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간 제약 특성과 WPA를 이용한 얼굴 영역 검출 및 검증 방법

        송호근,Song, Ho-Keun 한국정보통신학회 2006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0 No.3

        본 논문에서는 컬러 정지 영상을 대상으로 상반신 인물 영상이 입력되었을 때, 얼굴 영역을 추출하고 검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논문의 얼굴 추출과정은 1단계로 영상 내 피부색 영역을 추출한 다음, 후보 영역들에 대한 공간적 제한조건을 이용하여 1차 얼굴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2단계에서는 얼굴 구성 요소 중 가장 두드러진 특징으로서 눈 영역을 탐색하고, 눈 영역을 기준으로 한국인의 얼굴에 대한 구조적 통계값을 적용한다. 이로서 얼굴 포함 최소 사각형 후보 영역을 결정한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영상 내 색상 정보와 공간 정보 그리고 구조적 통계치로부터 결정된 얼굴 후보 영역에 대하여 얼굴 영역의 텍스춰(texture)를 Wavelet Packet Analysis를 이 용해 조사함으로써 얼굴 영역을 확정하게 된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face region detection/verification method using wavelet packet analysis and structural statistic for frontal human color image. The method extracts skin color lesions from input images, first. and then applies spatial restrictive conditions to the region, and determines whether the region is face candidate region or not. In second step, we find eye region in the face candidate region using structural statistic for standard korean faces. And in last step, the face region is verified via wavelet packet analysis if the face torture were satisfied to normal texture condition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식국가의 분화와 근대의 여명: 조선의 말안장시대

        송호근 ( Ho Keun Song ) 한림과학원 2012 개념과 소통 Vol.0 No.10

        This paper is the first section of on-going research concerning the origins of citizenship in Korea. The Chosun Dynasty was very much a knowledge- state in which knowledge and power were in smooth circulation, indivisibly. When this circulation process became disrupted by the imposition of a monopolistic regime in the early 19th century, three axes of the ruling apparatus, i.e. religion, education, and regional control, began to separate and differentiate. This paper introduces the concept of Sattelzeit to specifically define the era when these dual process occurred. The ruling classes and the general people entered an entirely new and unstable era with the collapse of the old order which had been legitimized by Confucianism under a ``Sacred Canopy``. This paper analyzes the emergence of the modern individual, focusing on the changing nature of confucian thought and the conflicting aspects of reinterpretation and secularization affecting the concept of ``Sky`` as understood by intellectuals and by ordinary people. The Sattelzeit of the late Chosun Dynasty witnessed emerging indications of modernity in many spheres of society.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the evolution of the feudal subject into the modern individual was hindered by strong feudal legacies and the traditional system of symbols. The Chosun Dynasty would have a long wait before the birth of true citizenship.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 노동자의 계급의식 결정요인

        송호근(Song Ho-Keun),유형근(Yoo Hyung Geun) 비판사회학회 2010 경제와 사회 Vol.- No.87

        이 연구는 울산 지역 조직노동자의 계급의식을 설명하는 요인들을 규명하고 그 상대적 중요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에 국내의 노동자 계급의식 연구들이 설명변수의 제한성, 이론적 모형의 결여, 분석방법의 한계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면, 이 논문은 계급의식의 설명요인들을 다변화하고 가설적인 이론적 모형을 구성한 후 검증을 수행하였다. 울산 지역 조직노동자를 모집단으로 한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노동계급의 공동체적 하위문화가 발달하여 노동계급 간 유유상종 경향이 높을수록 계급의식이 발달한다는 ‘노동계급 공동체’ 가설이 가장 뚜렷하게 지지되었다. 이에 반해 중공업 생산직 육체노동자라는 직업 범주와 민주노총이라는 상급단체 범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 밖에 계급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수들은 주택의 소유, 직업의 불안정성 인식, 사업체 규모, 노조간부 경험 등이었다. 결론적으로 계급의식 형성에 직업 및 노조 요인보다는, 노동자의 공동체적 사회관계와 문화적 생활 형식들이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발견은 기존의 국내 연구에서 확인되지 않은 것이다. 이것은 앞으로 한국의 노동계급 의식 연구에서 노동자의 생활세계에 대한 문화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main factors explaining class consciousness of the organized workers. While insufficient independent variables, lack of theoretical model, and narrow methods of analysis are the problems being faced by previous researches on class consciousness of Korean workers, we formulate hypotheses about the formation of working-class consciousness, and then test their empirical validity. As a result, our empirical test sheds biggest credibility to ‘the working-class community’ proposition. However, empirical effects of being blue-collar workers in heavy industry or of membership of the KCTU turn out to be insignificant in our model of analysis. In addition, variables like homeownership, perceived occupational insecurity, membership of large-scale establishment, career as the union officers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 of class consciousness. Contrary to the prevailing view, we propose that communal social relationship and cultural life-forms of the working-class members are more significant factors rather than occupational characteristic or membership of certain trade unions to explain the level of class consciousness of workers.

