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호모시스테인과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신경필,이상엽,김윤진,이정규,김동희,정동욱,이유현,박선기,조영혜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1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군집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증후군의 주요한 병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호모시스테인은 methionine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으로 최근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둘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관하여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아, 본 연구에서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20세 이상의 성인 4,48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은 modified ATPIII definition을 사용하였고, 그 중 허리둘레 기준은 한국인의 기준에 따랐다.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차이, 호모시스테인의 농도 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환자 비율을 조사하여,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결과: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군이 대사증후군을 가지지 않은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9.10 vs 7.97, P < 0.001).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호모시스테인의 농도가 가장 낮은 4분위수와 비교하였을 때, 상위 4분위수 모두 교차비가 1.28, 1.48, 1.41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결론: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며, 이러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 KCI우수등재

        원저 : 호모시스테인과 대사증후군의 상관관계

        신경필 ( Kyoung Pil Shin ),이상엽 ( Sang Yeoup Lee ),김윤진 ( Yun Jin Kim ),이정규 ( Jeong Gyu Lee ),김동희 ( Dong Hee Kim ),정동욱 ( Dong Wook Jung ),이유현 ( Yu Hyeon Yi ),박선기 ( Seon Ki Park ),조영혜 ( Young Hye Cho ) 대한비만학회 2011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0 No.1

        연구배경: 대사증후군은 심혈관질환의 위험인자가 군집되어 나타나는 것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대사증후군의 주요한 병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호모시스테인은 methionine 대사과정에서 생성되는 아미노산으로 최근 인슐린 저항성과의 연관성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둘 사이의 직접적인 연관성에 관하여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많아, 본 연구에서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1월 1일부터 2007년 12월 31일까지 일개 대학병원 건강증진센터를 방문한 수진자 중 20세 이상의 성인 4,488명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의 진단기준은 modified ATPIII definition을 사용하였고, 그 중 허리둘레 기준은 한국인의 기준에 따랐다.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호모시스테인 농도의 차이, 호모시스테인의 농도 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환자 비율을 조사하여,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의 연관성을 보고자 하였다. 결과: 혈중 호모시스테인은 대사증후군을 가진 군이 대사증후군을 가지지 않은 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값을 보여주었다(9.10 vs 7.97, P < 0.001). 호모시스테인의 농도차이에 따른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호모시스테인의 농도가 가장 낮은 4분위수와 비교하였을 때, 상위 4분위수 모두 교차비가 1.28, 1.48, 1.41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결론: 대사증후군과 호모시스테인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며, 이러한 기전을 확인하기 위한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Background: Metabolic syndrome is a cluster of all the risk factors of cardiovascular diseases, in which insulin resistance plays a key role as the pathogenesis. Homocysteine is an amino acid that is generated during methionine metabolism. It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However, there is a controversy concerning the corelation between homocysteine and metabolic syndrome. This study is designed to further investigate this subject. Methods: A total of 4488 patients who were older than 20 years of age and visited the Health Promotion Center of a university affiliated hospital from Jan 1, 2007 to Dec 31, 2007 were assigned to this study. Modified ATP III definition was used for diagnosis of metabolic syndrome while Korean standard for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his study tried to prove the correlation of homocysteine concentration and metabolic syndrome by using two statistical tools. The first was the comparison of homocysteine concentration between the group with and without metabolic syndrome. The second was the prevalence ratio of metabolic syndrome according to the level of homocysteine concentration. Results: The group with metabolic syndrome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homocysteine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9.10 vs 7.97, P < 0.001). In comparison to the group with the lowest (< 5.90 mg/L, Q1) homocysteine level,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the other groups (Q2.Q3 and Q4) were significantly higher with odds ratio being 1.28, 1.48 and 1.41 for groups Q2, Q3, and Q4, respectively. Conclusion: Metabolic syndrome was shown to have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 high level of homocysteine. Therefore, lowering homocysteine level may help prevent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가 성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개방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김선영,최수미,최은희,신경필 한국청소년학회 2024 청소년학연구 Vol.31 No.5

        본 연구는 청소년이 보고한 부모양육태도,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의 관계를 규명하고,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QR코드 설문방식으로 남자 390명(52%), 여자 367명(48%)을 수집하였고, 자료의 분석은 SPSS Statistics 20.0과 SPSS Process Macro v4.2의 Process Macro Model 6을 통해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기개방의 직렬다중매개효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부모양육태도는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과 정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 자아존중감, 자기개방은 직접효과 있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성태도와 자기개방에 직접효과가 있었지만, 자기개방은 성태도와 직접효과가 없었다. 셋째. 부모양육태도와 성태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하였다.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성태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자아존중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이 성태도 형성에 보호요인임을 밝힌데에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reported by adolescents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o this end, a questionnaire was collected from 390 men (52%) and 367 women (48%)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using QR cod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20.0 and SPSS Process Macro v4.2, and the series of multipl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and self-disclosure were analyz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rough Process Macro Model 6.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parenting attitud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Second, the parenting attitude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self-esteem, and self-openness, and self-esteem had a direct effect on sexual attitude and self-openness. On the other hand, self-openness did not affect sexual attitudes. Third, self-esteem par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sexual attitud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that self-esteem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sexual attitude. Finally,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plan for cultivating healthy sexual attitudes of adolescents was propo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