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일 코리안과 다국가 시민권 - 영화 “피와 뼈”,“디어 평양”,“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를 중심으로

        신명직 ( Myoung Jik Shi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3 石堂論叢 Vol.0 No.56

        재일코리안이 주권과 영토의 불일치 상황, 곧 주권·영토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은 두 가지이다. 하나는 귀환·귀국을 하는 것이었고 또 다른 하나는 상실된 권리와 책무를 일본에서 회복하는 것이었다. 주권·영토의 모순을 해결하기 위한 재일코리안의 노력은 전자에서 후자로의 전환, 곧 ``국민’-단일국가 단일국민론에서 ``시민’-다국가 시민론으로 그 포맷을 바꾸어갔다. 이러한 전환이 이루어진 것은, 해방이후 한 세대가 지난 1970년대 차별반대투쟁과 80년대 지문날인 거부투쟁을 거치면서부터였다. 이글은 특히 두 번째 길, 한국 국적 혹은 북한의 해외공민 자격을 유지하면서도 일본에서도 시민으로서 권리와 책무를 다하면서 살아가는 길, 곧 다국가 시민의 시민권-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무에 보다 주목하고 있다. 이는 영화 ``피와 뼈’, ``디어 평양’, 그리고 영화 ``달은 어디에 떠 있는가’에서처럼, 재일코리안 2·3세들이 1세와 대립 갈등하면서 일본에서 ``시민’으로서 어떻게 살아갈지를 그려낸 대목에서 특히 잘 살펴볼 수 있다. 이 때 ‘시민’으로서의 삶이란 ‘다국가 시민’으로서의 권리와 책무, 곧 남과 북과 일본이라는 다국가 시민권의 깊이와 범위를 확장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까지 재일코리안에게 늘 요구되었던 것은 선택이었다. 조국인가 일본인가, 혹은 남인가 북인가의 선택을 어려서부터 늘 강요받아왔다. 하지만 재일코리안은 그 중 하나가 아니라 그들 모두이다. The way to 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territory and sovereignty for the Koreans in Japan is two. The one is a return to Korea, and the another is a recover of the lost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Japan. The efforts of the Koreans in Japan to solve the contradiction between territory and sovereignty went to change the format, from the nation (one nation state and one nation) to the citizen (multi nation states and the citizen). This transition is made after the struggle against discrimination in the 1970s and the struggle against fingerprinting in the 1980s. This paper is focused in particular to the latter, the way to go to live in Japan while maintaining the rights and responsibilities in Japan with the South Korean nationality or the North Korean overseas citizenship, that is the multi-national citizenship. This is shown clearly in the scene of film such as the scene of the film Blood And Bone or the film All Under the Moon, how to live the 2nd or 3rd generation of Koreans in Japan as a Citizen against the 1st generation. This life as a Citizen means the extension of the depth and range of the multi-national citizenship in the South and North Korea and Japan. It was the choice that the Koreans in Japan have been asked until now. They have been forced to choice between the motherland and Japan, or betwee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always. But Koreans in Japan are not one of them, but all of them.

      • KCI등재

        식민형 ‘중간시민’에서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 화교화인의 변모와 ‘동아시아 시민’의 형성(1) -

        신명직 ( Shin Myoung-jik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8 石堂論叢 Vol.0 No.70

