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동악어문의 학맥과 불교문학의 연구사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5 동악어문학 Vol.65 No.-

        본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불교문학 연구 중에서도 운문 문학에 한(限)하여 계보화된 김성배·이종찬·임기중의 경우에 착목하여 동악어문의 학맥과 상응하는 불교문학의 연구사를 분석하고자 했다. 김성배는 불교가요의 사적 전개를 각 시대가 구현한 사회의 제도와 관습, 혹은 불교사상의 배경 속에서 해명하려고 했다. 문학의 내재적인 공시적 특성보다는 각 시대가 구현한 역사적인 통시적인 맥락에서 그 전개의 양상을 풀어내려고 노력하였다. 이종찬의 선시 연구는 넓게 보아서 신라와 고려와 조선을 잇게 함으로써 문학사의 체계를 세우는 데 있었다. 말하자면, 그는 시대적인 추이의 벼리와 작가론적인 시각의 눈을 갖춘, 이른바 강목사(관)에 입각한 서술 양식의 전례를 따르고 있다. 물론 시대는 피라미드형으로 구성된다. 그의 연구에 동원된 역대의 시승(詩僧) 및 선객(禪客)은 70명에 이른다. 이종찬의 선시 연구 중에서도,『한국의 선시-고려편』의 경우는 당시 국문학계에 적잖은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임기중의 불교가사 연구는 한글로 된 가사 문학에 국한되고 있다는 점에서 앞의 두 사람과 차별성이 있었다. 그는 텍스트 비평에 안주한 감이 없지 않으나, 이 분야의 연구의 초석을 마련한 것은 높이 평가된다. 아울러, 자료를 수집하고 분류하고 작성하는 것도 한 분야를 개척한 연구자의 몫으로 돌려져야 한다. 1. The scholars who study focused on Buddhist literature in the school of Dong-Ak language & literatuer are Kim Sung-Bae, Lee Jong-Chan and Im Kie-Jung. They study Buddhist literatures in the field of Korean classical literature. 2. Kim Sung-Bae is a pioneer who researches Buddhist literatures in the school of Dong-Ak language & literature. He published a book,『the research of Korean Buddhist songs』. He had shown the attitude and method of combining literary history and social history. he tried to illustrate societal system and custom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development in Buddhist songs. 3. Lee Jong-Chan shows outstanding achievement especially in Zen poetry field. His research of Zen poetry covers Shinlla dynasty, Korea dynasty and Chosun dynasty. But, the most outstanding achievement of his research is accomplished in the Zen poetry research of Korea dynasty. Compared to Kim Sung-Bae’s research, he emphasized more the literary aspect in Buddhist literature. 4. Im Kie-Jung researches ‘kasa’ which focuses the propagation of Buddhism, among kasa-literatures written in Korean language. The object of his research is limited to one period generally. His main focus is the position of Buddhist-kasa in Korean literature. His research methodology is a kind of so-called text-criticism. 5. The Buddhist literature researches in Dong-Ak language & literature school are conducted continuously by pupils of these scholars.

