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의 데이터베이스 리버스 엔지니어링

        신광철,이춘열,Shin, Kwang-chul,Lee, Choon Y. 한국정보통신학회 2019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3 No.5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는 매우 밀접한 비즈니스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스템을 소형 경량 서비스로 분할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민첩성, 개발 생산성, 신뢰성, 배포 용이성에만 집중하는 경향이 있다.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바라보는 데이터베이스는 단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추출하는 파일 혹은 스토리지이며, 소프트웨어 개발 편리성과 확장성을 위해서 데이터 품질은 희생될 수 있음을 강조한다. 데이터베이스 구조와 데이터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베이스 리버스 엔지니어링은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위한 데이터 활용을 위해 필요하다. 하지만, 데이터 품질을 경시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는 리버스 데이터베이스 엔지니어링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해결책으로써 개념 데이터 모델 복원 시 마스터 데이터를 활용한 데이터 리버스 엔지니어링 방법을 제안한다. 적용 사례로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로 구현된 반품 서비스 데이터베이스에 제안 방법을 구현하여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Microservice architecture focuses on dividing it into small and lightweight services to build for the purpose of performing very close business functions. So it tends to concentrate only on agility, productivity, reliability, and ease of deployment of software development. Microservice architecture considers database as just a file or storage for storing and extracting data, emphasizing that data quality can be sacrificed for convenience and scalability of software development. Database reverse engineering for understanding database structure and data semantics is needed for data utilization for business decision making. However, it is difficult that reverse database engineering is applied in microservice architecture that neglects data quality. This study proposes database reverse engineering method that utilizes master data to restore the conceptual data model as a solution.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 to the return service database implemented by microservice architecture and verified its applicability.

      • KCI등재

        치근단절제시 노출된 상아세관의 밀폐효과에 대한 Nd : YAG 레이저의 효과

        신광철,홍찬의,Shin, Kwang-Chul,Hong, Chan-Ui 대한치과보존학회 1996 Restorative Dentistry & Endodontics Vol.21 No.1

        If root and resection is done during surgical endodontic treatment, newly exposed dentinal tubules form pathways between the canal and the peripheral tissue. Nd : YAG laser was used to block this phenomenon, and its effect was studied with dye penetration and SEM techniques. 40 intact single rooted teeth were divided into 4 groups(10 each) : control group and test groups, in which retrograde cavity surface, cutting surface, retrograde cavity surface & cutting surface were treated with laser(1 watt 15pps) and finally retrograde filling with IRM was conducted. After that, they were stained with 2 % methylene blue, sectioned and evaluated by the maximum infiltration depth. And to observe surface change, they were prepared for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l experimental groups showed microleakage with variation in amount. 2. The 2nd group which treated both the retrograde cavity and cutting surface showed significantly less microleakage than the other groups(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reated on one side only. 3. As a result of SEM observation of dentin surface, obstruction of dentinal tubules with marble shaped granules, which were different from normal dentin could be seen. Cracks could be seen also. 4. In summary of this experiment, it is thought that effort to obstruct the exposed dentinal tubules as well as retrograde cavity after root end resection is needed.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의 ‘中原 地域’ 진출에 대한 小考