        동아시아에서 화교의 탄생은 동아시아의 국경을 넘어선 시민 곧 초국적 시민의 탄생을 의미한다. 근대의 또 다른 이름이기도 한 식민의 형성과정에서 생겨난 동아시아의 화교는 따라서 동아시아 최초의 초국적 시민이었지만 ‘동원’된 그리고 ‘배치’된 초국적 시민일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이들은 식민지 본국과 거주국 그리고 중국 사이를 넘나들며, 스스로의 지위를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여왔는데, 그 결과 제한적일 수밖에 없던 이들의 초국가성은 변해가기 시작했다. 초국가성에 초점을 맞추어 화교화인의 변모과정을 살펴볼 경우, 크게 3가지 유형으로 살펴볼 수 있는데, 식민형, 동화(同化)형, 중화(中華)형이 그것이다. 화교화인의 지위는 이들 3가지 유형이 변모하는 과정에 따라, 중간자적, 피지배적, 지배적인 형태로 변모되어 갔다. 그 최초의 유형에 해당되는 식민지 시기 화교화인의 ‘식민형’ 초국가성이 화교화인의 중간자적 지위로 이어지게 되는 배경에는, 서구 식민자들의 분할통치구조가 존재한다. 로마동맹에 참가했던 고대 로마시절의 라틴 시민들에게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주어졌던 ‘중간 시민’으로서의 지위와 유사한 지위와 권한이 화교화인들에게 주어졌기 때문이다. 반(半)식민지 중국에서 화교화인을 ‘동원’해낸 서구 식민자들은 이들을 통해 동아시아의 선주민들을 분할통치할 목적으로 화교화인에게 중간시민으로서의 지위와 권한을 배분, 배치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의 초국가성은 반식민지로부터 동원된 것이자 분할통치를 목적으로 배분·배치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서구 식민지 시기 이후 화교화인의 초국가성은 상실되었고, 이들의 지위는 중간자적 지위에서 피지배적 지위로 변모되었다. 이들의 지위변화에는 크게 두 가지 요인이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그 하나는 일본이 서구를 대신한 새로운 식민자로 등장하면서, 선주민들을 반(反)서구 반(反)중국 전쟁을 수행하기 위한 새로운 중간자 곧 화교화인 수탈과 학살에 동원했기 때문이며, 또 다른 하나는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냉전형 개발독재와 계급독재 체제가 초국가성 대신 선주민을 중심으로 한 국가와 국민 만들기에 전념했기 때문이다. 식민지 시기가 끝나자 화교화인들은 실제로, 거주국의 개발/계급독재 세력으로부터 거주국의 ‘국민’이 될 것 -‘동화’를 끊임없이 강요 받았고, 그 결과 많은 ‘동화형’ 국민이 생겨났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들이 거주국의 완전한 ‘국민’이 된 것도 아니었다. 이들은 ‘국민 아닌 국민’ 곧 ‘유사시민’의 지위로 전락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의 화교화인도 마찬가지여서, 냉전을 토대로 한 개발독재가 진행되는 동안 화폐개혁과 토지소유금지법, 서울도심재개발 사업 등을 거치면서 화교화인들은 해외로 도피하지 않을 경우 ‘시민 아닌 시민’의 생활을 영위하지 않으면 안 되었다. 동남아시아 역시 반공 민족주의 정책에 기반한 부미푸트라 우선정책(말레이시아), 농어촌 화교상인 상업활동 금지정책(인도네시아) 등으로, 밀우관계를 통해 유사자본을 형성한 소수 화교화인이 아닌 대다수의 화교화인들은 ‘시민 아닌 시민’의 지위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배화(排華)정책과 화폐개혁, 재산 몰수 등으로 많은 화교화인-보트피플을 만들어냈던 베트남과 마찬가지로 라오스, 캄보디아 등 계급독재를 진행했던 인도차이나 국가의 화교화인의 지위 역시 개발독재 하의 화교화인의 지위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동아시아의 화교화인은 식민기, 개발/계급 독재기, 그리고 중국의 개혁개방이후, 각 시기별 유형은 다르지만 국경을 넘어선 시민 ‘동아시아 시민’으로 형성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이 가운데 특히 식민기의 식민형 ‘중간시민’으로서의 화교화인이 어떻게 개발/계급 독재기의 동화형 ‘유사시민’으로 변모되어갔는지를 살펴보고 있다. The process of development