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숲 체험 활동에서 유아교사가 경험하는 숲의 의미 분석

        신금호(Shin Keum H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숲 체험 활동을 실시하는 동안 경험하는 숲의 의미를 알아보기 위해 10인의 유아교사들과 2017년 9월부터 12월까지 면담을 실시하고 이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숲 체험 활동에 참여하는 동안 유아교사들에게 숲은 관계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곳이었다. 유아교사들은 내가 중심인 관계에서, 숲이 중심인 관계로, 숲, 유아, 유아교사의 상호관계와 같이 변화되는 관계에 따라 숲을 인식하였다. 숲 체험 활동 초기에 내가 중심인 관계에서 숲을 인식하는 유아교사들은 숲에서 자신들이 느끼는 감정과 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역할에 집중하였다. 점차 숲이 중심이 되는 관계에서 숲을 끊임없이 내어주는 곳으로 여기게 된 유아교사들은 숲이 제공하는 비구조적인 자료와 공간, 감각적 경험들, 변화하는 풍경들을 느끼고 그에 따라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숲, 유아, 교사들의 상호관계에서 숲을 새로운 관계와 의미를 형성하는 곳으로 의미부여 하게 된 유아교사들은 유아와 교사의 관계, 숲과 우리(유아와 교사)의 관계, 유아교사 자신들의 교육 목표와 교육적 의미들을 재구성 하게 되었다. 유아교사들이 숲의 의미를 관계의 변화와 그에 따른 역할과 의미의 변화를 경험하게 하는 곳으로 인식한 본 연구 결과는 추후의 숲 체험 활동과 교사교육 이 숲과 인간의 관계에 기반 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eanings of the forest experienced by early childhood educators while implementing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 researcher conducted the individual interview with 10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analyzed it qualitatively. Early childhood educators mentioned that the forest made them experience the changes in the relation between the forest,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children. In the early phase of the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have the I-centered relationship with the forest and recognize the forest as the place I experience. And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then have the forest-centered relationship with the forest and recognize the forest as the place the forest provides various materials and experiences. At last,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become to have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hildren, early childhood educators, and the forest, and recognized the forest as the place the new relationship and meanings are formed.

      • KCI등재

        창의적 동작표현활동 중심 환경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신금호(Shin Keum-Ho)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66

        본 연구는 창의적 동작표현활동 중심 환경교육이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보고자하였다.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50명(실험집단 25명, 비교집단 25명) 이었다. 정서지능은 문용린(1996)이 제작한 것을 수정하여, 친환경적 태도는 Musser and Diamond(1999)가 제작한 CATES-PV를 번안, 수정하여 검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창의적 동작표현활동 중심 환경교육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환경적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서지능의 하위영역 중 정서인식, 정서표현, 감정이입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적 태도의 하위영역 중 자연환경에 대한 태도와 환경보전에 대한 태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ing on interpretative movement activities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0 five-year-old children attending C kindergarten in Y cit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ing on interpretative movement activities had positive influence o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 Especially, environmental education focusing on interpretative movement activities affected positively emotional recognition, emotional expression, empathy in emotional intelligence and environment friendly attitudes toward the natural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 KCI등재

        유아교사의 환경관에 따른 환경행동의 차이

        신금호(Shin, Keum-Ho)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7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21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들의 환경관에 따른 환경행동의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효율적인 유아환경교 육을 위한 교사교육의 방향 수립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대구광역시와 경상북도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41명의 설문지를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환경관에 따른 환경행동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의 환경관은 지속가능발전지향주의가 월등히 높았고, 생태지향주의, 기술지향주의 순으로 나타났다. 환경행동은 모든 영역이 중간이상으로 친환경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환경관의 하위 영역인 인간과 환경 중 인간의 가치, 자연환경의 가치, 인간의 자연에 대한 지배, 환경 생태계의 평형 유지능력에서와 인간 활동과 환경문제 중 자원고갈과 기술개발에서 환경관에 따른 환경행 동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인간과 환경의 관계와 가치에 대해서는 생태지향주의와 지속 가능발전지향주의 환경관을 가진 유아교사들의 환경행동이 친환경적이었고, 인간 활동과 환경문제의 이해와 해결에서는 지속가능발전지향주의 환경관을 가진 유아들이 친환경적 행동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differences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environmental behaviors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perspectives.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naires received 241 early childhood educators working in the kindergarten and child care center of Daegu city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As the results of analyzing environmental perspectives,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wed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ecology-oriented, and technology-oriented environmental perspectives in order of frequency. The early childhood educators showed the nature conservation behaviors, the recycling behaviors, and resource saving behaviors in order of frequency. In addition, early childhood educators demonstrated the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behaviors in the subareas of environmental perspectives such as the value of human beings, the value of natural environment, the human s domination over the nature, the balance maintenance ability of ecosystem, resource exhaustion and technical development. Early childhood educators having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and ecology-oriented environmental perspectives frequently showed the eco-friendly behavior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ment of sustainable development-oriented and ecology-oriented environmental perspectives is necessary to form eco-friendly behavior of early childhood educators for more effective environmental education.

