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교수의 경력별 직무역량 요구분석과 지원 방안

        송해덕(宋海德),장선영(張善英),김연경(金姸京)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아시아교육연구 Vol.1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교수의 우수한 직무수행을 위해 요구되는 역량을 규명하고, 규명된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문헌분석 및 전문가검토를 통해 대학교수의 직무역량군을 도출하였다. 둘째, 서울에 소재한 한 대학의 교수 207명을 대상으로 사전에 개발된 직무역량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셋째, 수집된 자료는 t-검증, Borich의 요구도 공식에 적용,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활용하여 분석한 후 최종 우선순위 역량을 도출하였다. 분석결과는 설문에 응한 교수 전체와 교수경력별(10년 미만, 10년 이상 20년 미만, 20년 이상)로 구분하여 도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수경력을 구분하지 않고 교수 전체를 대상으로 요구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생이해’, ‘동기부여’, ‘수업전달’, ‘창의적 사고’, ‘융복합적 사고’, ‘의사소통’ 역량이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할 직무역량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경력별로 실시된 요구분석 결과, ‘동기부여’, ‘수업전달’, ‘창의적 사고’, ‘융복합적 사고’가 모든 경력의 교수들에게 공통으로 고려해야 할 직무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이밖에 경력이 10년 미만의 교수들에게 ‘학생이해’, ‘교육과정 이해’, ‘리더십’ 역량이, 경력이 10년이상 20년 미만인 교수들에게는 ‘학생이해’, ‘교수전문성’, ‘의사소통’ 역량이, 경력이 20년 이상인 교수들에게는 ‘교수전문성’, ‘의사소통’이 직무역량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기반으로 경력별 관련 직무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원방안과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petencies that are required for conducting university faculties" job performance and to explore support strategies that can be helpful in improving the identified competencies. To achieve the purposes, first, university professors" core job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by literature reviews and delphi meetings. Second, a survey was administered with 207 professors at a university in Seoul, Korea. Thir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 Borich need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The identified competencies were prioritized according to their importances. Additional data analysis based on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 (less than 10 years, 10-20 years, over 20years). follow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x competencies were identified from all faculty members. They included ① understanding students, ② stimulating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③ instructional content delivery, ④ creative thinking, ⑤ convergent thinking, and ⑥ communication. Second, analysis by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 shows that all faculty members perceive four competencies as important regardless of their teaching experiences. The competencies included ① stimulating students’ motivation to learn, ② instructional content delivery, ③ creative thinking, and ④ convergent thinking. In particular, faculty members with less than 1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erceive three competencies as important. They included ‘understanding students’, ‘understanding curriculums’, and ‘leaderships’. Faculty members with 10 to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erceived three competencies as important. They included ‘understanding students’, ‘communi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Faculty members with over 20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perceived two competencies as important. They included ‘communication’ and ‘teaching expertise. Support strategies and implications were suggested for each group of faculty members based on the findings.

      • KCI등재후보

        기업지배구조 결정요인과 인적자원개발 활동간의 관련성 연구

        송해덕 ( Hae Deok Song ),신덕정 ( Duck Jung Shin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3

        본 연구는 기업지배구조의 결정요인들이 인적자원개발의 실시여부와 어떠한 관련을 가지는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의「인적자본기업패널조사」데이터를 활용하여 기업지배구조 결정요인과 인적자원개발(HRD) 실시여부간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기업지배구조의 결정요인으로 전문경영체제, 사외이사의 수, 외국인 경영참여여부,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에 대한 노조관여, 기업규모를 선정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오너의 경영 개입이 절대적인 경우 집체식 사외교육과 인터넷학습이 활성화되었으며, 완전한 전문경영자체제에서는 임원교육이 활성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외이사의 수가 적은 경우 지식마일리지프로그램, 국내연수, 해외대학원 학위과정 지원, 인터넷학습, 경력개발제도 등의 인적자원개발활동들이 활성화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국인이 경영에 참여하지 않는 경우 OJT 프로그램, 해외대학원과정지원, 하청업체에 대한 기술지원, QC 품질분임조 등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활발하였다. 넷째, 교육훈련/경력개발에 대한 노조의 관여는 인적자원개발 활동 실시와 의의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중소기업보다 대기업에서 해외연수, 인터넷학습, 멘토링, 핵심인재육성 등의 인적자원개발 활동이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 between the attribute factors of corporate governance and the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HRD). To analyze this relations, HCCP(Human Capital Corporate Panel) survey data collected by Korea Research Institute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KRIVET) was used. The major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ngle best management system to perform HRD. Different forms of HRD were activated according to the different management systems such as owner-manager firms and professional-manager firms. 2. The numbers of outside directors wa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RD. Outside directors are likely to keep CEO from avoiding long-term investment such as HRD. 3. Foreigners` participation in management was not helpful in implementing HRD activities. HRD was activated when there was no foreigner`s participation. Foreigners are more likely to take short-term profits by selling stocks. 4. The involvement in labour unions was not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RD activities. 5. Enterprise size was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HRD. Only large enterprises are likely to implement HRD activities.

