 하였다. 이러한 분석은 易學史 및 철학사 서술의 주류적 이해와 일치하지만, ‘현학자 왕필’과 ‘성리학자 정이’라는 선이해에 기반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대한 충분한 근거도 제시되지 못하였다. 최근 연구들은 이러한 전통적 주장에 의문을 제기하며, 더욱 심도 있는 검토를 요구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의 하나로, 왕필과 정이의 『주역』 주석서 전문을 검토하고 해석이 불일치한 사례를 모두 추출하였으며, 이 전체 사례를 분석하여 다섯 가지 주요 분류 항목을 도출하였다. 또한, 다섯 항목에 해당하는 여러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왕필과 정이 해석의 차이를 직접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본 연구는 해석 불일치 사례를 추출 · 분석하는 데에 집중하였으며, 두 해석의 철학적 함의의 차이를 심층적으로 분석하는 데까지는 이르지 못했다. 그러나 이 연구는 향후 왕필과 정이 역학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유가와 도가의 차이를 파악함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analyze, and categorize the discrepancies in the interpretations of the Zhouyi (周易) by Wang Bi (王弼, 226-249) and Cheng Yi (程頤, 1033-1107) in order to highlight the differences between Wang Bi’s Yixue (易學) and Cheng Yi’s Yixue. Both Wang Bi and Cheng Yi are representative figures of the Yi-Li Yixue (義理易學派) school. The main question addressed in this study is: What are the differences in their interpretations of the Zhouyi ? Previous research generally states that ‘Wang Bi’s Yili is based on Xuanxue, while Cheng Yi’s Yili is based on Neo-Confucianism.’ Although this analysis is in line with the mainstream understanding of Yixue history and philosophical history, it seems to be based on a preconceived notion of ‘Wang Bi as a Xuanxue scholar’ and ‘Cheng Yi as a Neo-Confucian scholar’ without sufficient evidence. Recent studies have questioned these traditional claims and called for a more thorough investigation. As a critical review of previous research, this study examines the entire commentaries on the Zhouyi by Wang Bi and Cheng Yi, extracting all cases of interpretive discrepancies and classifying them into five major categories. By presenting various cases corresponding to these five categories, the study allows direct observation of the differences in interpretation between Wang Bi and Cheng Yi. This study focuses on extracting and analyzing cases of interpretive discrepancies, and does not delve deeply into the differences in the philosophical implications of their interpretations. However, this research can serve as a basic resource for future studies of Wang Bi’s and Cheng Yi’s Yixue and provide important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between Confucianism and Daoism.

      • KCI등재

        甘草의 調和諸藥 효능에 대한 고찰

        신상원(Shin Sang-won),윤은경(Yoon Eunkyung),조소형(Jo Sohyung),황지현(Hwang Jihyun)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3 No.1

        Objectives : To examine the meaning of ‘harmonizing all medicinals(調和諸藥)’ of Gancao’s property to grasp its essence which would further lead to better understanding of formula composition where Gancao is both included and excluded. Methods : Contents on Gancao from previous texts were analyzed and integrated with basic descriptions on qi and flavor, shape and colour, origin, name, etc., to form a single Xiang(象) or image. Further discussion was developed from this point in a way to better understand the harmonizing property of Gancao. Results & Conclusions : Gancao’s ‘harmonizing all medicinals’ property is achieved through its ‘mitigate urgency’ function. The meaning of ‘harmonizing all medicinals’ could be understood in terms of both mitigating the whole formula and mitigating each medicinal ingredient. First, Gancao’s function of mitigating the whole formula is to mediate conflict that occurs from difference in property among each ingredient where each medicinal’s property remains intact to perform its effects soundly. Second, to mitigate each medicinal ingredient is to balance the effects of severly biased medicinals to obtain desired effects. Both approaches are same in essence in that they mitigate urgency to achieve the original goal. Gancao’s ‘harmonizing all medicinals’ is to arbitrate others, which sets Gancao apart from other ingredients to function at a more basal level.