      • KCI등재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 인식

        신금호(Shin, Keum-Ho),이수진(Lee, Su-Jin)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2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기후변화 교육을 위한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을 알아봄으로써 교사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유아교사들은 유치원 및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222명이었다. 기후변화 과학적 지식,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 기후변화 대응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들은 기후변화에 대해 인지는 하고 있었으나 온실효과, 기후변화, 온실가스의 종류 등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거나 부적절한 개념을 갖고 있어 과학적 지식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들은 기후변화와 인간과의 관계에서 인간에 의한 지구온난화의 주원인을 오존층 파괴와 결부시켜 인식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으나, 인간이 느끼는 기후변화의 신호는 적절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지구온난화로 인한 직접적인 기후변화는 인식하고 있었으나 인간에게 미치는 간접적인 영향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편이었다. 셋째, 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 대응에서 기후변화협약은 매우 잘 인지하고 있었고, 기후변화 방지 주체와 완화 노력은 개인에 집중되어 있었으며, 기후변화 책임 국가는 모든 국가에게 있다는 인식이 가장 컸다. 또한 기후변화 관련 정보 습득은 인터넷이나 매체를 통한 것이 가장 많았고, 기후변화 관련 정부 대책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겠다는 인식이 높았다. 생활 속 탄소 배출 감소를 위한 실천에서는 하지 말아야 할 행동을 줄이는 정도는 상당히 높았지만, 해야 하는 행동을 하는 정도는 보통이거나 소극적인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by investigating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climate change.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22 early chldhood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results derived from collecting and analyzing questionnaires composed of scientific knowledge of climate chang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beings, and response to climate change a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climate change, but they lacked scientific knowledge because they did not fully understand or had misconception about the greenhouse effect, climate change, and type of greenhouse gas.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limate change and human beings, early childhood teachers often recognized the main cause of global warming in connection with the destruction of the ozone layer, but appropriately recognized the signal of climate change. They recognized direct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warming, but were insufficiently aware of its indirect impact on humans. Third, in the response to climate change, early childhood teachers well recognized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UNFCCC).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 subjects of prevention and relaxation efforts were mainly individuals and all countries were responsible for climate change. In addition, information acquisition routes of climate change were most common through the internet or the media. There was a high perception that they would actively participate in government plans related to climate change. In action to reduce carbon emissions in daily life, the degree of behavior that should not be done was quite high, but the degree of behaviors that should be done was found to be moderate or passive.

      • KCI등재

        유아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이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Shin, Keum-Ho)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본 연구는 유아들의 질문 중에서 문제를 선정하여 PBL 방식으로 해결해보는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D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 유아 37명(실험집단 19명, 비교집단 18명)을 대상으로 2018년 9월 10일부터 11월 16일까지 9주 동안 주 1-2회씩 총 16회에 걸쳐 실시되었다. 실험집단 유아들은 2주 동안 수집한 질문들 중에서 선정된 12개의 문제를 모둠별로 선택하고 해결안을 찾는 PBL 기반 과학 활동에 참여하였다. 유아들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은 과학적 문제해결력 전체와 하위 영역인 아이디어 적용과 결과를 중심으로 결론짓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적 태도 전체와 하위 영역인 호기심, 적극성, 솔직성, 개방성, 객관성, 비판성, 끈기성, 협동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유아들의 질문에 대한 PBL 기반 과학 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문제해결력과 과학적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BL(problem based learning) about children"s questions on scientific problem solving skills and scientific attitude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37 5-year-old children (experimental group 19 children, control group 18 children) in A kindergarten located in D city on a total of 16 occasions, once or twice per week for 9 weeks from Sept. 10, 2018 to Nov. 16, 2018. The experimental group gathered children’s questions for two weeks, chose 12 questions, and participated in the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BL. Science activities based on PBL about children’s question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including applying ideas and concluding from the results and scientific attitudes including curiosity, initiative, forthrightness, openness, objectiveness, criticism, perseverance, and cooper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PBL-based scientific activities on children’s questions are effective in improving the children’s scientific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scientific attitude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음악교수 불안 및 음악교육에 대한 태도와 음악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

        신금호 ( Keum Ho Shi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3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The subjects were 158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nrolled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around Daegu city and Kyungbuk province. Th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ing in this study completed the student teaching. The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score of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was slightly below average, the score of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slightly above average.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negatively correlated. In addition, pre-service teachers` attitudes toward music and music teaching efficacy were positively correlated. Finally, pre-service teachers` music teaching anxiety and attitudes toward music education showed 57% explanation for music teaching effic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