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교육(敎育) 투자수익률(投資收益率) 분석(分析)

        신동균 ( Dong Gyun Shin ) 한국경제학회 2010 經濟學硏究 Vol.58 No.3

        현 연구의 목적은 교육투자수익률에 대한 강건한 추정치를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유도하는 데에 있다. 투자수익률 추정과정에서 발생하는 교육 변수의 내생성 문제를 한국노동패널(KLIPS) 자료 상에 나타난 교육 재투자자들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결하고 추정한 결과, 투자수익률은 약 5.6%로 나타났으며 이는 내생성 문제를 해결하지 않았을 때의 추정치인 8.7%보다 낮아서 능력에 의한 편의가 존재함을 입증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능력에 의한 편의로부터 자유로운 추정치들에 의하면 투자수익률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높게 나타나며 대학원 투자수익률은 인문사회계열 출신보다는 이공계열 출신에게 더 높게 나타나고 있다. 나아가 교육 투자수익률은 투자수준과 무관한 것이 아니라 투자를 더함에 따라 체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대적으로 고소득자일수록 교육투자를 더한 다는 발견과 결합하여 교육이 소득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함을 시사하고 있다. On the basis of longitudinal information on education changers received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the current study finds that the private rate of return to education is overstated in cross-sectional data by not controlling for individuals` ability effects, and ability-free returns are higher for men than for women. Unlike existing studies, it is found that the marginal return increases with education investment, which, combined with the fact that high income earners tend to invest more in education, suggests that education plays an inequality-enhancing role in Korea.

      • 제10장 외환위기 이후 소득분배의 양극화 추이, 원인 및 정책적 시사점

        Shin Dong-Gyun(신동균) 한국경제연구원 2008 한국경제연구원 연구보고서 Vol.2008 No.7-2

        신동균 교수의 논문은 외환위기 이후 소득분배의 양극화 현상을 분석하였다. 신동균 교수는 한국노동연구원의 패널 조사자료를 분석한 결과 외환위기 이후 한국의 소득분포가 불평등할 뿐만 아니라 양극화가 되어 왔음을 강조하고 있다. 양극화 진행 속도 면에서 한국은 OECD 회원국들 중 상대적으로 진전속도가 빠른 미국이나 영국에 비해서도 더 빠르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소득을 중심으로 본 한국사회는 중산층이 쇠퇴하면서 빠른 속도로 두 개의 사회로 분리되는 방향으로 움직이고 있으며, 이에 따라 집단 간 갈등, 근로의욕 감소, 범죄 증가 등 다양한 방향에서 사회불안의 수위가 높아지고 있다. 또한 외환위기 이후 진행되어 온 양극화는 단순한 경기부양책으로 해소될 성격의 것이 아니며 장기적 및 구조적 관점에서 이해되어야 할 성격의 것이다. 이러한 양극화 진전은 주로 부동산 소득과 이전 소득을 중심으로 하는 비근로소득으로부터 연유되고 있다. 근로소득이 없는 가구들은 상대적으로 극빈층이나 극부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으로 근로소득이 있는 가구들이 상대적으로 소득분포의 중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근로소득이 있는 가구들도 더 이상 근로소득에만 의존하고 있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비근로소득을 통하여 빠른 속도로 수입을 다변화시켜 왔으며 추가적인 비근로소득 비중의 증가가 총소득 양극화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발견은 일차적으로 양극화 해소책을 노동시장정책 외에서 찾아야 함을 의미한다. 물론 근로소득층의 규모 및 소득 증대와 관련된 정책 또한 중산층 육성을 통한 양극화 해소책으로서 매우 유효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다. Analyses of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data conclude that the income distribution to some degree, there still exists a strong long-term upward trend in estimated bi-polarization indices even after the cyclical effects are controlled for, implying that the current trend may not be reversible even in the face of future economic growth. The rapid increase in the bi-polarization index is mainly attributed to transfer income and income from real estate among others. Overall, the finding in the current study suggest that the total effective antagonism in Korean society has been rapidly increasing since the recent financial crisi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학교교육과 능력의 효과

