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월 시의 공간 표상과 3․1운동 이후의 망탈리테

        신동옥 한국시학회 2020 한국시학연구 Vol.- No.61

        Kim So-wol’s period of activity falls under the “Post March 1st Movement”. This study focused on reinterpreting Kim So-wol's poetic world, focusing on 'Mentalités', which creates atmosphere before and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I have established a assumption for discussion by reading the dominant interpretation that internalized the roll play ego and embodied the fundamental feeling of the nation as the rhythm of folk song in a different way. Collective emotions are the basis of public memory, and changes in societies close to revolution trigger long-lasting structure of feelings. In the case of culture of the time, especially literature, it reflects and represents the emotional structure through the literary language as a mental equipment. After redefining the logic of poetry, you can read the poetic world of So-wol as the internal monologue of the collective subjects. Also, the order of spatial representation revealed in poetry can be interpreted in connection with the Mentalités of the time. This study interpreted Kim So-wol's poetic subject and place representation as a poetic struggle to accept the identity of 'land' as the result of the March 1st Movement at the level of 'loss of loss' and to aim for 'reality' through self-denial. To this end, the results of various interdisciplinary studies were collected, and it was concluded that Sowol's poems were renamed or found one step further in reflecting Mentalités of March 1st Movement. 김소월의 활동 기간은 ‘포스트 3․1운동’기에 속한다. 본고는 3․1운동 전후 시기를 분위기 짓는 ‘망탈리테’를 중심으로 김소월의 시 세계를 재해석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배역적 자아를 내면화하며 민족의 근원적인 정서를 민요조의 리듬으로 구현했다는 지배적인 해석을 다른 방식으로 읽으면서 논의를 위한 가정을 수립했다. 집합적인 정서는 공공 기억의 토대가 되며, 혁명에 가까운 사회의 변화는 장기 지속되는 감정 구조를 촉발한다. 당대의 문화 특히 문학의 경우 심적 장비로서의 문학어를 통해 감정 구조를 반영하며 재표상한다. 시학의 논리를 이렇게 재규정하고 나면, 소월의 시세계를 집합주체의 내적 독백으로 고쳐 읽을 수 있다. 또한 시에서 드러나는 공간 표상의 질서를 당대의 심성 구조와 연관 지어 해석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3․1운동의 결과 ‘땅’이라는 장소정체성을 ‘상실의 상실’ 층위에서 받아들이며 자기 부정을 통해서 ‘현실’의 지위를 공준하려 했던 시적인 몸부림으로 김소월의 시적 주체와 장소 표상을 해석했다. 이를 위해 다방면의 학제 간 연구 결과를 취합했으며, 소월의 시가 3․1의 망탈리테를 반영하는 데서 한 걸음 나아가 재명명 내지는 발견했다는 결론에 이를 수 있었다.

      • KCI등재

        김춘수 초기시 연구: 『세계 현대시 감상』(산해당, 1954)과의 교호관계를 중심으로

        신동옥 한국근대문학회 2019 한국근대문학연구 Vol.20 No.2

        Kim Choon-soo called the relocation of the liberation period "the first phase of writing practice," the "second phase of writing practice" and the "time of training" until the end of the 1950s after the liberation period, then added that "the age of imitator". This period, which encompasses the period before the series of the "Taryeong Jo" series period, is in the early stages of Kim's poetry life. In September 1954, Kim Choon-soo published a book titled "Appreciation of World Contemporary Poetry" in a translation. This paper followed the order of close reading of the "Appreciation of World Contemporary Poetry", checking the relationship of influence with the early period, and extracting the implications of korea poetry history. The question raised in the main paper is "How is the literary constant of the "Appreciation of World Contemporary Poetry", which has been shown since the early days of modern literary history, perceived and passed down by Kim Choon-soo?" Chapter 2 of the main paper analyzed the corresponding text, extracted the 'contemporary' concept of the world's modern poetry recognized by Kim Choon-soo. And tracked the pattern in which they were mixed with Kim Choon-soo's perception of korea poetry history. The book, which incorporates a view of modern Korean poetry and a perception of the fundamental qualities of modern poetry, is a major reference point to Kim Choon-soo's poetry, which was formed early on. The third chapter looked at the pattern of poetic perceptions acquired during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Kim Choon-soo's creation.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I was able to see the style that appeared in Kim's early days and how the poetic concepts that were pre-received from the translation books responded. 김춘수는 해방기 이전을 ‘제1의 습작기’, 해방기를 ‘제2의 습작기’, 해방기 이후 1950년대 말까지를 ‘트레이닝의 시기’라고 말한 다음, ‘아류의 시절’이라고 겸사를 덧붙였다. 「타령조」 연작 이전까지를 아우르는 이 시기는 김춘수의 시력에서 초기시 단계다. 1954년 9월 김춘수는 편역서 세계 현대시 감상』을 출간한다. 본고는 논의는『세계 현대시 감상』에 대한 정치한 읽기, 초기시와의 영향 관계 점검, 시사적 의미의 추출의 순서를 따랐다. 본고에서 제기하는 문제는 ‘근대문학사 초기부터 선보여온 ‘세계 현대시’라는 문학적인 상수가 김춘수에게서는 어떻게 인식되고 전유되는가?’에 있다. 본고의 2장은 해당 텍스트를 분석하고, 김춘수가 인식한 세계 현대시의 동시대적 고갱이를 추출한 다음, 그것들이 김춘수의 시사 인식에 습합되는 양상을 추적했다. 한국 현대시에 대한 관점 및 현대시의 근본 자질에 대한 인식이 녹아든 이 책은 초기에 형성된 김춘수의 시학을 경유하는 주요한 참조점이다. 3장은 편역 과정에서 획득한 시적 인식이 김춘수 자신의 창작에 습합되는 양태를 유비적으로 살폈다. 이상의 논의를 통해, 김춘수의 초기시에 나타난 스타일과 편역서에서 선취된 시학적인 개념어들이 조응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매개자로서의 오장환 ― 해방기 오장환 시론의 생성 과정 연구

