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루넷(RuNet)과 유라시아-넷(Eurasia-Net): 중앙아시아에서의 러시아 인터넷의 위상
신보람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2 No.2
이 글은 러시아 정부의 디지털 외교 전략이 루넷(Рунет, RuNet)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한다. 루넷은 좁은 의미에서는 러시아에 서버를 둔 러시아 국가 도메인인 동시에 넓은 의미에서는 러시아어를 공용어로 쓰며 전 CIS의 인터넷 유저들이 공유하는 유라시아 공통의 사이버 공간이라 할 수 있다. CIS국가들은 소비에트 정권 아래 유사한 현대화 절차를 밝았으며, 역사, 문화 그리고 언어적 동질성을 공유하고 있다. 바로 이러한 동질성을 바탕으로 사이버 유라시아 공동체인 루넷이 구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루넷의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고 루넷이 한 국가의 인터넷 공간이 아닌 유라시아 지역을 아우르는 유라넷(EuraNet)으로 가지는 기능을 탐색할 것이다. 그리고 2010년대부터 강화된 러시아 정부의 인터넷 검열·규제와 인터넷 기술을 선점하고 있는 서구에 대항적인 디지털 전략의 출범이 루넷에 가져온 변화를 살펴볼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앙아시아에서 인터넷 사용자 수가 가장 높은 두 국가인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의 사례를 통해, 러시아 국경 밖에서의 루넷의 위상과 루넷이 CIS권에 가지는 영향력을 검토할 것이다. 이를 통해 루넷을 통한 유라시아에서의 러시아의 영향력 재구축 및 사이버 패권 확장 가능성을 가늠하고자 한다. This paper explores the effects of the Russian government’s internet regulation and strategy on the Russian Internet, commonly referred to as RuNet. RuNet, defined narrowing as a Russian national domain space, can also be defined more broadly as a cyber space shared by Russian-speaking internet users across Eurasia. It is a cyber space built on the linguistic and cultural commonalities the CIS states share as a post-Soviet legacy. In the case of Central Asia, the digital divide caused by relatively late introduction of modern information technology led Central Asian internet users to integrate into the Russian cyber space. This paper discusses how Russia’s measure to counter Western media influence in Runet and its efforts to nationalize the internet may affect Central Asian ― especially Uzbek and Kazakh ― cyber-space.
신보람,양승옥,송혜원,정명섭,김영석 한국식품과학회 2015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Vol.24 No.6
Effects of adsorbent treatments used for reduction of benzo(a)pyrene (BaP) levels in volatile profiles and sesamol and sesamolin antioxidant contents in sesame oil were evaluated. Charcoal-based activated carbons with different mesh sizes and celite were used as adsorbents. Treatment with activated carbons led to reductions in BaP contents of sesame oil. A small charcoal-based activated carbon particle size was more effective for removal of BaP. Celite; however, did not show an effect on the BaP content of sesame oil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Volatile profiles of sesame oil were not influenced by addition of any adsorbent, and the sesamol and sesamolin contents were reduced by all adsorbents.
신보람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23 슬라브학보 Vol.38 No.2
이 논문은 중앙아시아의 역사와 문화, 특히 실크로드의 중심지였던 사마르칸트에 대해 다룬다. 사마르칸트는 고대 페르시아, 쿠샨 왕조, 티무르 왕조 등 다양한 문화와 역사를 가진 고대 도시로, 유럽, 중앙아시아, 중동 등의 다양한 문명이 교차하는 곳이었다. 또한, 이 도시는 한국과 중국 같은 동아시아 국가들의 실크로드 외교의 중요한 상징으로 부상했다. 사마르칸트의 유적 보존과 관광산업 발전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동시에 이 도시는 중앙아시아의 국제적 문화유산을 대표하는 도시로서 그 중요성을 인정받았다. 그리고 이 논문은 우즈베키스탄 독립 이후 사마르칸트가 어떻게 중앙아시아 실크로드 문명을 대표하는 도시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는지, 그리고 이 과정에서 유네스코와 우즈베키스탄 정부의 협력이 어떠한 역할을 했는지를 탐구한다.
신보람,송혜원,이준구,윤혜정,정명섭,김영석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Appl Biol Chem) Vol.59 No.1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compare the contents of antioxidants (sesamol and sesamolin) and benzo(a)pyrene (BaP), as well as the volatile profiles in sesame oil obtained from sesame seeds cultivated in four different areas in Korea, and those cultivated in other countries, including Ethiopia, India, and China. The sesamol content was lower in Korean sesame oils than in Ethiopian, Indian, and Chinese sesame oils, whereas sesamolin content was higher in sesame oils derived from Korea than those in sesame oils derived from other countries. There was also a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BaP in the sesame oils obtained from seeds in different cultivated areas. The volatiles that allowed Korean samples to be discriminated from those of other countries were mainly pyrroles and sulfur-containing compounds such as 1-ethyl- 1H-pyrrole, 2-ethyl-4-methyl-1H-pyrrole, 2,4-dimethylthiazole, and 5-ethyl-4-methylthiazole.