      • KCI등재

        한국 시의 아나키즘 영향과 무정부 낙원관

        송희복(Song, Hui?bog)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본 연구는 우리 시문학사에 끼친 사상적인 영향의 하나로 아나키즘을 우선 주목하고자 한다. 아나키스트들이 꿈꾸었던 이상 사회에 대한 동경의 관점이, 이를테면 무정부, 혼돈 등의 뜻을 머금고 있는 아나키(anarchy) 낙원의 관점이 시인의 시 작품 속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데 의미와 의의를 두고 있다. 권구현의 시 중에서 무정부(아나키) 낙원관이 보이는 것은 ?전원으로?라는 제목의 시이다. 오늘날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빌리지 코뮤니티’가 무정부 대안 사회의 모델인 것과 유사하다. 석송 김형원의 아나키즘 시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리운 강남?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일종의 노래시라고 할 수 있는 이것은 시보다는 노래에 방점이 찍혀 있다. 여기에 공동체 삶의 이상, 민중의 대동적(大同的)인 연대의식이 잘 묘파되어 있다. 시와 노래가 하나가 되는 공명과 반향의 절대 경지이다. 아나키즘 시 운동사에서 진경에 도달한 단 한 편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노래에서의 ‘강남’은 다름이 아니라 ‘남조선 사상’의 변형이 아닌가 한다. 신동엽의 서사시 ?금강?은 노동의 신성성과 차별 없는 무계급 사회의 건설이라는 아나키즘의 경세관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다. 신동엽은 동학 혁명을 통해 역사적으로 현재화될 수 있는 아나키즘 사상의 민중적인 자발성과 평등주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아나키즘의 사상적인 영향을 입은 시인들은 대체로 동양적인 무정부 이상 사회인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지향하고 있다. 유치환과 이윤택이 아나키즘의 사상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낙원의식에 있어서는 서로 대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테면 유치환의 ?고대용시도(古代龍市圖)?와 이윤택의 ?밀양(密陽)?에서 아나키 공동체의 낙원 의식이 알게 모르게 엿보인다. 유치환은 그림을 통해 자신의 유토피아를 찾으려 했고, 이윤택은 문화 실천의 현장에서 이를 경험하고자했던 것이다. 김수영의 시 ?풀?에서 보이는 풀의 상징성은 일종의 연성 권력이다. 억압 기구로 제도화된 국가 권력을 강성 권력이라고 한다면, 시민의 자발적인 행위로 존재하는것은 연성 권력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시인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에코아나키즘이다. 이것은 생태 아나키즘이니, 녹색 아나키즘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생태계 파괴의 주범을 부(富)의 집중 탓으로 돌리며 탈집중화, 다양성, 자발성을 통해 생태계의 위기를 해결하려고 한다. 환경 친화적인 공동체의 실현을 위해 아나키즘과 생태시와의 연계 가능성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Anarchism is not literary thought but social thought originally. It had a major effect on the social movement related to the 20th century and literary mode specially. In case of our country, anarchism was used as resistant spirit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It focused on overcoming the thought of social darwinism. The poetry movement of anachism in Korea starts from Kweon guhyun and Kim hawasan. In the 1920’s, they were active. Dadaism and Decadentisme is related closely. But the level of poems in anarchism of the 1920’s did not attain a high level of aesthetics. The poetry movement of anarchism in Korea has been continued for a while after that. A song ?Nostagic Kangnam?written by Kim hyungwon which is used poem as lyrics had been popular in korean people. This song expressed the desire of liberation. An epic poem ?Keum gang? written by Sin dongyup, is reflected the thought of anarchism. There are a few poets who are related to anarchism in Korea. Ryu Chihwan among the deceased and Lee Yuntaek among all living poets are noticeable poets in modern Korea. Even though anarchism seems to be non?mainstream today, it sill attracts many poets in America and Europe. Anarchism is closely connected with ecological lyrics which can be called eco?anarchism and stimulates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our environment.