      • KCI등재

        불완전 노동시장 하에서의 조세경쟁

        신상화 ( Sangwha Shin ),김상현 ( Sang-hyun Kim ) 한국경제학회 2022 The Korean Economic Review Vol.38 No.1

        이 연구는 자본에 대한 세율을 조절하여 더 많은 자본을 유치하려는 경쟁 상황에 놓인 두 정부를 분석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여러 선행연구들에서 가정한 완전한 노동시장 가정을 완화하여 불완전 노동시장을 모형화하고 이것이 두 국가의 조세경쟁 양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양국의 노동시장비용이 대칭적으로 증가할 경우 자본이 세율 수준에 둔감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역비용이 존재하기 때문에 노동시장비용이 증가하게 될 경우 국내시장에서의 이익보다 해외시장에서의 이익이 더 크게 떨어지게 되며 그 결과 기업은 자본에 대한 세율이 아닌 생산비용에 더욱 민감해지게 되는 것이다. We develop a two-country model of tax competition in which governments attempt to attract more capital by adjusting the corporate income tax rate. We allow labor market imperfection and investigate how it relates to the intensity of tax competition. It is shown that in response to a symmetric increase in the labor market costs, capital becomes less sensitive to corporate income tax rates. When the labor market costs increase, firms’ profits drop more greatly in the foreign market than in the domestic market due to the existence of trade costs. Thus, firms become less concerned about the level of tax rates in the locational decision.

      • KCI등재

        AAC 체계 구축을 위한 고빈도 용언의 기본형 분석

        신상은(Sang eun Shin)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1

        배경 및 목적: 핵심어휘는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사용자들의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성인 AAC 사용자가 다양한 어미와의 결합을 통하여 용언을 활용할 수 있는 AAC 체계를 구축하고자 정상성인의 발화샘플을 중심으로 고빈도 용언의 기본형을 판별하고 그 효율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12명의 정상 성인으로부터 수집된 발화샘플에서 고빈도로 확인된 216개의 동사, 형용사, 보조동사, 그리고 계사를 축출하였다. 이들 용언의 활용형을 기본형으로 바꾼 후, 서로 다른 낱말수와 전체 샘플의 용언에 대한 평균사용빈도 및 설명력을 계산하여 기본형으로 바꾸기 전의 수치와 비교하였다. 결과: 고빈도 기본형 용언은 총 64개로 활용형 용언의 개수보다 70.83% 감소하였으며 한 낱말의 평균사용빈도는 53.83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발화샘플에 나타난 용언의 73.97%를 설명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형 용언과 비교하여 평균사용빈도는 약 5배 정도 증가하였고 설명력은 23.23%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적은 수의 고빈도 기본형 용언이 어미와의 결합을 통하여 다양한 용언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증가된 낱말수 감소율, 평균사용빈도 및 설명력을 통하여 보여주었다. 교착어를 특징으로 하는 한국어, 특히 용언의 어미활용을 AAC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구개발과 후속연구들의 필요성이 논의되었다. Objectives: Core vocabulary is key to successful communication for people who rely on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systems. It is important to meet the needs of adult AAC users who want to produce a wide range of inflected predicates on the system.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determine the high-frequency (HF) base forms of predicates and to predict the efficiency in generating various sentence types by using those base-forms that are combinable with numerous endings. Methods: Language samples from the twelve healthy adults were used and 216 HF predicates in inflected forms were identified. After transforming all inflected forms into base forms,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the mean frequency of a single HF predicate, and the percentage of total sample words that were accounted for by HF base-forms were calculated. The findings were compared with inflected forms of HF predicates. Results: Sixty-three base forms were identified. The mean frequency of single predicates was 53.83, and 73.97% of the total sample s predicates were accounted for by HF base forms, which shows a great decrease in the number of different words, but a great increase in the mean frequency and the percentage of accountability. Conclusion: The current study provides evidence that a small number of HF base forms of predicates can be used efficiently to produce various types of inflected predicates by combining with endings. The need for developing effective AAC tools that reflect HF base verb forms is discussed.

      • KCI등재

        비도구적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접근을 위한 알츠하이머성 치매환자의 관념운동실행증에 관한 연구

        신상은(Sang eun Shin),권미선(Mi seon Kwon),이재홍(Jae Hong Lee),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1

