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entre Pompidou-Metz를 통해 본 지역경제 활성화와 미술관 분관의 새로운 방향 모색

        송초롱 한국박물관학회 2015 博物館學報 Vol.- No.28

        본 연구는 프랑스 Metz에 위치한 ‘Centre Pompidou-Metz’를 통해 타 미술관 분관과는 다른 독특 한 형태로, 분관 형태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점과 이 지역 경제 개발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살펴보고 또한 그 바탕에 미술관의 개관 말고도 어떠한 요인들이 존재하는 지를 세밀하 게 분석하고자 한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단순히 미술관의 개관 말고도 지역 경제를 되살리거 나 경제적 이익을 효과적으로 얻기 위해선 먼저, 다양한 인프라들이 같이 구축이 되어 있어야 함을 강조하고자 한다.

      • 바이오 인식 기술 적용 현황 및 서비스 문제점 연구 (모바일 기기를 중심으로)

        송초롱,박재혁,이재우,Song, Cho-Rong,Park, Jae-Hyeok,Lee, Jae-Woo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情報保護學會誌 Vol.25 No.3

        최근 카드사 정보 유출과 더불어 유출된 개인정보를 악용한 범죄가 빈번하게 일어남에 따라 정보보호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국내 스마트폰 가입자 수도 4100만 명을 넘어가면서 모바일 보안에 대한 중요성 역시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지문, 홍채, 얼굴, 목소리, 눈동자 등 개개인의 고유 정보를 이용하여 인증하는 바이오 인식 기술이 주목을 받고 있다. 최근 휴대폰 제조업체들도 스마트폰 기기 내에 바이오 인식 기술을 탑재하여 기존의 인증 방식인 잠금 패턴이나 PIN 방식보다 강화된 보안성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결제 서비스 이용 증가에 따라 바이오 인식 결제 서비스를 제공.이용할 수 있어 그 활용성은 매우 클 것으로 전망된다. 하지만 바이오 데이터의 안전한 처리 문제, 바이오 인식 서비스의 부족 등과 같은 문제점이 따르는 실정이다. 본고에서는 바이오 인식 기술의 적용 현황 및 국내외 동향을 살펴보고 바이오 인식 시장의 문제점 분석과 이에 따른 개선 방향에 대해서 연구한다.

      • KCI등재

        국내 미술관의 미디어아트 컬렉션 활용 방안 연구

        송초롱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23 한국예술연구 Vol.- No.42

        미술관의 소장품 수가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만큼 미디어아트 장르의 소장품 수 또한 자연스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의 규모 있는 미술관은 미디어아트 소장품을 단순 수집·구축하는 과정을 넘어서 다양한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 미술관에 반입되는 소장품을 제외하고도 큰 규모의 기관들은 아카이브를 통해 별도의 싱글채널 비디오 컬렉션을 수집·구축하고 있다. 이를 통해 미술관은 기관만의 고유한 미디어아트 아카이브를 확보할 수 있게 되었으며 이용자를 위한 추가적인 열람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무엇보다도 디지털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만큼, 지금의 미술관은 시스템 구축이라는 방식을 통해 미디어아트 컬렉션의 활용 방식을 다각화하고 있다. 여기에 대표적인 국내의 사례로 국립현대미술관, 아르코미술관, 백남준아트센터가 있으며 이들 기관에서는 소장하고 있는 영상 작품을 단순히 일회성이 아닌 영구적으로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자체 플랫폼 개발과 같은 일련의 노력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해당 사례를 바탕으로 국내 미술관의 미디어아트 컬렉션 활용을 살펴보며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고민해보고자 한다. As museums’ collections gradually broaden, the number of media art collections has also increased. Amid this tendency, large-scale museums in Korea are expanding their role beyond simply collecting and housing media artworks to devise various ways to utilize them. In particular, contemporary museums rely on technology to build digitized systems of media art. MMCA, Arko Art Center, and NAM JUNE PAIK Art Center in Korea are exemplary institutions that have made several efforts to provide open and permanent access to video work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innovative usage of media art collections in Korean art museums and discuss the prospects of these projects.