      • KCI등재

        폐허와 비전의 이중주, 애상을 노래하다 ― 박인환의 「목마와 숙녀」

        송희복(Song Hui-bog) 한국비평문학회 2021 批評文學 Vol.- No.81

        박인환의 시 「목마와 숙녀」는 지금 현재로서는 가장 앞서 발표된 텍스트가 최근에 발굴되었다. 이 발굴로 인해 이 시의 발표 시기가 1년 앞당겨져 1954년으로, 지금까지 33행시로 알려져 있던 것을 32행시로 확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 사실은 이 시의 형태면에 있어서 중요한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이 연구에서는 시에 반영된 중요한 제재인 목마와 숙녀가 무엇을 뜻하는지, 누구를 가리키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복잡한 의미를 함축한 가운데, 목마는 마차이거나 목관으로 짐작되며, 숙녀는 영국의 소설가 버지니아 울프이거나 소설이나 영화 속의 여주인공으로 이해된다. 시편 「목마와 숙녀」에는 시상의 흐름이 동일하게 반복되면서도 의식 자체를 반영하는 게 아닌 소위 '의식의 흐름'과 같은 언어의 질감이 반영되어 있다. 이 시는 빅토리아 시대 후기의 로맨틱한 심미주의를 동경하는 취향의 시이면서도, 한국전쟁 이후의 전후의 애상을 노래한 것이기도 하다. 프로이트가 1917년에 쓴 유명한 논문 제목이기도 한 이 ‘애도와 멜랑콜리’의 분위기가 이 시에 잘 반영되어 있다고 하겠다. 프로이트가 멜랑콜리나 우울증에 나르시시즘의 성향이 지배적으로 나타난다고 했듯이, 이 시에서도 자아중심적인 우울의 징후가 뚜렷이 엿보이고 있다. Currently the most previously text published of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which is a poem of Park In-hwan has been recently discovered. It is inevitable to confirm the year of presentation of the poem as 1954 moved one year ahead and what has been known as the 33-line so far with the 32-line poem by this recent discovery. This fact has led to an important change of perception in the form of this poem. In this study, the author looked at the important sanctions reflected in the poem what the horse and the lady meant and who they were referring to. With a complex connotation, the wooden horse is assumed to be a carriage or a wooden coffin and the lady is understood to be a British novelist Virginia Woolf or a heroin in a novel or film. The poem, “the wooden horse and the lady” reflect the textures of language such as the so-called “flow of consciousness” rather than reflecting the consciousness itself even though the flow of poetic concept is repeated the same way. It is the poem of taste that admires the romantic aesthetics of the late Victorian era, but sings the post-war mourning of the Korean War. The atmosphere of “Mourning and Melancholia” the title of Freud’s famous paper written in 1917, is well reflected in the poem. Just as Freud said narcissism prevails in melancholia or depression, there are clear signs of egocentric depression in this poem.

      • KCI등재

        불교적 생태 감성과 에코카르마의 시학

        송희복(Song Hui-Bog) 문학과 환경학회 2007 문학과 환경 Vol.6 No.2

        It can get Environmental an eye for beauty from nature and artistic beauty. The poetic function and role is important in environmental issue. It is called 'ecology Poetics' that access this problem. All the ecology Poetics into two distinct kinds, one is a ecological lyric poetry that express intimate relationship and sympathy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the other is critical poetry about civilization that warn or arouse attention. Buddhism is evoked as most functional idea than anything else. If there is something to include Buddhism and ecology at the same time, it would be 'Hwaum’(華嚴). Recently, many Korean poets are interested in this Hwaum. For instance, Jeong Hyeon-jong, Lee Seong-Seon, Kim Yong-taek, Kim Ji-ha and so on. 'Eco-Karma', the new created ward that is compressed into by environmental ethics, aim at respect of people's life, peace, and equality. Buddhism insists that everything should throw in the towel the idea of ego. Because all the things has interdependence. 'Erasing me', Oh Se-yeong's poem, is presenting extinction of ego. THis poem is bring up affinity with universal sympathy and unlimited imagination. He said, "'Giving me up' stands for establishment of self." 'Giving me up' represents high-leveled Eco-Karma. An ego worthy of the name is a clue to overcome the crisis with split world. In this study, it made mention of Gary Snyder, as symbol of an ecological poet. He come up with oriental spiritualism because he had trained Zen-Buddhism before. so many korean poets and scholars pay attention to him in this reason.

