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과학 교과서 삽화 이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안구 운동의 차이

        신동훈,최현동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생물교육 Vol.41 No.2

        1.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 삽화의 관심 영역별 진입시간을 토대로 시선 흐름을 나타내면 <표 4>와 같다. 진입 시간은 관심 영역에 처음으로 응시가 일어난 시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SMI, 2011b). 진입 시간을 기준으로 시선 흐름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각 삽화의 관심 영역을 모두 응시하였으나, 학생 S2와 S3의 경우에는 삽화의 제목을 응시하지 않았고, S3은 화살표에 대해 응시한 경우가 나타나지 않았다. T1은 그림→제목→언어→화살표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T2는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T3은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다. S1은 그림→화살표→언어→제목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S2는 그림→화살표→언어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S3은 그림→언어 순서로 응시하였다. <표 4>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교사들은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 학생들도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나, 다음으로 화살표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화살표를 응시하지 않은 S3 제외). 삽화의 관심 영역 중 제목과 언어를 언어적 정보로, 그림과 화살표를 시각적 정보로 간주할 경우,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 모두에 대하여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가 언어적 정보보다 진입 시간과 시선의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arasuraman(2000)의 인간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면상 좌우에 따른 탐색에선 텍스트일 경우 좌측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되며, 화면상 높이에 따른 탐색에서 텍스트일 경우 화면의 위쪽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삽화의 경우, 시각적 정보(그림과 화살표)와 언어적 정보(제목과 언어)가 혼재되어 있으나, Parasuraman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의 패턴을 보여준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삽화의 가운데에 나타난 그림 영역을 먼저 탐색하였고, 이후 우측의 언어와 화살표, 그리고 하단의 제목 영역이 탐색되는 양상이었다. 인간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 행위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원인에 의해 행위가 이루어진다(김규정 등, 2011). 즉, 주위 자극에 의해 시선 주의가 유발되는 탐사적 탐색과 지각자 본인에 의해 유발되는 목적지향적 탐색이다. 탐사적 탐색은 주의를 유발시키는 자극들에 영향을 받는다. 크기, 색, 위치, 특이함, 움직임 등의 자극들을 에로 들 수 있다. 반면에 목적지향적 탐색은 인지 구성 요소가 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인지 구성 요소는 신념이나 지식, 동기, 기대, 관여, 목적 등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김지호 등, 2006). 이 연구에서 피험자들의 영역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을 살펴볼 때, T1만이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하였으며,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탐사적 탐색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T1은 삽화의 제목을 먼저 찾는 시선 흐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최현동과 신동훈(2012)의 표에 대한 안구 운동 추적 연구에 따르면, 제목은 전체 내용에 대한 단서를 찾는 중요한 인지작용으로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한다는 근거가 된다. 그들은 연구에서 목적 지향적 탐색은 효율적인 검색과 인지적 부담을 적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T1을 제외한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제목에 대한 진입 시간이 다른 요소보다 가장 늦었으며, S2와 S3은 제목에 대한 시선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하더라도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모두 살피는 시선 흐름이 나타난 반면에,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에 더욱 주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이 삽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차이를 목적지향적 탐색과 탐사적 탐색으로 구분할 수는 없다. 다만 삽화 이해 과정에는 인지 발달과 같은 연속적인 탐색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는 있을 것이다. 즉, 인지적 효율성이 뛰어난 목적 지향적 교사 T1을 상위에 두고, 탐사적 탐색인 교사 T2, T3을 다음에 두고, 학생 S1, S2, S3의 순서적 발달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한 교사들보다 일부 항목에 관심을 두며, 삽화에 기록된 특이함 등을 강조하는 눈에 띄는 요소들을 찾아가는 시선 이동을 하였기 때문이다. 또, 학생들 사이에서도 일부 영역에서 시선 이동의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2.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 <표 5>에는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이 나타나 있다. <표 5>를 살펴보면,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그림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과 응시점의 수가 다른 영역의 응시 시간이나 응시점의 수보다 월등하게 많았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을 많이 응시하였다. 그러나 제목과 화살표를 응시하는 측면에서는 개별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사들과 학생 S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shown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extbook illustration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udents and three teachers. Eye-tracker was used in order to collect eye movement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common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center of textbook illustrations at first, and they were mostly interested in picture area. But there were different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ye path when interacting with picture area and language area. Students processed cognitive information with low-level visual features and focused on picture area. However, teachers were interested in information process that various areas interacted actively. This implies that textbook illustrations should emphasize picture area that students easily read and analyze.