        Objectives: The potential value of gestures needs to be evaluated as an unaided alternative and augmentative communication (AAC) method to improve the naming ability of persons with Alzheimer s disease (AD). Considering the possible effect of ideomotor apraxia (IMA) in AD patients, the curr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AD groups and a control group in an IMA task and a verb naming task focusing on transitive movements. Methods: Ten patients with questionable AD, 15 with mild AD, 10 with moderate AD, and 12 healthy senio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ask accuracy and error types were analyzed by using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Results: The mild and the moderate AD groups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curacy in the IMA task than the control group. When the body-part-as-object (BPO), delayed, and occurrence errors were considered as acceptable responses,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control and the mild AD groups, whereas significant differences exited between the control group and three patient groups in the verb naming task. Verb naming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IMA task scores in the questionable and the mild AD groups.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gesture can be used as an effective unaided AAC system to supplement verb naming deficit for persons with questionable AD and mild AD regardless of the presence of IMA. Meanwhile, an increase of non-acceptable gestures (e.g., external configuration orientation errors) in the moderate AD requires therapists to consider other alternative approaches to aid their verbal naming.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알츠하이머성 치매(Alzheimer s disease, AD) 환자의 구어를 통한 단어인출의 어려움을 보완하고자 비도구적 보완대체의사소통 체계인 제스처에 초점을 맞추어 도구동작에서 나타나는 관념운동실행증(IMA) 양상을 중증도에 따라 살펴보았다. 방법: 치매의심환자 10명, 경도치매환자 15명, 중등도치매환자 10명, 그리고 정상노인 12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총 15개의 도구동작 문항에 대하여 정반응수와 오류빈도를 분석하였고, 수용 가능한 반응을 재분석하여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비모수통계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아울러 동사이름대기과제에서의 집단 간 수행 차이를 IMA과제의 수행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IMA과제에서 경도집단과 중등도치매집단은 정상노인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은 정반응수를 보였다. BPO를 시간지연 및 횟수오류와 함께 수용 가능한 반응으로 분류하자 정상집단과 경도치매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동사이름대기과제에서는 치매의심집단부터 정상집단보다 많은 오반응이 관찰되었다. 집단별로 두 과제 간의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치매의심집단과 경도치매집단의 IMA과제 수행이 동사이름대기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비록 AD환자가 IMA를 동반하나, 치매의심집단과 경도치매환자에게 제스처는 하나의 기능적인 비도구적 AAC 체계로써 도구동작과 관련한 어휘를 인출할 때에 활용될 수 있다는 근거가 마련되었다. 반면에 수용할 수 없는 반응을 두드러지게 보이는 중등도치매환자의 경우에는 제스처 이외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적 AAC 체계에 대한 모색과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少陰人의 心之範圍에 대한 고찰

        신상원(Shin Sang-won)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0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3 No.3

        Objectives : 少陰人 心之範圍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임상적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Methods : 範圍 개념의 연원이 되는 『周易·繫辭傳』의 언급을 중심으로 範圍라는 술어의 본래적 의미를 탐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東醫壽世保元』에서 설명한 少陰人의 性情의 맥락에서 사용된 心之範圍의 의미를 탐구할 것이다. 또한 少陰人 病證 중 危證에 해당하는 藏厥과 陰盛隔陽의 병리 기전과 관련지어 ‘心之範圍’의 관찰이 예후 판단의 측면에서 갖는 의의를 논의할 것이다. Results : 『周易·繫辭傳』에서 말한 ‘範圍’는 인간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 세계의 변화 양상을 인식하고 여기에 들어있는 경향성을 본뜬 틀을 만들어내는 과정인데, 외부 세계 변화의 過不及에 대해 대비할 수 있도록 하여 萬物을 보호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少陰人 개인 차원에서도 範圍의 작용을 가정할 수 있는데, 少陰人 性情의 특징은 範圍의 목적 및 대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李濟馬는 少陰人의 ‘心之範圍’ 여부를 관찰하여 少陰人의 稟性이 잘 발휘되고 있는지의 여부를 살피고자 하였다. Conclusions : 躁의 有定無定은 병증 전체의 예후를 판정하는 기준이 되며, 躁의 有定無定은 心之範圍가 제대로 이루어지는가의 여부에 달려 있다. 心之範圍를 보기 위한 방법은 少陰人이 겉으로 드러내는 태도를 통해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만약 아주 짧은 시간만이라도 綽綽卓卓한 모습이 나타난다면 ‘心之範圍’가 이루어지고 있어 不安定이 해소되는 흐름이 있는 것으로 보고 치료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게 된다. Objectives :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少陰人 心之範圍’ and to determine its clinical implication. Methods : First, the meaning of the verb ‘範圍’ was examined in 『IChing·XiCi(周易·繫辭傳)』 from where it originated. Based on the findings, the meaning of ‘心之範圍’ in the context of the nature and emotion[性情] of So-eumin as explained in the 『DongUisusebowon(東醫壽世保元)』 was further investigated. Moreover,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the observation of ‘心之範圍’ in relation to determining prognosis was discussed in regards to ‘visceral syncope[藏厥]’ and ‘exuberating yin separating yang[陰盛隔陽]’ which come under the severe symptoms[危證] category in the disease pattern of So-eumin. Results : ‘範圍’ as mentioned in 『IChing·XiCi(周易·繫辭傳)』 refers to the process of creating a framework that takes after the tendencies of the patterns of change of the external world that influences mankind. The objective of this process is to prepare for the excessiveness and insufficiency of the change that happens in the external world so as to ultimately protect all existences. The workings of ‘範圍’ could be assumed on a personal level as well. As the nature and emotion of So-eumin is closely related to the purpose and object of ‘範圍’, Yi Jema suggested that through observing whether the So-eumin exhibits ‘心之範圍’ or not, that it could be determined whether his/her innate nature is being properly exercised or not. Conclusions : Whether one’s agitation calms down or not even for a moment is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prognosis of the entire disease, while its calming-down relies on proper functioning of ‘心之範圍’. The way to determine this is through observation of the manifest attitude of the So-eumin. If the So-eumin displays a poised and autonomous[綽綽卓卓] attitude even for a moment, it could be understood as the ‘心之範圍’ process being properly functioning, indicating the overall direction to be heading towards relief of the sense of instability, allowing for a positive outlook on treatment.