      • KCI등재

        유종호의 문학비평에 투영된 언어관 내지 어문(語文) 의식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3 동악어문학 Vol.60 No.-

        유종호 문학비평의 기저를 이루는 일반론의 하나는 모국어를 사랑하는 사람만이 문학을 진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연구사 개관은 전용호, 이광호, 권영민의 자료를 통해 되살펴볼 수 있다. 유종호의 첫 번째 비평집인 『비순수의 선언』은 문학의 토착어가 가치지향적인 용어임에도 불구하고 가치의 개념을 제한적으로 유보하고 있다. 비평집 『비순수의 선언』에 투영되어 있는 중용적인 언어관은 토착어와 산문정신, 토착주의적인 미의식과 근대적인 심미관 등과 같은 이질적인 세계에 대한 양가감정이며 균형 감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가 장용학의 소설 「상립신화(喪笠神話)」를 두고 비판을 가한 것이 문제가 되어 그는 장용학과 더불어 1964년 5월부터 10개월간 한글 전용에 관한 찬반 논쟁을 벌인다. 그는 일본어 세대의 소설가인 장용학과 논쟁을 하는 과정에서 그가 문학의 언어를 통한 새로운 감수성이 얼마나 절실한가를 깨닫게 된다. 그가 1960년대에 발표한 회심의 비평문인 「감수성의 혁명」은 일본어를 습득한 마지막 세대로서 해방 후 영어를 배우고 영문학 교양의 바탕 위에 비평적인 안식(眼識)과 경험을 얻은 그가 자신보다 바로 아래인 세대의 후배들인 한글세대가 이룩한 문학의 첫 장을 열었다는 데 대한 비평적인 고무의 소산이라고 할 수 있다. 유종호의 문학적이거나 비평적인 언어관은 유보적이고 중립적인 데서 서서히 의식의 지평을 확대해가고 심화해 가면서 뚜렷하고 확고한 어문(語文) 의식으로 발전해 간다. 그의 문학비평에 투영된 토착어지향성이 그 자신 문학비평의 구경적인 의미 내지 의의가 될 수밖에 없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유종호는 도상(途上)의 시인작가보다는 문학사적으로 검증된 시인들을 실제비평의 대상으로 주로 삼았다. 유종호 문학비평의 중요한 향방으로 설정된 토착어지향성의 문제는 다음 두 편의 비중 있는 비평문에 의해 믿음직하게 정립되었다고 할 수 있겠다. 그 하나는 「시와 토착어지향」(1981)이며, 또 다른 하나는 「시인과 모국어」(1984)이다. 이 두 비평문은 유종호의 문학관 및 가치지향과 사유의 폭과 깊이가 집약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1. Yu Jong-ho is the most representative Korean literary critic. He has been a prominent literary critic from the 1950s to the present. He has published several books of literary criticism since his first book of criticism, The declaration of Impureness. 2. The importance of his criticism is found in the concept of the vernacular (aboriginal language) in our literature. The value of our language is indescribably important in literature. 3. But the discussion on the beauty of our language and writing rightly disappears in the academic and critical world these days. This study focuses on the true value of our literature, managing the standard and value of listening and reading of literature rather than written literature. 4. Some of contents the author doesn’t deal with in this paper would be dealt in the next paper. The following is the contents of the next paper. 5. He categorizes poets as being positive and as being negative in according to his view of them. Those poets of being positive are who contribute the refinement of Korean language and those poets of being negative are who don’t. For example, the former is Kim Seowol, Jung Jiyong, Seo Jungju, Park Mogwol, Sin Kyeongrim, and the latter is Lee Sang, Lim Hwa, Lyu Chihwan. 6. From this point of view, we have to understand and reflect his value of criticism in a new way.

      • KCI등재

        김소월과 백석의 시어 및 조사(措辭) 비교 연구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2 동악어문학 Vol.58 No.-