        신광철(Shin Kwang Cheol) 고구려발해학회 2015 고구려발해연구 Vol.51 No.-

        5세기를 기점으로 고구려는 내부적으로 증대된 인적ㆍ물적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통제를 바탕으로 대외적으로 영토를 크게 확장시켰다. 황해도를 영역화한 고구려는 이후 경기 북부와 강원도로 진출한 뒤 중원 지역 및 경상도 일원까지 영향력을 확장시킨다. 이에 따라 국경선이 남쪽으로 크게 확장됐지만, 백제와의 끊임없는 국지전, 재지계 세력에 대한 간접지배, 신라의 국력 증대에 따라 새로 확보된 영토에 대한 효율적인 통치가 어렵게 되었다. 이처럼 5~6세기 중원 지역은 삼국의 각축전이 끊이지 않는 곳으로서, 그러한 흔적은 고고자료를 비롯해 전승설화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이에 본고에서는 국가의 영역 확장을 가장 잘 대변해주는 관방유적을 중점적으로 살펴보되 고구려(계) 유적들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고구려의 남진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졌으며, 어떤 과정을 거쳤는지 살펴보았다. 이와 더불어 고구려의 생활유적 및 불상과 장신구 등 중원 지역에 남겨진 고구려의 흔적들을 정리함으로써 고구려의 중원 지역 진출과 남부전선의 변화상, 더 나아가 고구려의 중원 지역에 대한 지배방식 등을 고찰해보는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Goguryeo had expanded its territory since the 5th century, and it was based on efficient control over internal human and material resources. Goguryeo took Hwanghae-do province. after they entered into the northern Gyeonggi-do and Gangwon-do provinces, they exercised influence over ‘Jung-won area’ and Gyeongsang-do province. Although the frontier of Goguryeo wideyl expanded to the south, it was difficult to rule over its new territory because of the constant local wars with Baekje, indirect control of indigenous powers, and the growth of national power of silla. Three kingdoms engaged in heated competitions constantly in ‘Jung-won area’ during the 5-6th century, and the evidences of the competitions were reflected in archaeological materials, folk tale, and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Thus, I conduct a study on the southward process of Goguryeo by examining the militant defense remains, which contain the most representative evidences of territory expansion, including the fortresses of Goguryeo. Also, I examine the expansion of Goguryeo into Jungwon area, the change of the southern front, and the ruling system of Goguryeo on Jungwon area by arranging the objects of Goguryeo remained in Jungwon area such as dwelling sites, Buddhist sculptures, and ornaments.

      • KCI등재
      • KCI등재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과 의의

        신광철(Shin, Kwang cheol) 한국상고사학회 2015 한국상고사학보 Vol.88 No.-

        강원도 일원은 고고자료가 상당수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三國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하는 학계의 시각, 문헌 사료의 소략함 등으로 인하여 한국 고대 영역사에 있어서 일종의‘공백지대’혹은‘문화의 섬’과 같은 존재로 취급되어 왔다. 하지만 청동기시대부터 확인되는 복합적인 사회 조직들은 이후 동예, 동옥저 등과 같은 소국으로 성장하였으며, 지형적 특징으로 인해 타 지역과 다른 독자적이면서 폐쇄적인 문화권을 형성해온 강원도의 문화적 특징은 고구려가 강원도로 진출한 이후에도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 문헌사료를 보면 고구려가 강원도에 군현을 설치하여 본격적으로 경영함으로써 한반도 중남부로 진출하는 교통로를 확보하고, 말갈로 대변되는 강원도 일대의 정치체를 반독립적인 附庸세력으로 삼아 백제와 신라를 견제하거나, 한반도 중부 이남으로 세력권 확대를 시도했을 때, 그 尖兵으로 내세우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실제 고구려가 강원도를 경영했다고 볼 수 있는 직접적인 물질자료는 많지 않다. 이에 본고에서는 고구려가 강원도 일원에 남긴 흔적을 토대로 고구려의 강원도 진출 및 경영에 대한 전말을 추론하면서 문헌사료 와 고고자료의 차이가 발생한 이유에 대해 고민해 보았다. 더불어 고구려 전후로 강원도에 진출했던 백제 및 신라와 비교하면서 삼국의 강원도 일원에 대한 지배 방식의 차이, 국가체제의 차이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고구려의 강원도 경영 방식이 제국체제에 걸맞는, 변경에 대한 효율적인 통치 방식이었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이는 단기간의 세력 확장에는 유리했지만, 장기적인 영토 경영에는 불리하였고, 그로 인해 결국 고구려는 신라에게 강원도 일원을 내주면서 한반도 중부 지역의 패권마저 잃게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Although ‘Gangwon-do province(江原道)’has profuse archaeological materials, it has been considered as ‘Vacuum area’or ‘Culture Island’in ancient history of Korean territory because of inattention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cademical tendency focusing on narrating history about Three Kingdom period. However, multiple social organizations from Bronze-age repeated development and became the base of small states such as Dongye(東濊) and Dongokjeo(東沃沮). Also, it seems the independent and exclusiv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Gangwon-do province based on the geographical feature had continued after Goguryeo entered into Gangwon-do province. Refer to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by establishing Gun-hyeon(郡縣, counties and prefectures), Goguryeo started to rule Gangwon-do province in earnest. Goguryeo hereby secured the route for entry into the south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and made local polities represented by Mohe halfway independent confederate powers to check Baekje and Silla. Also, Goguryeo placed them as the advance guard when Goguryeo attempted to expand its power into the south of the central Korean Peninsula. However, there are not many direct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prove that Goguryeo administered Gangwon-do province indeed. Therefore I infer the details regarding how Goguryeo advanced into Gangwon-do province and managed it, and attempt to figure out the reason which caused the differences between literature historical materials and archaeological materials in this study. In addition, I examine the differences in ruling system and national system among Three kingdoms. As a result, I ascertain that the ruling system of Goguryeo over Gangwon-do province was effective way to control fringeland which was suitable for empire system. It was advantageous to expand the influence in a short time, but it was unfavorable in terms of the long-term territory management. Consequently, Goguryeo was deprived Gangwon-do province by Silla and lost its supremacy over the central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 KCI우수등재