and spread of overseas Chinese around the world has been a result of historical, economic and social policies both in China and in the host countries. The present research discusses the concept of overseas Chinese as ‘intermediate citizen’ in lands under colonial governance, especially in Southeast Asia under European and Japanese rule. It proposes that in both eras, the ruling governments had a 'divide-and-rule' social policy such as had been used in the Roman Empire, in which one group of residents received special rights and privileges in order to separate them from the general populace in order to maintain control. However, overseas Chinese under Japanese rule began to lose the rights that they had had under the Europeans and instead local residents began to play a similar role as intermediate citizens. But the transnationality of overseas Chinese began to be lost, and their status began to be changed from the intermediate to the oppressed. After the colonial period, actually overseas Chinese was forced to be th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 assimilation, by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and class dictatorship. But they didn't become to the true ‘nation’ of the country of residence. They had to fall the status of ‘nation but not nation’ that is ‘ersatz citizen’. Overseas Chinese in the Korea had to flee abroad or had to live as a ‘citizen but not citizen’, because the currency reform, the prohibitional law of landholding, and the redevelopment work of Seoul, during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The status of overseas Chinese in the Indochinese Peninsula that performed the class dictatorship as like Laos, Cambodia, and Vietnam was not much different from the nation under the developmental dictatorship. Vietnam had produced numerous ‘boat people’, namely overseas Chinese injured from the overseas Chinese exclusion, the confiscation of property, and the confiscating poverty. Overseas Chinese in the East Asia has been shaped as the each other transnational citizen namely ‘East Asia citizen’, according to the era of colony, developmental/class dictatorship and after the Chinese Reformation. This article focuses on the transformation from ‘colonial intermediate citizen’ to ‘assimilated ersatz citizen’.