      • KCI등재

        일상 속 이주민 목격과 대중매체의 이주민 재현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신동훈,양경은 경희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0 社會科學硏究 Vol.46 No.1

        With the advent of multicutural society and the increasing immigrant population, the importance of multicultural acceptance continues to grow. Intergroup contact, an important precondition regarding this matter is of great interest in the academic field. By using <2015 Survey of Multicultral Acceptance in Korea>,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rect contact and indirect contact via media on multicultural acceptance of non-immigrant Koreans. Study results revealed that frequent superficial contact had a nega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cceptance, whereas the effect of indirect contact varied depending on the kind of image portrayed on media. Immigrants portrayed as good civilian or victims had a positive effect. However, frequent indirect contact of immigrants with threatening image was negatively related to multicultural acceptance. Direct contact had a reinforcing effect on such media effects. Such results suggest a strong need to approach contact from various angles. Moreover, there is a strong need for the media to cover contents including multiculturalism as well as diversity issues. 이주민과 비이주민 간 접촉은 다문화사회로의 이행 과정에서 다문화에 대한 인식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기제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연구는 「2015년 국민다문화수용성 조사」를 활용하여 일상 속에서 이주민을 목격한 경험과 미디어를 통해 이주민과 간접적으로 접촉한 경험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이주민 목격빈도가 높은 경우 다문화수용성이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대중매체를 통한 접촉은 이주민의 모습에 따라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선량한 모습 또는 피해자의 처지에 놓인 이주민을 자주 접하는 경우 다문화수용성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나, 위협적인 이주민의 모습을 자주 접하는 경우 부정적으로 작용했다. 또한, 이주민 목격은 대중매체 속 이주민 유형의 효과를 강화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이주민과 접촉 상황을 세분화하여 접근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동시에, 방송을 포함한 다양한 매체들이 일정한 틀에 맞추어 이주민을 묘사하기보다 문화적 다양성을 부각하는 콘텐츠를 반영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소송사기에서의 불능미수

