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자크 데리다의 해체론에서 메시아주의 없는 메시아성 연구

        신명아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6 문학과종교 Vol.21 No.3

        자크 데리다의 해체론은 지금까지 포스트모던 담론으로서 G. W. F. 헤겔, I. 칸트 등 이성중심주의에 서 이성의 한계와 진리의 현존성의 부재, 즉 진리의 불 가해성에만 관심을 두면서 말의 유희에 고착된 비정치적이고 현실 사회에 유용 하지 않은 현학적인 사변적 학문으로 비판받아왔다. 그러나 데리다의 연구를 깊 게 진행한 학자들은 데리다의 해체론 이론이 얼마나 현실 사회에 직접적 관계 를 가지고 유효한 이론적 특을 제공하는지 인식하게 된다. 예를 들어, 데리다의 『불한당들』은 9․11 사건 이후 이라크를 재침공한 미국의 정치적 역사를 언급 하면서, 미국의 패권주의 형태를 불한당으로 묘사할 뿐만 아니라, 미국이 과거 에 아프가니스탄을 대상으로 러시아와의 간접적 전투에서 이기기 위해, 즉 미국 자신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길러낸 오사마 빈 라덴 같은 전사들이 어떻게 수 십 년 이후 미국을 직접 공격하는 관계를 가지게 되었는가를 자가면역의 개념으로 설명한다. 데리다는 패권주의의 정치적 행태가 자기를 보호하는 정책의 일환이 거꾸로 자기를 공격하는 결과적 구조를 가짐을 폭로하면서, 정치적 차원이나 개 인적 차원의모든 자기는 진정으로 타자를 품어주는 레비나스적 윤리의 차원을 가져야한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다. Jacques Derrida’s deconstruction is misunderstood as lacking in historical and political perspectives due to its emphasis on indeterminacy of truth and its attack on presence of speech in metaphysical thoughts. This paper reveal how Derrida’s views of messianicity without messianism prove to be political and historical enough, as exemplified in his views of democracy to come and his criticism of hegemonic countries’ autoimmune policy toward the so-called rogue states such as Iraq, proving themselves to be rogue states themselves. Due to this autoimmune possibility, Derrida emphasizes ever-inclusive attitude toward the other, influenced by Emmanuel Levinas, but never essentializing the other as absolute substance. This view leads Derrida to deny apocalypse as the end of linear time and messianism as the end of theology itself. Derrida deconstructs democracy as it is and believes in our ever critical attitude toward the established system or thought, related to law itself, and awaits justice to be done, because of messianic structure of truth and justice.

      • KCI등재

        Deleuze in the Age of the Theological Turn

        신명아 한국비평이론학회 2017 비평과이론 Vol.22 No.3

        Hent de Vries points out the ‘Turn to Religion’ in contemporary philosophy, selecting a typical case of Derrida’s essay, “Faith and Knowledge”. The religious turn or the theological turn is also revealed in Dominique Janicaud’s complaint against this turn exemplified by French philosophers such as Levinas, Michel Henry, Jean-Luc Marion, etc. Where does Gilles Deleuze stand in this age of the theological turn? As is well known, Deleuze manifests his atheist position in his attacks on religion in contrast with philosophy, art and science. Because of these messages, those who approach Deleuze in terms of theology express their apologies that this kind of approach may sound oxymoronic. Lindsay Powell-Jones starts the book she edited with F. LeRon Shults, Deleuze and the Schizoanalysis of Religion, with the remark that “As Mary Bryden writes in Deleuze and Religion, the topic might even appear to be a perverse one.” In this paper, Deleuze’s theoretical views will be revealed to be helpful to construct a positive relation between Deleuze and theology as is reflected in Deleuze’s remark on Spinoza: “Christ was incarnated once, in order to show, that one time, the possibility of the impossible. Thus Spinoza is the Christ of philosophers, and the greatest philosophers are hardly more than apostles who distance themselves from or draw near to this mystery.” Specifically this paper will deal with Deleuze’s notions of the plane of immanence, the concept of the body without organs, etc. to show how Deleuze’s philosophy reveals to be theological and his concept of becoming can be interpreted as becoming-divine, becoming-God, both of which mean to go beyond the human so that this becoming-divine comprises all the elements of the world in flux. This paper will also show how Deleuzian philosophy of immanence inspired by Spinoza reflects perichoresis of the dynamic relation among the Father, the Son, and the Holy Spirit in immanence being ever being open to the eternal return of difference.

      • KCI등재
      • KCI등재

        How to Vitalize the Concepts of Hardt’s and Negri’s Multitude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rough Lacan’s and Agamben’s Views of Subjectivity