      • KCI등재

        다(多)공화국 인민에서 "다(多)국가 시민"으로- 소비에트 공화국 연방의 해체와 고려인-

        신명직 ( Shin Myoung Ji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4 石堂論叢 Vol.0 No.59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연방은 연합보다도 한 단계 더 높은 결 합 형태, 곧 유럽과 아시아에 걸친 다(多)국가 간의 연방이었다. 소비 에트 초기 연해주 고려인들은 고려인으로서의 문화와 아이덴티티를 간직한 채 ‘소비에트 인민’으로서의 긍지와 열정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었다. 하지만 소비에트 연방의 민족정책은, ‘민족과 민족적 편견에 대한 양보정책’-민족 형성(코레니자치야)에서 ‘모든 노동자의 조국’이 자 ‘유일한 사회주의국가’로서의 소비에트에 대한 사랑-민족 융합으로 바뀌어 갔다. 고려인들의 민족적 아이덴티티보다 소비에트 강화가 더욱 중요한 과제가 되어간 것인데, 그 결과 고려인들은 강제이주와 함께 거주의 제한 곧 특별이주민이라는 낙인이 찍힌 ‘적성 인민’이 될 수밖에 없었 다. 중앙아시아의 고려인들은 ‘적성 인민’이 아닌 진정한 ‘소비에트 인 민’이 되고자 노력했고, 제2차 세계대전을 계기로 소비에트 연방 전체 에서도 칭송받는 사회주의 노동영웅이 되었다. 이주의 자유는 주어지 지 않았지만 고려인들은 ‘소비에트 인민’ 아닌 ‘소비에트 인민’이 되고 자 했으며, 그 결과 53년 스탈린 사후 여러 소비에트 공화국들로 구성 된 국가의 인민, 곧 ‘다(多)공화국 인민’이 될 수 있었다. 하지만 거주 이전의 자유와 함께 시작된 장거리 ‘고본질’은 고려인 들의 집단거주와 생활양식을 바꾸어 놓았다. 고려인들 특유의 소민족 공동체와 콜호즈 기반시스템을 활용한 ‘고본질’ 특히 장거리 고본질은, 중앙아시아의 소비에트 공화국을 거점으로 우크라이나 소비에트 공화 국을 비롯한 여러 소비에트 공화국을 넘나드는 ‘유농(遊農)’형 농업이 었다. 고려인들은 콜호즈에서 도시로 거주 지역을 옮기는 한편, 콜호 즈를 중심으로 한 소비에트 인민에서, 공화국들을 넘나드는 시장 중심 의 시민으로 변모해 갔다. 이 시기의 고려인들을 ‘다(多)공화국 시민’이라 한다면, 소비에트가 해체된 뒤 만들어진 독립국가들 간의 연합(CIS) 이후의 고려인들은 ‘다(多)국가 시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소비에트 공화국 사회주 의 연방’이라는 공화국들로 이루어진 단일한 국가가 ‘여러 공화국들의 연합’으로 바뀌었고, 고려인들은 중앙아시아의 한 공화국의 시민이자, 그곳 연합의 (미완의) 시민이 되었다. 이후 ‘다(多)국가’에는 하나의 국 가가 더 추가되었는데 그것은 한반도의 남쪽 한국이다. 중앙아시아 공화국의 언어, 교육, 경제 정책과 한국이 추진하게 된 이주노동정책과 재외동포정책 등은 고려인들의 유출과 유입을 촉진시켰고, 고려인들은 제한적이긴 하지만 한국에서의 시민적.사회적 권 리와 책무를 누릴 수 있게 되었다. 독립국가연합과 한국을 가로지르는 ‘다(多)국가 시민’이 탄생한 것이다. Union of Soviet Socialist Republics (USSR) was the upper level of union than the European Union(EU), the union of multi nations. The Koreitsy in the Primorsky Krai on the beginning Soviet Union, can be lived with the pride and passion as ‘the people of Soviet’. But the national policy of USSR moved from ‘the concession policy of nation and national prejudice (building of nations : korenizatsiia)’ to ‘the Soviet patriotism as the motherlnd of labor and the only socialist nation (blending of nations). Not the national identity of the Koreitsy but the consolidation of Soviets, went to the more important assignment. As the result, the Koreitsy must be the ‘enemy people’ branded as the special immigrant in the forced migration and the limited residence. The Koreitsy of the Central Asia struggled to be the real ‘soviet people’, not the ‘enemy people’. Eventually got to be the hero of socialist labor. The freedom of movement was not given to them, but they struggled to be the soviet people, consequently they became to be the people of soviet republics, namely ‘the people of multi republics` after Stalin’s death(1953).But ‘the long distance Gobonjil’ started with the freedom of movement, changed the ethnic enclave and life style of the Koreitsy. The long distance Gobonjil utilized the community and the kolkhoz system of the Koreitsy was the trans-republican ‘nomadic farming’ over the soviet republics of the Central Asia such as the Ukrainian SSR. The Koreitsy transferred to the urban areas from the kolkhoz, and turned into the market-oriented citizen over the soviet republics. The Koreitsy at that time was the citizen of the multi republics, then the CIS Koreitsy in the post-Soviet era was the citizen of the multi nations. The unitary state constituted Soviet Socialist Republics changed to the confederation of multi republics, and the Koreitsy got to be the citizen of a Central Asian republic, equally the citizen of incomplete union CIS. Since then one more nation is added to the multi nations, that is South Korea. The policies of language, education, and economy on the Central Asian nations, and the policies of migrant labors and overseas Koreans on the South Korea precipitate outflow and inflow of the Koreitsy. And the Koreitsy can enjoy the civil and social rights/ responsibilities restrictively. The citizen of multi nations across the CIS nations and South Korea was born.

      • KCI등재

        기획논문 : 식민성과 제국의 네트워크, 정념의 공동체 ; 정체(停滯),(政體) 감각과 감각적 결속 : 협동 공동체와 폴케 호이스 콜레

        신명직 ( Myoung Jik Shin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2 石堂論叢 Vol.0 No.53