        신동옥 한국시학회 2018 한국시학연구 Vol.- No.55

        ‘吳○煥’은 1987 체제 이전까지 문학사에 기입된 수많은 삭제 표시 하의 ‘이름’ 가운데 하나였다. 오장환에 대한 해방기 이전의 평가는 모더니스트 김기림, 리얼리스트 임화, 순수주의자 김동리에게서 확인할 수 있는 일관된 ‘미적 가능성’으로 집약된다. 이 글에서는 해방과 해방 이후 오장환의 ‘시적 가능성의 발로와 확인’에 대한 낙차를 ‘吳章煥’과 ‘吳○煥’ 사이의 거리로 명명하며, 시인 오장환은 구조적으로 동일한 지점을 시적인 실재의 문제의식으로 전유했다고 가정한다. 아울러 오장환이 선택한 매개는 ‘전통과 현실’의 의미를 ‘생활과 현실’의 맥락으로 치환하는 코드화 과정이었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논증의 주안점을 둔다. 이를 위해 우선 해방 전후 오장환에 대한 평가에서 비롯된 ‘압력’과 그 지향점을 임화의 비평을 중심으로 김기림, 김동리의 비평을 나란히 놓고 확인한다. 오장환은 월북 전후에 ‘김소월 읽기’에 매진한다. 오장환은 소월 읽기를 통해 ‘양심의 지상명령’을 현실로 보여주는 ‘행동의 직접성’이라는 결론을 이끌어낸다. 오장환은 해방기에 내놓은 일련의 결과물에서 이러한 요구를 실현하는데 결과적으로 실패한다. 해방기 이후 오장환은 삭제되고, ‘吳○煥’은 사라지는 매개자의 역할을 떠맡는다. ‘Oh ○-Hwan’ was one of the many ‘expurgated names’ in literary history before the 1987 regime. In Japanese colonial era, the pre-release evaluation of Oh Jang-hwan is summarized as a coherent “aesthetic possibility” that can be confirmed by modernist Kim Ki-lim, Realist Lim Hwa and Purist Kim Dong-ri. In this article, I named the distance between ‘Oh Jang-hwan’ and ‘Oh ○-Hwan’ as the distance between the ‘opening and confirming of poetic possibility’. It is assumed that poet Oh Jang-hwan has structurally justified the same point as a consciousness of poetic reality. In addition, Oh’s choice of mediation focuses on the argument that it is a coding process that replaces the meaning of ‘tradition and reality’ with the context of ‘everyday life and reality’. To this end, I first confirm the criticism of Kim Ki-rim and Kim Dong-ri based on the criticism of Lim Hwa on the “pressure” by his teleological arguments. Oh Jang-hwan devotes himself to reading Kim So-wol before and after North Korea. Oh Jang-hwan leads the conclusion that ‘the directness of action’ which shows ‘the categorical imperative of conscience’. Oh Jang-hwan eventually fails to realize this demand in a series of liberation period outcomes. After the liberation period, Oh Jang-hwan is expurgated, and ‘Oh ○-Hwan’ assumes the role of a vanishing mediat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