        Shieh and Wang's의 스마트카드 상호인증 스킴에 대한 중간자공격 개선

        신광철(Kwang-Cheul Shin) 한국전자거래학회 2012 한국전자거래학회지 Vol.17 No.4

        최근 Shieh and Wang[10]은 Lee et al.[6] 스킴의 연산비용 효율성과 Chen and Yeh[1] 스킴의 보안성과 키 합의를 조합한 효율적인 상호인증 스킴을 제안했다. 그러나 hieh and Wang[10]스킴은 패스워드 기반의 스마트카드를 이용한 원격 사용자인증 스킴에서 고려해야 하는 제3자(중간자, 공격자)에 대한 보안요구 내용등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Shieh and Wang스킴의 약점은 3-way handshaking 상호인증에서 위조된 메시지를 검증하지 못하는 부적절과 시스템(서버)의 비밀키가 쉽게 노출되는 취약성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Shieh and Wang스킴의 도청에 의해 위조된 메시지의 검증절차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제안 스킴은 사용자의 패스워드정보와 시스템의 비밀정보를 노출하지 않을 뿐 아니라 서버에서 무결성 검사를 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다양한 공격에 안전한 강력하고 개선된 two-way 원격사용자 인증스킴을 제안한다. Shieh and Wang[10] recently proposed an efficient mutual authentication scheme that combined the cost-effectiveness of operations of Lee et al. [6]. scheme and the security and key agreement of Chen and Yeh scheme. Shieh and Wang[10] scheme, however, does not satisfy the security requirements against a third party ( the man-in the middle, attacker) that have to be considered in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using password-based smart cards. Shieh and Wang weaknesses are the inappropriateness that it cannot verify the forged message in 3-way handshaking mutual authentication, and the vulnerability that the system (server) secret key can easily be expose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oblems of Shieh and Wang scheme in the verification procedure of the forged messages intercepted by the eavesdrop. An enhanced two-way remote user authentication scheme is proposed that is safe and strong against multiple attacks by adding the ability to perform integrity check on the server and proposed scheme is not expose user password information and the system’s confidential information.

