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홍경래란의 기억과 문학적 형상화

        송하준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서강인문논총 Vol.0 No.50

        The Hong Kyong-nae Rebellion was a shocking event that denied the overall social system in the 19th century Cheosun. Every comment about it written in the literature until the end of 19th century was negative and no goodwill find there at all. Defending or even justifying Hong Kyong-nae was equal to confession of a rebellion. Any person who showed incorrect reaction at its initial stage or suspicious behaviors were attached by the society. They had to explain the reason of their every trivial reactions word by word. In here, we reviewed the texts written by Im sung-go, Baek Gyeong-hae, Yu Hyo-won, Lee Geun-joo, etc. Their writings showed how much they strived for saving their family and their own lives. The literary works such as Sinmirok also described and showed the results and impacts made by their fights. In addition, it confirms that many took the moral high ground over the deceased in order to maintain their social positions and influences. “Sinmirok” was published for the public and even the women in the deep palace could read. This book drew basic frame to understand the rebellion. However, it failed to free from the mainstream discourse as it was based on the government records. New perspective was rising as 20th century begins. “Hongkyongnaesilgy” and “Hongkyongnaejeon” gave a new assessment on the person by using new concepts including human rights, equality, people and revolution. The domination idea from the past could not explain the reality no more and the new era needed to call the past event and assign a new meaning on it. 홍경래란은 19세기 조선의 사회 체제를 정면으로 부정한 사건이었다. 19세기 말까지의 문헌에서 홍경래를 언급한 말은 모두 부정적인 뜻이었다. 그에 대한 온정적인 태도는 어디에도 발붙일 곳이 없었다. 당시에 홍경래를 변호한다는 건 스스로를 불온한 무리라고 자인하는 꼴이었기 때문이다. 홍경래란 때 대응을 잘못했거나 행적이 의심스러웠던 인사는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이런 사람들은 자신의 행적을 낱낱이 소명해야 했다. 이 논문에서는 임성고(任聖皐)・백경해(白慶楷)・유효원(柳孝源)・이근주(李近冑)와 관련된 자료를 검토했다. 그들이 남긴 글에는 개인의 생존과 가문의 존립을 위해 고심한 흔적이 역력하다. 『신미록』・『정주가』 같은 문학 작품에 형상화된 양상을 통해 그런 노력이 어떤 효과를 거뒀는지도 살폈다. 아울러 죽은 자들의 후광을 빌어 산 자들의 도덕적 우위를 확인함으로써 사회적 지위와 영향력을 유지하려 한 경우도 확인했다. 『신미록』은 방각본으로 간행돼 대중이 쉽게 접할 수 있었고, 궁중의 여인들까지도 읽을 수 있었다. 광범위한 독자들에게 홍경래란을 이해하는 기본틀을 제시한 셈이다. 『신미록』은 관변(官邊)의 기록에 바탕을 둔 작품인 만큼 주류 담론에서 자유로울 수 없었다. 새로운 시각으로 홍경래란을 바라보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들어서다. 『홍경래실기』・『홍경래전』은 ‘인권’・‘평등’・‘민중’・‘혁명’ 등 새로운 관점을 동원해 홍경래를 재평가했다. 새로 맞이한 환경을 설명할 수 있는 역사적 기억을 불러내야 했고, 새로운 의미를 부여해야 했던 것이다.