A. 피트랏의 '최후의 심판'에 비친 소비에트 근대성과 이슬람
신보람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20 중소연구 Vol.44 No.1
This paper explores The Judgment Day (Qiyomat), a short novel written by one of the most prominent Jadid thinkers from Bukhara, Abdurauf Fitrat (1886-1938), who is also celebrated as the founder of the modern Uzbek national literature. The Judgment Day tells the story about Roziqul, an opium-addict who faces his final judgment after death in delirium. First published in Moscow in 1923, it was revised and reprinted in 1935, a few years after Socialist Realism was officially adopted and the Soviet Writers Union was established. In this satirical tale of the after-life, the author expresses his criticism of Soviet modernity by addressing the question of the Islamic religion in the post-Revolutionary Central Asian society. This paper explores how the author’s perspective of modernity and its relationship with religion evolved from the 1920s when the Bolshevik state began its anti-religious campaign to the Stalinist 1930s by comparing the original and edited versions of The Judgment Day. 이 글의 목적은 중앙아시아 자디드 개혁 사상가들의 시각에서 소비에트 근대성을 재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부하라 자디드 개혁 사상의 선구자이자 정신적 지도자이며, 우즈베키스탄 현대 문학의 초석을 다진 압둘라우프 피트랏의 단편소설 『최후의 심판』에 주목하고자 한다. 『최후의 심판』은 1923년 모스크바에서 처음 출판되었다가 1935년에 스탈린 시대의 흐름에 맞춰 새롭게 각색되었다. 『최후의 심판』은 소비에트 러시아가 중앙아시아에 이식하고자 했던 근대성에 대한 중앙아시아 지식인의 비판의식을 드러내며, 특히 소비에트 중앙아시아의 근대성과 이슬람 종교의 관계성을 드러낸다. 그러나 『최후의 심판』의 대한 평가는 두 갈래로 나뉘는데, 한편으로는 저자의 근대적 사유가 이슬람에 대한 반종교적 해석을 가져왔다고 보는 반면, 우즈벡 학자들을 중심으로 저자가 이슬람을 부정적인 시각으로 묘사한 이유는 오로지 소비에트 정부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서이며 민족주의자인 그가 종교 자체를 거부하지 않았다는 주장도 존재한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이분화적 시각에서 탈피하여 피트랏이 설정한 종교와 소비에트 근대성의 관계를 재해석하고자 시도한다. 이를 위해 1923년 원작과 1935년 개작본을 비교함으로써 볼셰비키 혁명 직후부터 스탈린 시대에 걸쳐 소비에트 근대성이 무슬림 중앙아시아 사회에 가져온 변화에 대해 작가의 시각적 전환을 추적하고자 한다.
소련 국가 Гимн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의 탄생과 변천사: 1917-1944 시기를 중심으로
신보람 한국노어노문학회 2024 노어노문학 Vol.36 No.2
본 연구는 1917년 러시아 혁명부터 1944년 “소련 국가(Гимн Советского Союза)”의 법적 제정까지 소련 국가(國歌)의 변천 과정을 분석하여, 소련정부의 국가 정체성 변화 양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1917년 2월 혁명 직후임시정부는 프랑스 혁명 정신을 계승하는 동시에 러시아 민족의 주체성을강조하기 위해 “노동자의 마르세예자 (Рабочая Марсельеза)”를 비공식국가로 채택하였다. 그러나 10월 볼셰비키 혁명 이후, 사회주의 국제주의를표방하는 볼셰비키 정권은 “인쩨르나찌오날 (Интернационал)”을 새로운비공식 국가로 채택하며 프랑스 혁명의 가치에서 벗어나 세계 공산주의 혁명을지향하는 이념적 전환을 드러냈다. 이후, 대조국전쟁을 겪으며 소련은 국제적위상 변화와 더불어 내부적으로 민족주의적 색채를 강화하게 되었고, 1944년 “소련 국가”를 공식 국가로 제정하였다. 이는 소련의 정체성이 초국가적 사명을지닌 노동자의 조국에서 러시아 민족 중심의 국가로 변화했음을 보여주는동시에, “인터내셔널”이 서방 국가들과의 외교 관계에 걸림돌로 작용했던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의도도 반영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 연구는소련 국가(國歌)의 변천 과정을 통해 소련 정부의 국가 정체성이 내부적인요인뿐만 아니라 대외적인 외교적 상황과 국제적 위상 변화에 의해 복합적으로형성되었음을 밝히고자 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transformation of Soviet national identity between 1917 and 1944 by analyzing the changes in Soviet national anthems from the Russian Revolution to World War II. Following the February Revolution of 1917, the Provisional Government adopted the “Worker's Marseillaise” as the unofficial national anthem to inherit the spirit of the French Revolution while emphasizing the agency of the Russian people. However, after the October Revolution, the Bolsheviks, advocating socialist internationalism, replaced it with the “Internationale” as the new unofficial national anthem, marking an ideological shift from republican values to communist internationalism. During World War II, the Soviet Union's international status and internal nationalist sentiments strengthened, leading to the official adoption of the “State Anthem of the Soviet Union” in 1944. This change signified a shift in Soviet identity from a proletarian homeland with a supranational mission to a state centered on Russian nationality. It also addressed practical diplomatic challenges, as the “Internationale” had become a hindrance in relations with Western countries. This paper reveals that the formation of Soviet national identity was shaped by both internal factors and external diplomatic and international status changes, as evidenced by the evolution of the Soviet national anthem.
신보람,배성숙,장종화,김숙향 한국치위생감염관리학회 2013 한국임상치위생학회지 Vol.1 No.1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dental hygiene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self-worth according to their general characteristics and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career identity and self-esteem. Method: Data were obtained from a cross-sectional survey of 160 dental hygiene students.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recruited when they attended 4 Dept. of dental hygiene university. Data were colle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 from March 24 through to May 31, 2010. Career identity was measured by the 18-items and self-esteem was measured by the 10-items. The data was analysed with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using the SPSS program. Result: There were different results of self-esteem according to each subject's satisfaction of their major, major satisfaction and age, but the result of career identity self-worse did not have much difference according to age, satisfaction of major, desired work plac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identity and self-worse has a high correlation(r=0.266).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find out elements to influence dental hygiene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self-worse and develop a program that can improve student's career identity and self-worse based on the result of the above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