        박기성 ( Ki Seong Park ),신동균 ( Dong Gyun Shin ) 한양대학교 경제연구소 2013 경제연구 Vol.34 No.1

        「한국노동패널조사」 자료와 「교육-노동시장 생애경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증가해 온 교육프리미엄이나 동 기간 기술진보와 관련된 교육프리미엄은 능력의 효과라기보다는 교육의 효과를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82년 졸업생(본고사 세대)에서 1992년 졸업생(학력고사 세대), 그리고 2002년 졸업생(수학 능력 세대)으로 올수록 대학입학 선발과정에서 능력의 중요성은 감소되어 왔으며, 노동시장에서의 능력에 대한 보상(수익률)도 1982년 졸업생의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다. 결국 최근 교육은 주로 생산성 향상 기능을 수행하는 반면에 시그널링으로서의 기능은 약하다고 볼 수 있으며, 현상적으로 볼 때 현재 한국의 교육 및 노동시장에서 진행되는 기술진보의 성격은 능력편향적이 아니라 숙련(학교교육)편향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는 기술 진보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제적 환경에서 볼 때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볼 수는 없다. Evidence from the Korea Labor & Income Panel Survey and the Multi- Cohorts Longitudinal Survey of College Graduates suggests that the estimated return to education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recent exchange rate crisis, which is mainly attributed to the education effects rather than the ability effects. It is also found that natural ability has been playing a lessor role in the selection process of college entrance, and that labor market returns to the natural ability are much higher under the older entrance system than the more recent system. Phenomenally speaking, the nature of the technological progress is more acquired-skill-biased than ability-biased.

      • KCI등재

        한국의 명목 및 실질임금의 유연성 정도와 성격에 대하여

        박선영 ( Seon Young Park ),신동균 ( Dong Gyun Shin ) 한국노동경제학회 2014 勞動經濟論集 Vol.37 No.2

        한국노동패널 자료에 나타난 개인임금 자료를 1998년부터 2012년 기간에 대해 분석한 결과 명목임금은 매우 유연한 것으로 나타났다. 프로빗 분석 결과 명목임금이 삭감될 확률은 인플레이션이 낮을수록 그리고 실업률이 높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다양한 경제·인구학적 집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한편 고용노동부의 사업체 조사와 한국노동패널 조사 자료를 비교·분석한 결과 실질임금은 매우 경기순행적이며, 그 경기변동 상 유연성은 인플레이션의 역할이라기보다는 명목임금 자체가 경기순행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발견들은 임금경직성을 예측하거나 혹은 임금경직성 가정에 의존하여 실업변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모형들의 현실 설명력을 반감시킨다. 추가적으로 본고는 임금 및 근로시간 변수에 나타난 측정오차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Longitudinal analysis of individual wage data received from the Korea Labor and Income Panel Survey (KLIPS) for the 1998-2012 period reveals that nominal wage reductions are prevailing among job stayers. It is also found that the probability of nominal wage cut is higher in the period of lower inflation or higher unemployment, and affected by various individual or group characteristics. Additional analysis of two establishment-based average wage series and the KLIPS shows that real wages are substantially procyclical, which is attributed to the strong procyclicality of nominal wages rather than countercyclicality of inflation. Current findings defy wage-rigidity-based explanations of unemployment fluctuations or models that predict wage rigidity, inlcluding segmented labor market hypotheses.

      • KCI등재

        소득분포 양극화의 특성과 경제,사회적 영향 / 논평 / 일반토론

        신관호 ( Kwan Ho Shin ),신동균 ( Dong Gyun Shin ),강석훈,임경묵,오영,박종규,전성인,송의영,윤창현,신관호 한국금융연구원 2007 한국경제의 분석 Vol.13 No.1

        The level of social unrest associated with the income distribution is better represented by bi-polarization than inequality. This article uses the bi-polarization index developed by Esteban, Gradin, and Ray(1999) to analyze how the income distribution has evolved in Korea for the 1997-2003 period. First, comparison of Korea with several OECD countries in the speed of polarization confirms the Shin and Cheon`s(2005) conclusion that the problem associated with the income distribution in Korea lies in polarization rather than in rising inequality. Second, we attempt to characterize the dramatic bi-polarization process of the income distribution. Our calculations show that the mobility from the low to the upper class is reduced as the distribution becomes more bi-polarized. Polarization has more unfavorable effects on the low education group or older household heads(45+) than on the high education group or younger ones(44-). It is further observed that income dispersion is typically greater in the non-manufacturing than in the manufacturing sector and that the rising level of polarization is associated with the great exodus of workers from manufacturing to non-manufacturing. Finally, variation of labor force participation rates across regions and over time is better explained by bi-polarization than by rising ine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