        근대가 시작하면서 제기되기 시작한 자본주의의 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비단 ``과학적 사회주의``를 통해 이루어졌던 것은 아니다. ``공상적`` 혹은 ``유토피아적``이란 수식어가 따라다녔던 로버트 오언의 실험은, 혁명과 반동 혹은 혁명과 개량이라는 이분법의 잣대에서 벗어나, ``협동에 기초한 공동체론``으로 새롭게 재조명될 필요가 있다. 특히 오언의 ``뉴 라나크``와 ``뉴 하모니``에서의 실험은 ``경쟁``이 아닌 ``협동``을 통해 자본주의의 기본적인 모순을 해결하고자 한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가가와 도요히코의 ``농민 소비조합``운동과 ``신국(神國) 운동``·``사랑(愛)의 사회주의``로, 식민지 조선에선 ``기독교 농촌 연구회``를 만들었던 배문식, 유재기, 최문식의 ``농우회``와 ``예수촌 건설``운동으로 이어졌다. 천도교 청년당이 중심이 되어 움직였던 조선농민사의 농민공생조합이나 공동경작계, 아울러 그 연장선상에서 추진되었던 ``자주촌`` 건설 역시, 폭력적 혁명론과는 일획을 그은 자본주의 ``경쟁``원리를 넘어설 ``협동 공동체론``에 기초한 실험이라 할 수 있다. 협동 공동체론의 골간을 이루는 것은, 엘리트 중심이 아닌 농민을 그 중심에 세운 덴마크 그룬트비히의 농민 공생 교육론과 그 농민학교인 ``폴케 호이스 콜레``이다. 이는 일본 다이쇼 데모크라시 시기 우치무라 간죠와 가가와 도요히코 등이 농민 협동 공동체를 만들기 위한 ``국민 고등학교``로, 식민지 조선에선 기독교 계통의 ``고등농사학교``와 ``농민수양소``, 천도교 계통의 조선농민사가 운영하던 ``농민 강습소``와 농민야학으로 구현되었다. 자본주의에 맞설 또 다른 길을 꿈꾸어오고 실천에 옮겨온 이들 협동 공동체론자들의 실험은, 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생협운동과 스페인 몬드라곤 등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완료형이 아닌 현재진행형이다. The effort to overcome the problems of capitalism is not only ``scientific socialism``. The experiment of Robert Owen is always followed by the modifier of ``fantastic`` or ``utopian``, but it is necessary to shed new light on his experiment as ``the cooperative community``, out of the dichotomy of ``revolution or reaction`` and ``revolution or reform``. The experiment of Owen on the New Lanark and New Harmony is the result of trying to solve the basic contradiction of capitalism, not by competition but by cooperation. It was continued to not only the peasant consumers` cooperation, the movement of a Divine Land, and the socialism of the Love on Kagawa Toyohiko, but also the peasant association, the movement of the village of Jesus on Bae Munsik, Yu Jaeki, and Choi Munsik built the ``Association of Christian Agricultural Study``. The ``Peasant Cooperative Association``, the ``Cooperative Cultivation Kye``, and the ``Independent-Peasantry Village`` of the Chosunnongminsa (of the Ch`ondogyo Youth Party) is also the experiment based on the cooperative community to get over the theory of competition of the capitalism, not on the violent revolution. The essence of the theory of cooperative community is the theory of peasant cooperative education, and the Folk High School (Folkehøgskole) of N. F. S. Grundtvig, not focused on the elite, but focused on the peasants. This influenced on the Nationary High School to build peasant cooperative community of Uchimura Kanzo and Kagawa Toyohiko during the period of Taisho democracy in Japan. And this also influenced on the High Agricultural School, and the Peasant Self-culture School of christian corollary, and on the Peasant School of the Ch`ondogyo corollary. The experiment of cooperative communitarian to dream and practice the another way to stand against the capitalism is the present progressive form, not the perfect tense as the movement of Japanese Coop and Mondragon of Spain.

      • KCI등재
      • 가리봉을 둘러싼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신명직(Shin, Myoung-Jik)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1 로컬리티 인문학 Vol.0 No.6