        신동훈 사법발전재단 2024 사법 Vol.1 No.68

        소송사기에서 판결의 효력이 피해자에게 미칠 수 없다면 사기죄의 기수는 성립할 수 없다. 소송사기에서는 소제기 시점에 실행의 착수가 있다고 보고 있으므로 위와 같은 이유로 사기죄의 결과발생이 불가능하여 사기죄의 기수가 성립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였다면 그다음으로 불능미수의 성립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나 판례는 대부분의 사안에서 불능미수에 대해서 검토조차 하지 않고 있고, 불능범 또는 불능미수범을 언급한 사례에서도 위험성에 대한 검토 없이 결과발생의 불가능에 연이어 위험성이 없다는 결론만을 간단히 설시하고 있을 뿐이다. 불능미수에서의 핵심적인 부분은 위험성 판단이라 할 것인데, 판단의 대상과 주체를 구분하여 논의하는 것이 적절하다. 우선 위험성 판단의 대상은 구체적 위험설에 따라 행위 당시에 행위자가 인식한 사정과 일반인이 인식할 수 있었던 사정을 판단의 기초로 하되, 양자가 일치하지 않을 때에는 일반인이 인식가능한 사정을 기초로 하여야 한다. 판단의 주체는 규범의 수범자인 통상적인 사회일반인을 기준으로 하여야 하고, 전문가를 기준으로 할 것은 아니다. 다만 소송사기에서는 피기망자가 법률전문가인 법원이므로, 위험성을 판단하는 주체인 일반인도 법원이 소송에서 정당한 법리를 적용할 것이라고 신뢰할 수 있고, 그 한도 내에서는 자신이 느끼는 위험성을 상쇄시킨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사망자를 상대로 한 소송에서 행위자가 상대방의 사망사실을 알고 있는지 여부와 상관 없이 일반인이 사망사실을 알고 있었다면 법원으로서는 상속인으로의 당사자표시정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한 피고의 사망을 이유로 소각하판결을 하여야 하므로, 일반인의 입장에서도 원고 승소판결이 내려질 위험성은 없어 불능미수가 성립하지 않는다. 반면 일반인이 사망사실을 알지 못한다면 법률전문가인 법원의 관점에서도 그 판결은 유효할 수 있으므로 위험성이 인정된다. 결론적으로 법원은 소송사기에서 결과발생의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하면 곧바로 사기죄의 성립을 부정할 것이 아니라 다음 단계로 위험성이 있는지 검토하여야 하고, 그에 따라 불능미수의 성립 여부에 관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If the effect of the judgment cannot affect the victim in litigation fraud, the consummation of the crime of fraud cannot be established. In litigation fraud,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an commnecement of the commission of the crime at the time of filing the lawsuit. Theref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outcome of the fraud crime is impossible for the above reasons and therefore the crime of fraud is not established, then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establishment of an impossible attempt. But precedents do not even review the impossibility attempt in most cases. The key part of the impossible attempt is risk judgment, and it is reasonable to discuss the object and the subject of judgment separately. The object of risk judgment is based on the circumstances recognized by the perpetrator at the time of the act and the circumstances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have recognized. If the two do not match, it should be based on the circumstances that the general public could recognize. The subject of judgment should be based on the general public, who obeys the norm, and not on experts. However, in litigation fraud, because the person listening the deception is a legal expert, the general public, who is a judge of risk, can have confidence that the court will apply fair legal principles in the litigation, and within that limit, the risk he feels is offsetted. Therefore, if the general public knew of the death in a litigation against the deceased, the court must decide to dismiss the lawsuit on the grounds of the defendant’s death, so there is no risk of winning the plaintiff from the general public’s point of view and impossible attempt is not established. In conclusion, if the court determines that there is no possibility of a result arising from litigation fraud, it should not immediately deny the establishment of fraud, but should examine whether there is a risk in the next step and judge accordingly whether an impossible attempt is established.

      • KCI등재

        복합 파라볼라형(CPC) 모듈을 이용한 태양광/촉매/오존 공정에서 초기 pH 변화에 따른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 제거 속도에 관한 연구

        신동훈,나승민,채금화,김지형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4

        이 연구에서는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을 제거하는데 태양광/촉매/오존 공정에서 적정 pH 조건을 찾기 위해 각각 pH 3, 6.5,10 조건에서 제거속도를 알아보았다. 태양광/촉매/오존 공정에서 각각의 pH 조건(3, 6.5, 10)에서 4시간 동안의 DCAN 제거율을 알아본 결과 각각 43.8, 91.1, 98.2%로 pH 10 조건에서 가장 높은 제거속도를 보였다. 그 원인은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자체 분해와 오존의 분해 메커니즘의 변화 때문이었다. pH 6.5 조건에서도 91.1%로 높은 제거율을 보이는데 그 원인은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 촉매 흡착량 증가로 촉매표면에서의 전도대의 전자와 오존의 반응으로 인해 흡착된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이 분해되기 때문이다. pH 3 조건에서는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의 촉매 흡착이나 오존의 반응 메커니즘 변화로 인한 제거속도향상 효과가 없기 때문에 제거속도가 가장 저조한 현상을 보였다.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o reaction rate of dichloroacetonitrile(DCAN) in each pH(3, 6.5, 10) using heterogeneous photocatalytic ozonation in order to determine optimal pH in photocatalytic ozonation (solar/TiO2/O3) process. The results, showed that DCAN was removed at pH of 3, 6.5, and 10 within 4h, and that the corresponding removal rates were 43.8, 91.1, 98.2%,respectively, in the solar/TiO2/O3 process. The highest reaction rate was observed at pH 10. These results could be attributed to the self-decomposition of DCAN and the change in the mechanism of the ozone process. Besides, pH 6.5 also achieved a high degradation rate(91.1%) which is due to DCAN adsorbed onto the catalyst surface and reacted with radicals(·OH) generated by the reaction between ozone and electron(e-) released from the conduction band of catalyst. The lowest degradation rate was observed at pH 3 due to absence of adsorption and no change in ozone reaction mechanisms.