      • KCI등재

        고구려 남부전선 주둔부대의 생활상

        신광철(SHIN Kwang-cheol) 고구려발해학회 2010 고구려발해연구 Vol.38 No.-

        한강유역에서 확인되는 고구려 보루는 군사적 기능이 극대화된 군사시설로서 동시기 백제와 신라, 중국 왕조 등 주변 국가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든 형태의 관방시설이다. 이러한 보루는 고구려 내에서도 한강유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남부전선만의 특수한 군사전략에 의해 구축ㆍ운영되었으며, 중앙에서 파견된 수천 명의 상비군이 주둔하였다. 각 보루에는 창수, 궁수, 부월수, 환도수 등으로 구성된 10~100명 단위의 보병부대가 주둔했으며, 주로 한강 이남의 백제ㆍ신라에 대한 감시와 통제 및 국지전 등의 임무를 수행하였다. 하지만 보루의 주둔군이 常備軍이라 하더라도 매일 군사업무만 수행했던 것은 아니었다. 그들은 전투가 없는 시기에 교육ㆍ훈련을 통해 전투력을 유지ㆍ증진시켰으며, 자체적으로 수렵 및 어로 활동을 통해 식량을 공급하기도 하고, 성벽 및 건물지 등을 증ㆍ보축하기도 했다. 이러한 주둔군의 의식주 생활 일부를 보루에서 출토된 다양한 토기와 철기 및 토제품, 보루 내의 건물지, 성벽, 내부시설 등을 통해 살펴볼 수 있다. 한편, 고구려의 남부전선에는 대규모 성곽이 없는 대신 소규모 관방시설인 보루를 중심으로 하는 방어체계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둔군의 성격이나 편제는 물론이고, 지휘체계나 보급체계 역시 다른 전선과 달랐음을 어렵지 않게 짐작할 수 있다. 보루라는 관방시설 자체가 전투를 주목적으로 하는 군사시설인 만큼 자체적으로 군수물자를 생산ㆍ보급하기 힘들지만, 구의동보루의 경우 호미와 보습 등 적지 않은 수량의 철제 농구류가 확인되어 일부 보루에서는 소규모로 둔전 경작이 이뤄졌다고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구의동보루를 비롯한 한강 유역에 소재하고 있는 20여 개의 보루에서 주둔군의 병영막사로 쓰였던 건물지 이외에 단야시설, 디딜방앗간, 간이 소성시설 등이 확인되어 보루 내에서 전투 이외의 각종 생업활동이 이뤄졌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시설을 통해 보루 내에 단야작업, 취사, 토기 소성 등을 담당하던 기술병이 주둔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강 유역 고구려 보루群의 보급체계 일면을 복원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더 나아가 각 보루마다 기본적으로 갖추고 있는 내부시설 이외에 몇몇 보루에서만 확인되는 특수한 내부 시설들을 통해 보루마다 기능과 성격에 차이가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는 곧 보루의 위계와도 상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Defense posts established by the ancient Korean kingdom of Goguryeo along mountaintops near the Han River represent frontier defense facilities whose military functions were emphasized. These defense posts are unlike any frontier defense facilities found in rival kingdoms of Baekje and Shilla, or even in China and Japan, during the same period. These facilities were built and operated within the specialized context of Goguryeo’s ‘southern frontier; manned by thousands of troops dispatched from the capital. Posted in each outpost was a garrison of 10 to 100 infantry troops that included spearmen, archers, axemen, and swordsmen; responsible for surveillance and control concerning movements of Baekje and Shilla troops, as well as engagement in armed skirmishes when necessary. Despite the fact that the soldiers posted were regular troopers, their activities included more than typical military duties. Various forms of education and training were undertaken when they were not fighting, in order to improve their skills for combat in case it should actually come to pass, as well as maintenance work on walls and buildings of their outpost. The diverse array of pottery, iron tools, earthen items, building sites, walls, and remnants of facilities uncovered at the site allows us to trace the daily lives and routines of these garrisons. As Goguryeo’s defensive network in the southern frontier consisted not of massive fortresses but small defense outposts, it can be safely assumed that the nature and organization of the garrisons, and the logistics network, would be different from Goguryeo’s other frontiers. These outposts were military facilities specialized for warfighting, which made self-sufficiency in production of weapons and other supplies difficult. However, the discovery of significant numbers of hoes and plows at the outpost in Guui-dong in Seoul indicates that some farming activity took place within the grounds by the garrison. In addition to the Guui-dong outpost, excavation at twenty other outposts along the Han River revealed facilities for ironworking, milling, and pottery making (small kilns); evidence of various daily activities other than combat. The facilities also provide proof of ‘specialist’troopers who were responsible for the activities that can be inferred from above (ironsmith, cooking, potter making, etc.), enabling us to reconstruct at least one aspect of the logistics system used to support Goguryeo outposts in the Han River area. Facilities peculiar to certain outposts, aside from facilities basic to all of them, points to differences in the role and character of each, and a hierarchy that existed among the outposts in the network.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일반논문 :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관방체계와 남부전선의 변화