      • KCI우수등재

        빈곤노동계층의 노동시장구조와 정책

        송호근(Song Ho Keun) 한국사회학회 2002 韓國社會學 Vol.36 No.1

        한국은 성장의 파급효과에 기대어 빈곤문제를 해결하여 왔던 국가였다. 그러나, 1997년의 외환위기를 계기로 빈곤인구가 급증하기 시작했으며 절대빈곤이 사회문제로 부상하게 되었다. 빈곤의 원인과 노동시장적 특성과 관련하여 이 논문은 ‘빈곤의 여성화’와 ‘분절 노동시장’이라는 두 가지 구조적 현상에 초점을 둔다. ‘빈곤의 여성화’란 빈곤인구의 절대 다수가 여성으로 채워지는 현상을 의미하는데, 남성근로자 및 남성가구주 중심의 ‘전통적 빈곤’과는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빈곤’(new poverty)이자 선진국형 빈곤이라는 점에 주목을 요한다. 기존 연구들은 ‘빈곤의 여성화’를 여성에게 가족부양의 의무가 집중되어 있는 점과 노동시장에서의 성차별로 설명한다. 이 논문은 이와는 다른 두 가지의 요인에 주목한다. 하나는 간접적인 요인으로 ‘세계화’의 영향이며, 다른 하나는 보다 직접적인 요인으로 ‘분절노동시장’의 존재이다. 성차별과 다른 개념으로서의 ‘분절노동시장’은 근로빈민들의 빈곤상태로부터의 탈출을 억제하는 인식적, 제도적 기제로 작동하고 있기에 인적 자본 배양과 성차별 완화만으로 여성빈곤은 쉽사리 해결되지 않는다. 이 논문은 [한국노동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빈곤의 여성화’와 ‘여성 직종의 질적 저하’의 현황과 원인을 분석하고, 임금결정, 교육보상율, 생애임금의 측면에서 분절노동시장의 존재를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빈곤여성을 포함한 근로빈민에게는 취업안정과 취업연계정책이 빈곤탈출에 가장 효과적이며, 분절노동시장의 내적 요인 -고용주의 인식적, 관습적 장벽을 약화시키는 정부 정책이 시급함을 제시하였다. Korea has successfully reduced the poor by increasing spread effects of economic growth. However, the poverty emerged as an urgent social and economic problem in the foreign currency crisis of 1997. This paper lays an analytical focus on the ‘feminization of poverty' as a new and salient outcome of he two interrelated causes: structural adjustment under the pressure of globalization and the ‘labor market segmentation’ in employment system. This approach differs from major research that likes to highlight paternalistic ideology and gender discrimination as main causes of feminization of poverty. This paper illuminates the composition and labor-market characteristics of the working poor by the analysis of the 1998 [Korean Labor Panel Survey]. Major findings include a couple. First, three quarters of the working poor are female and four fifths of them Ire household head in charge of family subsistence. Second, a rapid degradation of women occupation is confirmed. Third, labor-market segmentation against the poor enforces wage disadvantage as large as 2.4 times compared to male workers in nonpoor market. Age-wage profile and the rate of return to schooling also convince the labor-market segmentation as a strong barrier to the poor attempting o be nonpoor.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suggests the enhancement of job security. and employment opportunity for the poor in general and for the female poor in particular as a most effective policy reducing poverty.

      • KCI등재

        사회복지정책 결정 구조에 대한 정책 연결망 분석 : 문민 정부와 국민의 정부 비교

        송호근(Song Ho-Keun),홍경준(Hong Kyung-Zoon)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4

        이 연구의 목적은 문민 정부와 국민의 정부 시기의 한국 사회복지정책 결정구조를 비교함으로써, 1990년대 후반 이후 발생한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원인을 탐구하는 것이다. 사회복지정책 결정구조를 비교하기 위해 이 연구는 정책 연결망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정책 연결망 분석은 정책 결정과정에 참여하는 행위자들 사이의 관계 구조를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쉽게 관찰하기 어려운 정책 결정 구조의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6개의 정책영역과 그에 속하는 52개의 정책사건에 대한 정책연결망 분석 결과 문민 정부의 정책 결정 구조에서 주변적인 위치에 있던 시민사회가 국민의 정부 시기 동안에는 정책 결정 구조의 중심에 진입하였음을 발견하였다. 반면에 문민 정부의 사회복지 정책결정 구조에서 비토 지점으로 역할해 온 경제관련 부처들은 국민의 정부 시기 동안 그에 상응하는 역할을 수행하지 못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정부 시기의 정책 결정 구조에는 상당한 차이가 존재함을 알 수 있었고, 1990년대 후반 이후 발생한 한국 사회복지정책의 변화는 이러한 정책 결정 구조의 변화양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In order to examine the causes of the social policy changes in Korea during the late of 1990s, this study tries to compare the social policy decision-making structure between Kim Yong-Sam Government and Kim Dae-Jung Government. This study applies policy network analysis method which measures the relation and power structures of policy actors and as a result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cy making structure. Analysing the 6 policy domains and 52 policy events, this study finds that the importance and location of veto points which were created by the social policy decision processes have changed. In Korea, social policy decision processes have been produced power structures in which Ministry of Finance and Economic Planning Board have played a decisive role. In result, these executives can have controlled policy making processes and had veto power, i. e. veto points in policy decision-making structure. But, during Kim Dae-Jung government, accountability issues of financial crisis and reorganization of ministries have changed the importance and location of veto points. Pro-welfare groups of civil society got a chance to penetrate policy decision-making structure during that time. This study argues that these changes of policy decision-making structure may be associated with the social policy changes in Korea during the late of 1990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