        한국문학 연구 가운데 현대시 분야에 있어서 언어 형식의 조건보다 사회문화적인 맥락에서 연구하는 관행이 상대적으로 압도하고 있다거나, 시인 두 사람 사이의 비교 연구가 일천하다거나 하는 상황에서 본 연구의 동기와 필연성이 전제되어 있다고 하겠다. 본 연구에서는 김소월과 백석의 시를 다르게 보는 관점을 시어 및 조사라는 언어 형식의 조건에 초점을 두고자 한다. 김소월의 시의 가장 특징적인 것은 율동적이라는 데 있다. 그의 시가 율동적이라는 근거의 하나는 7?5조 음수율과 무관치 않다. 김소월 시의 청감의 리얼리티는 음소의 분석에서 문장 분석을 지나 화소(話素)의 분석에 이르면 김소월의 「접동새」에서 절정을 이루는 감이 있다. 이 시는 일종의 이야기시라고 할 수 있다. 이야기시란 이야기를 말하는 시이기 때문에 이야기를 말하는 화자가 있다. 화자가 자전적이냐, 허구적이냐에 따라 이야기 자체를 경험에 의존해 재현한 것인지, 아니면 총체적인 은유체계로 보는 것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화자가 구연적이냐, 서술적이냐에 따라 이야기가 청자지향적인 구연 상황을 만드는 것인가, 아니면 독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도모하는 것인가를 살펴볼 수 있다. 「접동새」는 스토리텔링의 방식에 의해 구연적인 상황을 만드는 일종의 구술 자료의 성격을 띤다. 이 시가 그만큼 독자지향적이라기보다 청자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 김소월의 시가 청각적이라면, 백석의 시는 시각적이다. 그의 시가 시각적인 데는 모더니즘의 영향도 간과할 수 없겠지만 그의 시적인 언어 및 조사(措辭) 형식이 함축적이고 견고한 의미구조보다는 서술적이고도 방만한 의미구조를 선호한다. 김소월의 시가 듣기의 감성을 촉발하고 있다면 백석의 시는 청각적인 감흥이 전혀 살아나지 않는다. 듣기에는 고사하고 읽기에도 괴로운 감이 있다. 백석의 대중적이면서 동시에 성취적인 작품인 「여승」이다. 이 시는 김소월의 「접동새」와 여러 모로 대조적이다. 물론 이 시 역시 「접동새」처럼 이야기시이며 여성의 한스러운 삶을 소재로 한 것이다. 김소월의 「접동새」가 구연 화자의 청자지향적인 구연 상황을 맥락화하고 있다면, 백석의 「여승」은 서술 화자의 자전적인 경험에 의한 서사 전략을 의미화하고 있다. 김소월의 「접동새」가 구연 상황처럼 청각적이라면, 백석의 「여승」은 영화처럼 시각적이다. 또 다른 면에서, 김소월의 시는 통사적이며, 백석의 시는 해사적이다. 전자는 함축적인 언어의 사용, 농도가 확보된 견고한 의미 구조를 선호한다. 이에 비해 후자에게는 방만한 언어의 사용, 서술적인 이미지의 문맥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 전통적인 읽기의 방식대로라면 김소월에 비해 백석의 시가 좀 불편하거나 호흡이 길게 느껴질 수 있다. 이 모든 것은 함축적인 것과 서술적인 것, 통사적인 것과 해사적인 것, 율동적인 것과 영상적인 것의 차이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Kim So Wol and Baek Suk are highly important people in the history of Korean poetic literature. This is the reason why they are so popular for people who study modern poetry. This paper is a comparison of them. The most characteristic thing is that Kim So Wol has rhythmical points in his work. The 7.5stanza is related to that point. This is accepting the tradition of Korean folk songs rather than the influence of Japan. His works focus on hearing instead of reading. That is, it aims at the listeners instead of the readers. While Kim So Wol"s poetry is auditive, Baek Suk"s poetry is visual. The main reasons that Baek Suk"s poetry is visual are his preference for descriptive and loose meaning rather than implicative and solid meaning. Also modernism influenced his poetry to be visual. Kim So Wol"s poetry arouses auditory sensibility but there is no auditory inspiration in Baek Suk"s poetry. So it is hard to read, not to mention to listen to. Baek Suk"s poetic world can be described as a sea of the deepread native tongue. So readers have to study the Korean language on their own while they are reading his work. There are two sides to understanding his works. One is giving a high opinion of his own language. The other is conceding his own language with some doubt. I support the latter. Kim So Wol emphasized rules of grammar in his poetry, but Baek Suk tried to break these rules in his work. The former wants to use implicative words and compacted meaning, whereas the latter has a tendency to use loose words and narrative contexts. It could be harder to read Baek Suk"s poetry than Kim So Wol"s with the conventional reading method.