      • KCI등재

        비대면 대학강의평가 영역 및 문항 탐색 연구

        송해덕(Song, Hae-Deok),이예찬(Lee, Ye-Chan) 숭실대학교 영재교육연구소 2020 Global Creative Leader Vol.10 No.4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대학 비대면 수업의 확산에 따라 대학 강의의 질 관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비대면 대학강의의 차별성을 고려한 강의 평가문항의 개발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대학강의의 질 관리를 위해 비대면 대학강의에 사용될 수 있는강의평가 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검토와 전문가회의를 토대로 비대면 강의를 평가할 수 있는 영역들과 문항들로 13개 영역, 17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도출된 강의평가 문항은 2020년 비대면 대학강의 수강 경험이 있는 대학생 112명을 대상으로Rasch 측정모형을 적용하여 문항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문항 적합도는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평정척도 결과 4점 척도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도출된 강의평가 영역들은 한 개요의 요인으로 수렴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평가문항은 향후 비대면대학 강의의 강의 질 개선을 위해 개별 교수자 및 대학 차원에서 적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있다. With the spread of university non-face-to-face classes due to the coronavirus, interest inmanaging the quality of university lectures is increasing, but the development of course evaluationitems considering the differentiation of non-contact university lectures has been rarely mad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a lecture evaluation items thatcan be used for non-contact university a lecture to monitor the quality of non-face-to-faceuniversity lectures. For this purpose, 13 areas and 17 questions were extracted as areas and itemsfor evaluating non-face-to-face lectures based on reviews of previous studies and expert reviews. The derived lecture evaluation items were validated by applying the Rasch measurement model to112 college students who took non-face-to-face university lectures in 2020. The item fit wasfound to be reasonable, and the result of the rating scale showed that a 4-point scale wasappropriate. It was confirmed that the lecture evaluation areas derived from the exploratoryfactor analysis converged to the one factor. The evaluation items developed in this study aremeaningful in that they can be applied at the level of individual professors and universities toimprove the quality of lectures in non-contact university lectures.

      • X선을 이용한 물체의 단층 영상 구현과 합성 알고리즘 개발

        송해,윤성일 공주영상정보대학 1998 논문집 Vol.5 No.-

        본 논문에서는 X선을 이용하여 3차원 물체의 단면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영상의 선명도와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서 합성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단층 구현 원리에 의해 8방향에서 프로젝션된 영상을 3가지 합성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선명도와 정확도를 판별하였다. 이 평가 알고리즘에 의해서 X선 단층 영상 시스템에서는 제곱근 평균법이 비교적 높은 정확도와 물체를 인식할 수 있는 영상의 선명도가 좋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데이터 아키텍처 구축과 품질지표 평가 방안에 관한 연구

        송해,강창욱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0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학술대회 Vol.2010 No.춘계

        This paper proposes the Data Architecture implementation process and the suggestions for automation which will enable the analyzing and measuring of the data structure as well. We verified the standardization of data that proposes a baseline for minimum quality, communications with stakeholder within an information system, minimization of application changes, and the effect of data values on quality improvement. The baseline is tested through the measurement and assessment of the quality indicator of a data structure as well as a quality control process deduced during the implementation.

      • KCI등재

        C-DEVS형식론을 이용한 실시간 이산사건 제어시스템의 논리 해석 기법

        송해,김탁곤,Song, Hae Sang,Kim, Tag Gon 한국시뮬레이션학회 2012 한국시뮬레이션학회 논문지 Vol.21 No.4

        실시간 시스템의 복잡도가 증가함에 따라 임시방편적 시스템 해석 방법은 시스템 동작 영역 전체를 완전하게 분석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모델링을 기반으로 한 정형 기법은 그러한 한계점을 극복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모델 기반 정형 기법을 이용하여 실시간 시스템의 안전성 및 필연성 등과 같은 논리적 타당성을 이산 사건 모델 수준에서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분석 대상 실시간 시스템은 이산사건 수준에서 계층적으로 모듈화하여 모델을 명세하는 수학적 형식론인 DEVS (Discrete Event Systems Specification) 형식론으로 기술된다. 다음으로, 기술된 DEVS 모델은 시간 명세가 포함된 전역 상태 공간을 표현하는 C-DEVS (Communicating DEVS) 형식론으로 표현한 후 C-DEVS 형식론의 해석 알고리즘을 통해 시스템 동작을 분석된다. 제안된 C-DEVS 형식론 및 해석 알고리즘은 주어진 시스템의 동작 특성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시스템의 상태 공간을 완전하게 빠짐없이 탐색하는 것을 보장한다. 간단한 건널목 제어 시스템의 안전성 분석 사례 연구를 통하여 제안된 모델 기반 해석 기법의 효율성을 예시 하였다. As complexity of real-time systems is being increased ad hoc approaches to analysis of such systems would have limitations in completeness and coverability for states space search. Formal means using a model-based approach would solve such limitations. This paper proposes a model-based formal method for logical analysis, such as safety and liveness, of real-time systems at a discrete event system level. A discrete event model for real-time systems to be analyzed is specified by DEVS(Discrete Event Systems Specification) formalism, which specifies a discrete event system in hierarchical, modular manner. Analysis of such DEVS models is performed by Communicating DEVS (C-DEVS) formalism of a timed global state transition specification and an associated analysis algorithm. The C-DEVS formalism and an associated analysis algorithm guarantees that all possible states for a given system are visited in an analysis phase. A case study of a safety analysis for a rail road crossing system illustr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of the model-based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