        가리봉 공간은 탈영토화와 영토화/재영토화를 반복해왔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때 탈영토화, 재영토화는 국가 층위만이 아닌, 초국가적, 로컬 층위에서 함께 검토될 필요가 있다. 먼저 국가층위에서의 가리봉의 영토화란, 개발독재 시기 농촌에서 구로 수출공단으로 이주해온 노동자들에 의해, 87년 이후 가리봉의 탈영토화는 이들이 가리봉으로부터 벗어나 지방이나 해외로 벗어나면서(로컬 층위), 재영토화는 이들 자리를 대신하여 중국 조선족을 비롯한 이주노동자들이 들어오기 시작하면서 시작되었다(초국가 층위)고 할 수 있다. 물론 각각의 층위는 상호작용을 하며 각 단계별 탈영토화와 재영토화를 추진해왔다. 특히 87 이후 중국 조선족에 의한 가리봉의 재영토화 과정을 살펴보기 위해선, 먼저 가리봉 이 성장과 발전 대신 어떻게 슬럼화, 게토화, 이너시티화의 길로 들어서게 되었는지(빈곤의 순환)를 살펴볼 필요가 있는데, S.사센은 이를 상대적 고임금층이 되어버린 중간층의 이전ㆍ해체와, 양극분해된 초고소득층과 이주노동자 유입에 따른 비공식부문 종사자의 확대로 설명한 바 있다(가리봉의 탈영토화와 재영토화). 이를 ‘초국가적’ 층위에서 살펴볼 경우, 문제가 되는 것은 ‘초국가적 가족 네트워크’이다. 소설 〈가리봉 연가〉의 주인공 명화의 결혼이주 과정에서도 볼 수 있듯이, 조선족의 초국가적 네트워크는 주로 여성 중심의 모계 네트워크 양상을 띠고 있다. 상대적 과잉인구, 분절된 노동시장과 같은 시스템이 만들어낸 국경을 넘어선 ‘가난’이, 이와 같은 ‘초국가적 가족 현상’을 만들어냈다고 할 수 있다. ‘국가’층위에서 재영토화는 특히 ‘불법체류’ 환경과 직결된다. 소설 〈가리봉 양꼬치〉에 등장하는 폭력조직들처럼 가리봉은 게토화, 조선족만의 전유 공간화되는 경향이 있다. 이는 국가 단위의 관련법 제정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끝으로 ‘로컬 층위’에서 살펴본 가리봉은 임시적이고 유동적인 ‘소수민족 집단 거주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에로의 역이주와 로컬단위의 도시 정책들은 가리봉이 안정적인 ‘소수민족 집단 거주지’화 하는 것을 방해한다. 결국 가리봉이란 공간이 탈영토화와 재영토화의 순환을 끊고, 안정적인 생활공간으로 자리잡기 위해선 새로운 개념의 ‘영토주권’이 재정립될 필요가 있다. 이는 조선족 이주민들과 기존의 지역주민과의 소통(친밀성)을 통한 초국가적인 동시에 로컬한 영토주권의 확립을 의미한다. Garibong is repeated deterritoralization and reterritoralization. These notions are examined not only in the national layer, but also trans-national and local layers. In the first, territoralization of Garibong in the national layer is started from the domestic migrant labors (from the rural district to Guro export industry complex). And the second is the deterritoralization of Garibong in the local layer, from Garibong to the country or the overseas after 1987. The third is the reterritoralization of Garibong in the transnational layer with the Korean Chinese. It is matter of course that the each layers have proceeded the deterritoralization and reterritoralization by the mutual action to the each stages. In order to consider the process of reterritoralization by the Korean Chinese, we must to search the conversion of slum/ghetto/inner-city, instead of the growth and development (the circulation of poverty). Sassen has been to expain this, as the transfer and dissolution of middle class and the increase of the very high income gentrification and migrant workers of the informal sector. Specially the problem on the transnational layer is the transnational family network. As the process of wedding migrant in the novel of “Garibong love song”, the transnational network of the Korean Chinese takes on the aspect of women centered network. The poverty over the border created from the system of the relative overpopulation and the segmented labor market, created out this transnational family phenomena. The reterritoralization on the national layer is connected to the environment of the illegal stay directly. Garibong is apt to be ghettoization and becoming exclusive space of only Korean Chinese as the gangster in the novel “Lamb Skewer of Garibong”. This is closely linked with the enactment of national legislation. Finally, Garibon on the local layer is going to the temporary and flexible ‘ethnic enclave’. The reverse migrantion to China and the urban policies on the local layer interfere the stabilization of the ‘ethnic enclave’. In the end it needs the new concept of ‘territorial sovereignty’ in order to break the circulation of the deterritoralization and reterritoralization and to settle the stable living space. It means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transnational and local ‘territorial sovereignty’ through the conversation (intimacy) with the migrants of the Korean Chinese and the residents of Garib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