      • KCI등재

        『조선보건사를 통해 살펴본 북한의 전통의학 인식 : 근대 이전 의학사를 중심으로

        辛相元(Shin Sang-won),金鍾鉉(Kim Jong-hyun) 대한한의학원전학회 2021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3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the Joseonbogeonsa by examining North Korea’s perspective in its documentation of the history of medicine, and to further understand North Korea’s perception of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 The focus of examination was on the perspective of historical description as shown in the first chapter of the Joseonbogeonsa. Its unique features were made clear through comparison with historical texts of medicine of South Korea such as the History of Medicine in Korea, and the History of Korean Medicine. In order to grasp the current of historical research in North Korea, various Traditional Medicine related dictionaries and academic journals of North Korea along with the Joseontongsa were examined. Results & Conclusions : The historical views of the Joseonbogeonsa could be categorized as nation-focused, materialistic, and nationalistic. These are core elements that make up North Korea’s self-reliance ideology, which influenced the interpretation of medical facts. While the text is valuable in that it introduced new historical material along with its interpretation, and argued for a mor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raditional Medicine, its limitation of interpreting historical material from a conclusive, pre-determined standpoint cannot be overlooked. The North Korean ‘Goryeo Medicine’ is defined by its historical nature rather than academic characteristics, and its significance is determined by its clinical efficacy rather than theoretical value.

      • 스펙트럼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정합성에 관한 연구

        신상미(Sang-mi Shin),이홍철(Hong-chul Lee)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09 한국지능시스템학회 학술발표 논문집 Vol.19 No.2

        시뮬레이션 방법론에서 정합성(Validation)문제는 모형의 정당성을 입증하는 열쇠이며, 현재까지 정합성 검증에 대한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었다. 하지만, 이중에서 시계열자료(Time-series)를 이용한 정합성 방법론은 개념적인 측면에서는 정립되었으나 그 구체적인 기법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상태이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Wavelet변환과 Cross spectrum과 Power spectrum을 이용한 시계열 데이터의 시뮬레이션 정합성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 번째로 비주기적인 신호분리가 가능한 Wavelet 변환을 이용하여 스펙트럼을 추출하고, 두 번째로 Spectrum 분석을 이용하여 실제 시스템에서 도출된 정현파의 패턴이 시뮬레이션의 패턴과 일치하는지를 검정하였다. 이러한 세밀한 구간별 검증을 통해 지금까지의 획일적인 정합성 방법에서는 할 수 없었던 다양한 상황에서의 시뮬레이션 모형의 타당성을 검증을 가능하게 하였다.

      • 지엠대우 Z20S 고성능 디젤엔진 개발

        신상연(Sangyeon Shin),임경현(Kyunghyun Lim),이중구(Choonggoo Lee),문성채(Sungchae Moon),김승철(Seungcheol Kim) 한국자동차공학회 2007 한국자동차공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논문집 Vol.- No.-

        This paper describes high performance 2.0L inline 4 cylinder diesel engine which GMDAT (GM Daewoo Auto & Technology) has developed for the installation of SUV Winstorm as well as Passenger Cars, Toscar and Lacetti since 2006. It introduced to Korea, Europe and other Markets. This paper will present special features and various technologies for high performance, NVH improvement, low emission, reliability and compact. And it also can comply with EURO4 emission regu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