      • KCI등재

        <북정일기(北征日記)>의 간행 경위와 나선정벌의 기억

        송하준 열상고전연구회 2019 열상고전연구 Vol.68 No.-

        The most reliable record among the data on the Conquest to Nasun(Russia) identified to date is Bukjeongrok by author Shin Ryu (1619∼1680). However, its existence was not known until the late 20th century. When intellectuals in the late Joseon Dynasty discussed the Conquest to Nasun(Russia), they generally used it as the basis for Bukjeongilrok. But in fact, Bukjeongilrok is just the text of a novel that doesn't even know who the author is. To find out the facts and meaning of historical events, a reasonable basis of data is needed, and the nature of the material must be carefully checked. In this paper, I explored what the writing and publication of Bukjeongilgi mean about the recognition of the Conquest to Nasun(Russia). The reason Bukjeongilgi was at the center of the memory and discussion of the Conquest to Nasun(Russia) was that there was not enough other alternative literature. Shin Ryu, in particular, had a problem consciousness about the fact that the document of the Conquest to Nasun(Russia) was not publicly known. In this situation, he needed something that Shin Ryu's exploits well revealed and popularly appealing for his descendants. He needed new text to draw public attention at the same time, revealing the true face of Shin Ryu, which is dwarfed in Bukjeongilrok. It was the descendants of Shin Myeonggi, the third son of Shin Ryu, who played the leading role in publishing Bukjeongilgi. Shin Reuk, Shin's grandson, compiled Bukjeongilgi based on data collected by his father and his uncle. The reasons why this book could be made are as follows. The first was dissatisfaction with the circumstances in which the transmission and recognition of the Conquest to Nasun(Russia) were out of favor, and the second is the desire to restore the old glory of the fallen family by spreading the great ancestral achievements. Bukjeongilgi was the culmination of a project to honor the ancestors of Shin Ryu's descendants that they pursued over a long period. But it was still incomplete. To spread this socially and affect the perception of more people, they need even to print it out and distribute it. In the 19th century in the Gyeongsang region, the business of publishing the posthumous manuscripts was extensively carried out. It was around this time that Tongsangshingongsilgi, which was made by collecting Shin Ryu's posthumous collection, was published in woodblock-printed style. Issuing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was a necessary process to gain public confidence and further expand social influence. Published on top of the preamble received from a man of high repute of those days, the book not only elicited positive reassessment but also contributed to securing the authority of the text. Tongsangshingongsilgi was published, and Bukjeongilgi began to gain repercussions. Therefore, the publication of the Bukjeongilgi can be interpreted as the debate about the Conquest to Nasun(Russia) has begun to flourish in earnest. 현재까지 확인된 나선정벌 관련 자료 중에서 가장 믿을 만한 기록은 신유(申瀏, 1619∼1680)가 남긴 <북정록(北征錄)>이다. 하지만 20세기 후반에야 소개됐을 만큼 그 존재가 알려져 있지 않았다. 조선후기 지식인들이 나선정벌에 관해 논의할 때는 대개 <북정일록(北征日錄)>을 근거로 삼았다. 그런데 <북정일록>은 저자가 누군지도 모르는 소설 텍스트였다. 최근까지도 일부에서는 <북정일록>을 사실 기록으로 믿고 나선정벌을 설명하거나, 역시 허구적 요소가 다분한 <북정일기(北征日記)>를 사료로 취급하는 잘못을 범하고 있다. 역사적 사건의 실상과 의미를 밝히기 위해서는 그에 합당한 자료에 기초해야 하고, 그러자면 자료의 성격을 꼼꼼하게 따져봐야 한다. 이 논문에서는 나선정벌을 인식하는 데 <북정일기>의 집필과 간행이 어떤 의미를 갖는지 탐색해 보았다. <북정일록>이 나선정벌 기억과 논의의 중심에 섰던 건 그 자리를 대신할 만한 문헌이 충분치 않았기 때문이다. 특히 신유의 입장에서 나선정벌 사실을 증언한 문헌이 알려지지 않은 점이 크게 작용했다. 이런 상황에 문제의식을 느낀 후손들에게는 신유의 공적을 잘 드러내면서도 대중적 호소력이 큰 뭔가가 필요했다. <북정일록>에서 왜소하게 그려 놓은 신유의 진면목을 드러내기 위해서도, 세간의 관심에 부응하기 위해서도 새로운 텍스트가 필요했다. <북정록>에 기반하되 이전보다 서사성이 풍부한 <북정일기>가 나오게 된 이유다. <북정일기>를 간행하는 데는 신유의 셋째 아들인 신명기(申命耆)의 자손들이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 신명기의 손자인 신륵은 부친인 신익하(申益夏), 백부인 신익진(申益晉) 등이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북정일기>를 지었다. 그 기저에는 첫째, 나선정벌 관련 전승과 인식에서 소외된 상황에 대한 불만, 둘째, 위대한 선조의 업적을 선양함으로써 쇠락한 가문의 옛 영화를 회복하고픈 욕구가 자리하고 있었다. <북정일기>는 이렇게 신유의 후손들이 오랜 시간 동안 역점을 두고 추진해온 위선사업(爲先事業)의 결실이었다. 하지만 사회적으로 확산해서 더 많은 사람들의 인식에 영향을 미치려면 인쇄해서 배포해야 했다. 19세기 영남지역에서는 선조의 유고를 간행하는 사업이 광범위하게 행해졌다. 신유의 유고를 모은 『통상신공실기(統相申公實紀)』가 목판본으로 간행된 시점도 이 무렵이다. 문집을 공간(公刊)하는 일은 문헌의 공신력을 얻고 사회적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꼭 필요한 과정이다. 당대의 명망가에게서 받은 서문을 얹어서 간행한 문집은 긍정적인 재평가를 이끌어냈을 뿐만 아니라 텍스트의 권위를 확보하는 데도 기여했다. 『통상신공실기』가 간행되자 <북정일기>도 반향을 얻기 시작했다. 김시성․박임룡의 경우가 그런 예이다. 따라서 <북정일기>를 간행한 건 나선정벌 관련 논의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의미이다.

      • KCI등재
      • KCI등재

        자율주행 밭농업로봇의 로터리 경작을 고려한 모델 기반 제어 연구

        송하준,양견모,오장석,송수환,한종부,서갑호 한국로봇학회 2020 로봇학회 논문지 Vol.15 No.3

        The aims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modular agricultural robot and its autonomous driving algorithm that can be used in field farming. Actually, it is difficult to develop a controller for autonomous agricultural robot that transforming their dynamic characteristics by installation of machine modules. So we develop for the model based control algorithm of rotary machine connected to agricultural robot. Autonomous control algorithm of agricultural robot consists of the path control, velocity control, orientation control. To verify the developed algorithm, we used to analytical techniques that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development time and risks. The model is formulated based on the multibody dynamics methods for high accuracy. Their model parameters get from the design parameter and real constructed data. Then we developed the co-simulation that is combined between the multibody dynamics model and control model using the ADAMS and Matlab simulink programs. Using the developed model, we carried out various dynamics simulation in the several rotation speed of blades.

      • KCI등재

        국내 기상 조건을 고려한 자유공간 광통신 단말기 설계

        송하준,장희숙,윤태현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24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7 No.2

        Modern military operations rely heavily on broadband communication and data transmission. Recently, the risinguse of intelligent unmanned technology necessitates more frequencies. Free-space optical(FSO) communication canoffer high-data-rate communications with high security and no need for licensing. Therefore, the FSOcommunication holds significant interest and potential in the defense industry. In this paper, we present design of aFSO communication terminal taking Korean domestic weather conditions into account. The domestic atmosphericattenuation is analyzed using several models and two-year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a city in Korea, and thisanalysis is utilized to design the FSO communication terminal. The design results were verified using an FSOcommunication test bed, and we achieved an Ethernet bandwidth of approximately 1.86 Gbps at a distance of 1.3km with the optical amplifier output power of the test bed set to about 20 dB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