      • KCI등재

        도시하천경관복원 접근방법에 관한 고찰- 청계천 복원사업을 사례로 -

        신동훈,이규석,Shin Dong-Hoon,Lee Kyoo-Seock 한국조경학회 2004 韓國造景學會誌 Vol.32 No.4

        In the 1960s, polluted urban streams were covered and paved in concrete. Rivers became sewers buried under road. As a result, wildlife habitat was lost and the open stream space was gone. In the 1990s, there was a movement for restoring urban streams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inhabitants. Chungkye Stream, whose covering began from early 1950s and ended in 1977, is now in the process of restoration together with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CBD) Redevelopment Plan. However, as the construction proceeds, several problems were raised, and serious controversies result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the approach of the Chungk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a site survey, and to present the improved alternative. Ultimately, the study aims to contribute to present references or guidelines for similar urban stream restoration projects. The Chungkye Stream Restoration Project has some of the following problems. First, the construction should be done based on the long-term urban redevelopment plan. Second, the construction period should be extended to restore urban streams. Third, the cultural asset conservation plan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fulfill the anticipated purpose, the above mentioned problems need to be solved.

      • KCI등재

        자연형 하천공사 후 도시하천의 식물상 변화

        신동훈,노태성,오휘영,이규석 한국조경학회 2003 韓國造景學會誌 Vol.31 No.4

        Natural stream work has been implemented recently to improve the urban stream environment in Korean cities. Many plants planted in the early work have not survived because they were not suited to the site and therefore failed to adapt to the riparian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loral change at the riparian environment after completion of the natural stream work by comparing the differences between planted species during the work and the current species at the study site. The study site was the stream area between Yeongdohng 2 bridge and Yeongdohng 3 bridge at Yangjae-cheon Stream, Gangnam-ku, Seoul, which was the prototype site of G-7 project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erived after doing this study: Among the 50 species planted during the work, 23 species survived in the stream zone, while 27 species did not. The species that did not survive were ornamental plants that were not appropriate for the riparian environment. Among the 144 species which appeared naturally, 77 species(53.5%) were annuals and perennials, which means the study site is still in ecological disturbance and does not have a stable status ecologically. Thus, it is necessary to select the plant species that can survive in the disturbed riparian environment.

      • KCI등재

        고유 음선 분석에 기반한 광대역 수중음향 전달 채널의 이산시간 근사 및 모의 방법 연구

        신동훈,조현덕,권택익,안재균 한국음향학회 2020 韓國音響學會誌 Vol.39 No.3

        In this paper, broadband underwater propagation channel modeling based on eigenray analysis is discussed. Underwater channels are often formulated in frequency domain time-harmonic signals, which are impractical for simulating broadband signals in time domain. In this regard, time domain modeling of the underwater propagation channel is required for the simulation of broadband signals, for which the eigenray analysis based on ray tracing, resulting in multipath propagation delays in time-domain, is used in this paper. For discrete time system application, the phase, frequency-dependent loss and non-integer sample delays for each eigenray, are approximated by the finite impulse response of the broadband propagation channel. 본 논문은 음선 경로법에 기반한 광대역 수중음향 전달 채널을 모델링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수중음향 전달 채널은 종종 주파수 영역에서 시간 조화 함수로 취급되어, 광대역 시계열 신호 모의 시 활용이 어렵다. 따라서 수중 음파 전달 환경을 반영한 광대역 시간영역 모델링 기법이 요구되며, 본 논문에서는 이를 위해 시간영역에서 다중 경로의 도 달 시간지연이 계산 가능한 고유 음선 분석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연속 시간의 파동방정식으로부터 산출된 고유 음 선의 분석 결과를 컴퓨터 모의가 가능한 이산시간 시스템에 적용하기 위해, 음선의 위상, 주파수별 손실 및 도달 시간지 연을 유한 임펄스 응답으로 근사하여, 광대역 수중음향 전달 채널을 모의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LED Wall 기반 미디어콘텐츠 저작기술 유형 및 특성연구