        신광철 ( Kwang Cheol Shin ) 한국고대학회 2011 先史와 古代 Vol.35 No.-

        5세기를 기점으로 고구려는 내부적으로 증대된 인적·물적 자원에 대한 효율적인 통제를 바탕으로 대외적으로 영토를 크게 확장한다, 특히, 평양을 확보한 이후의 황해도 일대와 경기북부 일원에 대한 영역 확장이 주목되는데, 이 시기 고구려는 낙랑·대방세력 및 백제와 대립하면서 자국의 국경선을 끊임없이 남쪽으로 확장시켜 나간다. 이후 황해도 일대는 고구려의 중심부로 편입되면서 새로운 후방 기지로 개발되었고, 남부전선의 심장부로서 번영을 누리게 된다, 본고에서는 영역화가 채 이뤄지지 않은 경기북부 일원과 한강유역, 중원지방과 달리 황해도 일대는 어떤 과정을 거쳐 영역화가 진행되었으며, 어째서 지역마다 통치방식이 달라졌는지, 더 나아가 영역의 확장과 더불어 남부전선에 어떠한 변화가 생겼는지 등을 살펴 보았다. 당시 영역화가 이뤄지지 않은 양주분지 일원 및 한강유역에서는 현재 대규모 보루群이 확인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영역화가 진행된 임진강유역에는 성곽과 몇 개의 보루가 하나의 조합을 이룬 복합적인 관방체계가 확인된다. 하지만, 이와 달리 황해도 일대에는 장수산성을 비롯하여 20여개 소에 달하는 다수의 성곽들이 분포하고 있어 해당 지역의 경영방식 자체가 경기북부 일원 및 한강유역과 크게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보루군과 달리 성곽은 단순히 戰爭史적 관점에서만 이해되는 것이 아니라, 지방통치방식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척도가 될 수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둔다면, 황해도 일대의 고구려 성곽들을 살펴 보는 것은 고구려의 성장과정을 이해 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요건이라 할 수 있다, 그동안 선행 연구에서는 경기북부 일원의 관방체계만 단독으로 살펴보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밖에 황해도 일대를 비롯한 북한 소재의 고구려 성곽, 혹은 고구려 전 영역내의 관방체계 등을 포괄적으로 살펴보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본고에서는 황해도 일대와 경기북부 일원에 대해 ``南部戰線`` 이라는 단일한 시각 속에서 시·공간적 의미를 부여하고, ``중심부`` 와 ``주변부``, ``변경``이라는 개념을 적용하였다. 이후 황해도 일대의 관방체계를 살펴본 결과, 영역화 진행 여부에 따라 고구려가 어떠한 국가전략 및 군사전략으로 접근했는지 확인할 수 있었으며, 더 나아가 ``帝國``으로 발전해가는 고구려에게 있어, 황해도 일대의 확보가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 재인식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Around 5th Century AD, Goguryeo greatly expanded its territory, backed by improved effective domestic resources management control. In particular, further expansion to Hwanghae province(黃海道) and northern Kyeonggi province(京畿道) after conquest of Pyeongyang, is noteworthy. At this time, Goguryeo had continuously expanded southwards while having conflicted with refuge groups of Nakrang(樂浪) and Daebang(帶方) comamderies, and Baekje(百濟). Later, Hanghwe province was reconfigurated into the center of Goguryeo and became a new base camp in the rear, and subsequently prospered as a core of Goguryeo empire. This paper addresses processes of assimilation into Gogyreo which occurred in Hwanghae Province as opposed to the cases of Northern Gyeonggi, Han river basin and Jungwon areas. It is also discussed why there were local variations on ruling and administrative systems, and, furthermore, what had changed in the southern frontline through territorial expansion. Yang-ju and Han River(漢江) basin without assimilation into Gogyreo have fortification clusters on a large scale whereas assimilated Imjin River(臨津江) basin has a complex militant defence system with a unit of one fortress and several forts. However, in Hwanghae Province, up to 20 fortress including Jang-su fortress exist. Thus, it appears that the militant defense system was different from that of Northern Gyeonggi province and Han River basin. Unlike aggregated forts, fortress reflects not only warfare history, but also local administration regimes of Goguryeo. In this respect, investigating Goguryeo fortress is required to understand the processes and trajectory of Goguyreo`s growth in general. In previous research, either militant defense system in northern Gyeonggi has separately been analyzed, or all fortress in North Korea and the entire militant defense system of Goguryeo covering all regions were discussed. But, this approach confers Hwanghae province and Northern Gyeonggi province temporal and spatial component as the southern front, and applies concepts of ``core``, ``periphery region`` and ``border`` for interpretation of geographic distribution. The results of analysis on the defense system in Hwanghae province, different degrees of assimilation by region reveals the various governing strategies of Goguryeo. Furthermore, this research calls for review on what the conquest and acquisition of Hanghae province had meant for Goguryeo on the pathway to empire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