      • KCI등재
      • KCI등재

        문화연구의 관점에서 본 영화 속의 사회상

        송희복(Song Hui-bog)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7

        이 논문은 영화 속의 사회상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1960년대는 한국 영화의 전성기이다. 이 시대의 배우 중에서 신성일은 압도적인 스타-시스템을 형성하고 있었다. 그가 출연한 영화 가운데 1960년대에 있어서 사회적인 콘텍스트와 관련이 있거나 사회비판의 이미지가 강한 세 편의 영화를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맨발의 청춘」(1964) 은 신분의 차이로 이루지 못한 사랑의 이야기다. 가난하고 배우지 못한 젊은 청춘도 인간답게 누군가를 사랑할 수 있다는 고귀한 정신을 이 영화는 가르쳐주고 있다. 1960년대 한국 사회에 대한 불만족한 현실 - 예컨대 가난, 불평등, 무기력 등-이 잘 묘사되어 있다. 영화 「초우」(1966)도 자신의 신분을 속이고 있는 두 남녀가 사랑의 단맛에 빠져 있지만 결국 서로가 들통이 나서 파국을 맞이한다는 내용의 텍스트다. 여기에 물론 한국 사회의 신분상승의 욕망이 잘 반영되어 있다. 이 영화에는 문학에서 말하는 소위 낭만적 아이러니의 양식이 엿보인다. 당시에 개봉되지 못한 「휴일」(1968)은 암울한 현실과 강렬한 사회비판적인 메시지 때문에 검열에 통과되지 못한 영화다. 이 영화는 그 시대의 부름을 받지 못한 진보주의 영화로서 앞으로 문화연구의 대상으로 각광을 받을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에 발굴되어 2005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소개되었다. 1. This paper is about social aspects in Korean movies in the 1960s. The 1960s is heydays of Korean cinema. Shin Seongil contributed to set up an overwhelming star-system among actors in this period. The author selects three movies of him in the 1960s, which are related to social context or to have strong social criticism. 2.「The Barefooted Young」(1964) is a movie about love which is unfulfilled due to the difference of social status. This movie shows us noble spirit that the poor and uneducated young people can also love humanly. It is described unsatisfied realities in the 1960s of Korea– poverty, unequality, helplessness-well. 3.「Early Rain」(1966) is a movie in which the story is about two lovers, who cheat their social status each other, end up collapsing after it is revealed. It reflects desires of the rise of social status well in Korean society at that time. This film shows ‘Die romantische Ironie(romantic irony) style in literature. 4.「Holiday」(1968) is a film which was not passed through the movie censorship of that period due to gloomy realities and intense messages of social criticism shown in this movie. This film was not called upon at that time as a progressive movie, but it will come into the spotlight as an object for cultural research in the future. This film is discovered recently, so it is introduced at the PIFF(P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of 2005.