        신동훈,한정엽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4

        (연구배경 및 목적) 2019년부터 Covid-19와 변이, 변종 바이러스가 전세계를 강타하며 국제적 혼란과 혼돈스러운 팬데믹 시대를 맞이하여 전세계 대부분의 산업은 타격을 입었다. Covid-19가 종식된 현재는 가속화를 통한 각 산업의 기술발전과 변화를 가져다 주었다. 그중에서도 눈에띄는 시장은 LED Wall을 활용한 미디어 콘텐츠 시장이었으며 시장규모는 매년 전세계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된다. 하지만 이처럼 LED Wall을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 저작 기술의 성장 및 미래적 가치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학술적으로 현황이나 특성에 관한 연구가 진행된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미디어 콘텐츠 분야에서 LED Wall을 기반하여 사용된 기술을 유형별로 사례를 조사하고 특성을 연구하며 실무적인 시사점 제공뿐만 아니라 앞으로 학술적인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써의 역할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LED Wall을 기반한 저작기술의 기술 유형에 관한 이론적 정의를 확인한 후 미디어 콘텐츠에 활용된 국내외 대표사례와 유형을 중심으로 특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LED Wall을 활용하는 다양한 분야 중 미디어 콘텐츠로 한정하여 범위를 구분한다. (결과) LED Wall을 기반한 기술유형과 미디어 콘텐츠에 활용된 특성을 대표사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결과 LED Wall 기반 AV와 ICVFX(In-Camera-VFX)기술은 한정된 LED Wall을 활용한다는 공통적인 공간적 특성과 카메라 트래킹 장비를 활용한다는 기술적 특징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LED Wall 기반 AV는 한정된 LED Wall을 중심으로 무한히 확장된 공간을 창조해내지만 ICVFX는 한정된 LED Wall을 중심으로 촬영을 하는 차이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촬영기법에 있어서 LED Wall 기반 AV는 미디어 콘텐츠(배경)위주의 촬영을 하지만 ICVFX는 인물위주의 앵글로 촬영하는 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LED Wall의 유형에 따라 평면형 LED와 곡선형 LED를 활용했을 때 유형에 따라 LED 조명효과 또한 차이가 있었다. 곡선형은 조명이 고르게 분포되었으며 평면형은 각 끝모서리 부분이 어두웠다. 또한 비용적인 측면에서는 곡선형은 평면형보다 LED의 사용갯수가 많기때문에 경제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사례 분석결과를 통해 미디어 콘텐츠에 활용된 LED Wall을 기반한 각 기술유형들의 특성 분석을 통해 공통점, 차별성, 한계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통해 LED Wall을 기반한 미디어 콘텐츠 저작기술을 산업에서 활용하는 실무자나 학술적으로 연구자들에게 활용하기 적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Analysis of the 2020 Haenam, Korea, earthquake sequence

        신동훈 한국지질과학협의회 2021 Geosciences Journal Vol.25 No.1

        From 26 April to 8 May 2020, an earthquake sequence occurred in the Haenam region in southwestern Korea. The main shock with a moment magnitude of 3.2 occurred on 3 May. It was preceded by 38 foreshocks that occurred over a week, with magnitudes ranging from 0.8 to 2.7, and was followed for another week by 35 aftershocks with magnitudes ranging from 0.5 to 2.4. The P-wave first-motion indicates that the focal mechanism of the mainshock was a strike of 193° or 102°, a dip of 83° or 78°, and a rake of –168° or –7°. The stress orientation of the focal mechanism is consistent with the regional tectonic stress field. Spectral analysis of the mainshock indicates that it occurred on a fault with a radius of 216 ± 4.58 m and a stress drop of 31.4 ± 2.35 bar. The hypocenters of the sequence, determined using the double-difference method, were shown to cluster along a trend striking 100° and dipping 65° to the south at a depth of 20.1 ± 0.05 km, which indicates that the earthquakes in the sequence occurred within a rupture radius of the mainshock. Detailed seismic analysis of the sequence indicates that closely located subfaults or small weak zones were related to the mainshoc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