        신명아 영미문학연구회 2010 영미문학연구 Vol.18 No.-

        Globalization represents the view that the world is transnational and is making the subjects as global citizens. According to this view, globalization transforms the power of the nation state as powerless, and requires modern subjects to think of their status in entirely new perspectives. Stuart Hall is one of the theorists who asks us to regard our social status from the perspectives other than those of orthodox Marxists who define subjectivity as a product of economy only. Hall advocates the need to regard subjectiivity in terms of race and gender and supports identity politics. In contrast to Hall, Slavoj Žižek rejects identity politics, prioritizing the issue of social antagonism of class. Giorgio Agamben also has negative attitude toward identity politics, not because of his prioritization of any specific issue among the three social categories of gender, race and class, but because of his hatred of humanization in this society. Žižek’s Lacanian psychoanalytic theory covers the practices of psychoanalysis and Marxism in his views of subjectivity, while Agamben’s analysis of biopolitics, that is, thanapolitics of the Western society covers the practice of Foucault’s theory of the relation between power and knowledge, and power’s apparatus of the ‘state of exception’ in its construction of law and subjectivity. The intent of this paper is to cast new light upon Negri’s notion of the multitude which needs to be redressed with the notions of ontogenetic levels of human psyche as well as with the phylogenetic notions of collectivity hand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forms of gender and class. Though Hardt’s and Negri’s notion of the multitude is covering many aspects of the laborers of information and digital age, it lacked critical analysis of how this globalization in the digital age affects subjectivity in terms of gender and race as well. This paper will implement Hardt’s and Negri’s concept of the multitude with the help of Lacanian and Agambenian paradigms. Lacanian perspectives will sharpen our tools to look at subjectivity in the age of globalization with the concepts of ‘object a,’ the cause of desire, and drive. These Lacanian concepts deal with the indeterminate relationships between the psyche and the environment outside the subject. These concepts connect both the ontogenetic and phylogenetic aspects of a modern global subject by showing how desire denoting the inner world of a subject eventually is transgressed by its own drive to go beyond his own object of desire. Agamben’s perspective shows how ‘bare life’ or the Muselmann, the subject of modern biopolitics subversively deconstructs the ever enforcing binary structure of the human/nonhuman and the constituting power/constituted power. This view is based on the fact that the Muselmann both suffers individually the biopolitical oppression of the constituting power and still transforming himself to be the enduring and invincible ethical being with his capacity to feel ‘shame’ in confrontation with the atrocity of the constituting power of biopoltics. This ‘bare life’ of Agamben presents an exemplary figure of subjectitivy of ‘alternative modernity’ which Hardt and Negri aim to depict in their theory. These indeterminate relationships of subjectivity as described by Lacan and Agamben implement Hardt’s and Negri’s concept of the multitude by providing it with singular aspects of subjectivity which are absorbed in the notion of the multitude as a collective ent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페미니즘과 테크노사이언스: 다나 해러웨이의 테크노사이언스 이론을 통한 타자억압적 남근이성중심 사회의 극복방안 연구

        신명아 한국비평이론학회 2005 비평과이론 Vol.10 No.1

        이 연구는 사이보그 정치학에 기초한 해러웨이의 테크노사이언스 이론을 통해 ‘부적합한’ 타자(‘inappropriate/d’ other)를 억압하는 남근이성중심사회를 극복하는 방법을 찾는데 있다. 논문 초기 부분에서 에블린 폭스 켈러의 시각을 통해 과학담론이 여성을 억압하는 양상을 살펴본다. 캘러가 과학의 객관성을 하나의 망상으로 규정하고 과학은 대상물에게도 감정이입을 하는 ‘열려있는 과학’이어야함을 주장하는 것을 관찰한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해러웨이가 이런 켈러의 과학 개념을 기초로 억압된 과학대상의 사회문화적 현상을 충분히 반영한 “상황적 지식”(‘situated knowledge’)을 내세우는 과정을 설명한다. 특히 ‘상황적 지식’이란 이런 억압받는 주체들이 처한 상황에 기입된 권력과 인종적 계급적 성차적 이데올로기의 관계망을 다루는 것임을 지적한다. 또한 해러웨이가 이런 지식의 옹호를 위해 진정한 ‘온전한 증인’이라는 개념을 제시한 것을 살핀다.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정치학은 전형적인 위계질서적 이항 대립을 파괴하는 사이보그의 잡종성의 정치학임을 논하면서, 해러웨이가 보는 진정한 ‘온건한 증인’은 현대의 문화적 과학적 산물인 현대적 주체, 즉 이항대립적인 산물인 일관적인 정체성의 정치학을 거부하고 이러한 정치학이 설정한 범주들을 넘나들고 해체하는 ‘뱀파이적이고 사이보그적 괴물’의 형태임을 강조한다.마지막 부분에서는 두명의 여류 페미니스트 공상과학 소설가, 마지 피어시의 『그, 그녀, 그것』(He, She and It)과 조아나 러스의 『여성[남성]적 인간』(The Female Man)을 사이보그 정치학의 잡종성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피어시의 소설은 사이보그에 대한 다양한 혁명적인 인식론적 시각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이성애중심적이고 핵가족적 오이디프스 구조의 흔적과 인종적 편견을 발견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반면에 이런 결점은 후자인 조아나 러스의 소설에서 급진적인 여성적 시각, 즉 ‘남성과 여성’이라는 두 상반적 개체를 한 몸으로 육화한 ‘여성적 남성 [인간]’의 잡종성을 대변함으로 인해 보완되고 있음을 논의한다. 결론 부분에서는 해러웨이의 사이보그 정치학을 기초로 한 테크노사이언스 이론은 원래 피어시와 러스의 공상과학적 상상력에 힘입은 결과였지만, 이제 여전히 남근이성중심적 편견의 온상인 남성 공상과학 소설 및 사회 전반의 반여성적 편견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게 현대기술문명의 양상을 과학적으로 파악하고 비판하면서, 이분법의 해체를 도모하는 해러웨이의 테크노사이언스 이론이 필수적임을 강조한다. 또한 해러웨이의 해체적 전략이 가지는 한계도 지적하여서 이런 한계의 극복을 위해서는 문학과 구체적 ‘상황적 지식’의 협동적 관계가 필수임을 지적한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