      • KCI등재

        역사와 문학을 보는 관점

        송희복(Song Hui Bo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본 연구는 그 동안 소설가들이 창작한 장보고 관련 역사소설을 분석과 성찰의 대상으로 삼아서 그들이 한 시대의 역사 인물을 오늘날 삶의 지평 속에서 어떻게 형상화하고 재구성했느냐, 또한 그들이 텍스트의 담론을 생성하고 텍스트 상호간에 대한 비평적인 의미망을 연결시키고 있었느냐 하는 점을 고찰하고, 규명해 보고자 하는 데 있다. 그러기 위해서 좀 더 섬세한 통찰 속에서 역사문학의 이론적 근거를 밝히기 위해 문학의 역사성, 문학의 반(反)역사성, 문학의 탈(脫)역사성으로 개념을 세분화하였다. 정한숙의 「바다의 왕자」는 민족주의의 입장에서 장보고의 인간됨을 묘사하고 있다. 민중주의의 시각에서 그 인물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 대목에선 그가 민족의 영웅이 아닌 민중지도자의 인간상에 해당한다. 이 말은 그가 민족주의와 민중주의 가운데 어느 한 곳에도 편벽되지 않겠다는 의도를 보여준 것이라고 할 것이다. 홍명희의 『임꺽정』의 영향권에서 벗어나지 못한 경우라고 하겠다. 홍명희 경우처럼, 정한숙의 장보고는 계급적으로 상하층을 아우르며 연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현저히 중도적이다. 그런데 유현종의 『해왕』은 장보고의 왜구 소탕 과정을 다룬 소설로 사실과 합치되지 않거나 성실하지 않는 역사 고증의 문제로 역사소설로서는 신뢰성이 없는 경우라고 해야 할 것이다. 역사를 포장한 반역사의 성격이 드러나 있는 이 같은 유의 역사소설은 우리 주변에 흔하게 발견되고 있어서 비평적인 옥석의 구분이 요구된다고 할 것이다. 이중원의 역사소설 『장보고』(2004)도 역사성의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 역방향으로 지향하고 있는 성격의 것이 아닌가 생각되는 작품이다. 비교적 최근에 발표된 역사소설 중에서 문학의 역사성이란 관점에서 논의될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있다면 가장 전형적인 경우가 최인호의 『해신』(2003)이다. 이 작품은 통일 신라 시대의 해상왕으로 잘 알려진 진취적인 인물 장보고의 일대기를 서술한 것. TV드라마로도 제작이 되어 일반 대중에게도 잘 알려진 이 작품의 기저를 이루는 것은 민족주의적인 정조를 자극시키는 데 있다. 역사소설과 민족주의의 상관관계는 가장 익숙한 문학적인 컨벤션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최인호의 『해신』은 진일보한 역사소설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인호의 『해신』에는 역사성만이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탈(脫)역사성도 존재하고 있다. 이 소설의 문학적인 특성이 강조될 때 부각될 수 있는 이 개념은 역사성과 반(反)역사성 중간 지점에 놓이고는 한다. 이 대목에서 거론한 이른바 탈역사의 개념이 수면에 떠오르게 된 것은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과도 관계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을 요하는 작품이다. This paper is about ‘A viewpoin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History, and Comparison of and Prospect for historical Novels with the Jangbogo-subject’. They already had discussed many years of relation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There are three points of view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First, there is a history of literature. Second, there is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And third, there is an ex-history of literature. Literature has a historic nature. This is well represented by the Clio who is one of the Muses in Greek mythology. Northrop Fyre, a Canadian literary critic, stated that, “History includes a general concept of Art.” Korean modern novels have develop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history and literature. Most Korean novelists think that the purpose of a novel is to pursue a better life. But, some novelists think that literature does not have a historic nature or must never have had a historic nature. All in one, critics who support a formalism and structuralism have this position. They insist that a novelist use history as a means because they want to remedy a grievance of reality. The novelist sinks into pseudo-history, lack of historic truth, or imaginary history that reveal an anti-history of literature. Recently, Korean historical novel have formed a new trend. It is a growing trend that opposes the existing historical novel such as; group consciousness, ideology, and mega discourse. These days, historical novels which, important factions, rather than fact, is popular. It seems that ‘post-histories’- a new historical view of post-modernists, affects this kind of historical novel. This is in relation to the changed desire of readers who want to over a boundary of reality and imaginary. Jung Han-sook's historical novel, 「King of the Sea : Jangbogo」, is hardly looking up a description of Jangbogo's heroic behavior. This is a very exceptional thing. Lukacs said, “His work is a historical novel which is shunning excess of Hero and Villain, People and The people.” In between characters is a classical feature of a historical nove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