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신미희,박숙현,이한철,문은수,이혜원,김보원,Shin, Mi Hee,Park, Sook Hyun,Lee, Han Cheol,Moon, Eunsoo,Lee, Hye-Won,Kim, Bo Won 대한불안의학회 2011 대한불안의학회지 Vol.7 No.2
Objectives : There has been substantial evidence that patients with chest pain have depression and anxiety, and show impaired quality of life (QoL). This study aimed to campare the QoL according to types of chest pain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QoL in patients with chest pain. Methods : Forty-seven patients with chest pain were divided into Cardiac-Typical Chest Pain (CTCP, n=22) and Non-Cardiac-Atypical Chest Pain groups (NCACP, n=25) according to the pain characteristics and cardiovascular disease. Patients were assessed for depression using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for anxiety using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and QoL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ein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 (KvSBQOL). Results : Compared with the CTCP group, the NCACP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anxiety, and lower Q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QoL between the two groups after adjusting for anxiety. The QoL was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trait-anxiety in the CTCP group, and with trait-anxiety in the NCACP group. Conclusion :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re are different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QoL in individuals with CTCP and NCACP. Understanding about these differences can be important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hest pain. A large prospective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se results.
래빗아이 블루베리 ‘Bluegem’ 과피의 프로테옴 분석·
신미희,이증주,강동일,김홍림,김윤희,김진국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1
The blueberry is a bush fruit belonging to the family Ericaceae, in the genus Vaccinium. This fruit has a variety of functional substances and has gained popularity recently due to its antioxidative property and various phytochemical contents including potential role in certain diseases like diabetes. Although a proteomic study has been conducted on a variety of fruits, research on the blueberry is still incomplete. In this study, the proteome of the skin of the rabbiteye blueberry, ‘Bluegem’, was analyzed using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 and then identified using a MALDI-TOF / TOF mass spectrometer. Approximately 810 protein spots were detected on 2DE maps among which 182 spots were thereafter identified using mass spectrometry. The functions of the identified protei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GO-MIPS funcat conversion table. As a result, 30% identified protein spots were functionally classified into metabolism-related proteins (glutamine synthetase, chalcone synthase, anthocyanidin synthase, and flavanone 3-hydroxylase) and 30% to energy-related proteins (enolase, malate dehydrogenase, and ATP synthase). Other proteins were associated with protein fate, cell rescue, defense response, and virulence, such as the heat shock protein peptidyl prolyl isomerase. There were 74 unknown or unclassified proteins included in the gel-electrophoresis separation, which accounted for 40% in functional classification. Further study of the proteins that are currently annotated as “unidentified” or “unknown” will provide more information of the specific functions of the proteins expressed in blueberries. 본 실험에서 래빗아이 블루베리 ‘Bluegem’의 과피에서 발현되는 프로테옴을 이차원 전기연동으로 분석한 결과 총 810개의단백질들이 확인되었으며, 이 중 182개의 단백질들에 대하여 MALDI-TOF / TOF 분석을 실시하였다. 동정된 단백질의 약 30%는 대사와 에너지 관련 단백질이었다. 대사 관련 단백질 중에는 블루베리에서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진 anthocyanin생합성을 조절하는 chalcone synthase, anthocyanidin synthase, flavanone 3-hydroxylase 등이 다수 동정되었다. 에너지 관련단백질 중에는 glucogenesis에서 작용하는 phosphoglycerate mutase, enolas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phosphoglycerate kinase, triose phosphate isomerase 등이 동정되었고, 광합성 명반응과 관련해서는 다수의 ATP synthase가동정되었다. 그 외에도 peptidyl prolyl isomerase 등을 포함한 protein fate와 heat shock protein 70등을 포함한 cell rescue,defense와 virulence 관련 단백질 등 다양한 단백질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한편, 분석된 단백질 spot 중 40%에 달하는 74개는 알려지지 않았거나 미분류된 단백질로 동정되었으며, 이에 대한 추가적인 분석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MIDI 건반을 활용한 치료적 악기연주가 뇌졸중 편마비 노인환자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신미희,강경선 한국재활심리학회 2016 재활심리연구 Vol.2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MIDI 건반을 활용한 치료적 악기연주가 뇌졸중 편마비 노인환자의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의 재활병원에 입원중인 뇌졸중 편마비 노인환자 4명으로, 음악치료는 회기 당 30분씩 주 3회, 총 21회기에 걸쳐 연구를 시행하였다. 환자들의 음악치료 중재 전과 후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MIDI 프로그램을 통해 손기능의 변화를 측정하였고, 퍼듀 페그보드 검사,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 뇌졸중 상지기능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손가락 움직임 속도, 손 조절능력 그리고 손의 기민성에서 환자 4명 모두 개선을 보였다. 그러나 상지기능의 개선은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손기능의 변화가 팔, 어깨의 대근육으로까지 운동범위가 확장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클렌징제품 사용실태 및 피부관리와 피부유형의 관계성 연구
신미희,이민희 한국유화학회 2017 한국유화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7 No.3
현재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황사나 미세먼지 같은 대기오염으로 부터의 보호, 젊음을 유지하기 위하여 혹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하여 등 각각의 이유로 피부관리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커지고 있다. 효과적인 피부관리를 위해서는 정확한 지식을 갖고 자신의 피부유형에 맞는 세안제를 선택해 사용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각 개인별 피부관리에 대한 인지정도와 피부유형별 클렌징 사용에 대한 실증조사를 실시하여 피부관리에 대한 일반적 사항, 실태를 조사하고 클렌징제품 사용실태, 피부관리, 피부유형 간의 관계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간의 상관관계 조사를 실시 하였다. 피부관리 요인과 클렌징제품 사용요인은 피부 당김과 상관관계에 있고 클렌징제품평가요인은 클렌징제품 사용 후 피부변화요인과 상관관계를 확인 할 수 있었다. 피부관리와 피부유형 요인은 실천요인인 세안방법, 이중세안, 세안전후 관리방법 등 모든 요인과 상관관계에 있어 피부관리 실천요인인 세안방법, 세안전후 관리방법이 중요하다. 피부요인 중 클렌징제품 사용 후 피부변화와 피부상태요인은 이중세안과 상관관계와 피부 당김 현상은 세안방법과 상관관계에 있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결과를 보면 소비자는 클렌징제품 사용만으로도 기본적인 세정기능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이나 피부 관리 기능까지 원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순한 클렌징 기능뿐만 아니라 효과성 및 안정성 등 피부에 미치는 영향까지 고려한 스킨케어 기능을 중요시 하는 소비자들의 인식과 욕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클렌징제품 개발에 관한 더 많은 연구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