      • 산림환경의 생리적 안정 효과 및 생리적 조절 효과

        송초롱 ( Cho Rong Song ),( Harumi Ikei ),박범진 ( Bum Jin Park ),( Yoshifumi Miyazak ) 한국임학회 2014 산림과학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Vol.2014 No.-

        본 연구는 산림환경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영향 및 생리적 조절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피험자는 108명의 남자대학생으로 하였으며, 산림부 및 도시부에서 의자에 앉아 15분간 각각의 경관을 바라보았다. 측정지표는 심박변이도, 심장박동수, 혈압 및 맥박수가 사용되었다. 생리적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산림부와 도시부에서의 결과를 비교하였으며, 생리적 조절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초기치의 법칙을 이용하여, ‘도시경관감상 후’의 절대치(초기치)와 ‘산림경관감상 후 -도시경관감상 후’의 값(변화량)에 대하여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산림경관의 감상은 도시경관의 감상과 비교하여, 교감신경활동의 억제, 부교감신경활동의 활성, 그리고 심장박동수 및 맥박수의 저하를 나타내어 생리적 안정 효과를 유발시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산림경관의 감상은 혈압및 맥박수가 높은 피험자의 경우 그 값을 저하시키며, 낮은 피험자의 경우 그 값을 상승시킴으로써, 적정 값에 이르게 하는 생리적 조절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이 밝혀졌다. This study aimed to elucidate the physiological relaxing effects and the physiological adjustment effects of a forest environment on 108 male university students. All participants viewed a scenery in a forested area and an urban area for 15 min. We measured the heart rate variability, heart rate,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of all participants. To analyze the physiological effects, we compared the parameters obtained during forest viewing with those obtained during urban viewing, and to assess the physiological adjustment effects,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bsolute value of the response to urban viewing (an initial response) and the value of the response to forest viewing . the value of the response to urban viewing (changes caused by forest) using the law of the initial value. The results indicated that forest viewing suppressed sympathetic nervous activity, enhanced parasympathetic nervous activity, and decreased the heart rate and pulse rate compared with urban viewing. Furthermore, there were physiological adjustment effects that normalized the initial physiological responses. Subjects with high blood pressure and pulse rate values showed a decrease, whereas those with low initial values showed an increase. In conclusion, it was evident that a forest environment has physiological relaxing effects and physiological adjustment effects.

      • KCI등재

        도시림 산책이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 -일본 신주쿠교엔 현장실험 결과-

        송초롱 ( Cho Rong Song ),이주영 ( Ju Young Lee ),박범진 ( Bum Jin Park ),이민선 ( Min Sun Lee ),松葉直也 ( Naoya Matsuba ),宮崎良文 ( Yoshifumi Miyazaki ) 한국임학회 2011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0 No.3

        본 연구는 도시림에서의 산책이 심리적 안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으며, 퍼스낼리티에 따른 심리적 영향의 차이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실험은 일본의 대표적인 도시림인 신주쿠교엔(이하, 도시림)에서 실시하였으며, 대조실험은 신주쿠역주변의 도심지(이하, 도심)에서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일본인 남자대학생 18명(21.0±0.8세)이 피험자로 참여하였으며, 피험자는 도시림과 도심에서 각각 1회씩 20분간의 산책을 실시하였다. 측정은 심리지표로써 POMS, STAI-S, SCL-90을 이용하여 심리상태를 측정하였으며, 퍼스낼리티 지표로써 KG식 일상생활질문지를 이용하여 A유형 행동양식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시림에서의 산책은 도심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기분``의 개선, ``불안``의 감소, ``정신증상``의 완화를 보였다. 그리고, SCL-90의 ``강박증`` 척도에서 이러한 결과의 반응은 B유형이 A유형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의하여, 도시림에서의 산책은 심리적 안정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그 효과는 퍼스낼리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psychological effects of walking in the urban forest and to examine how the effects differ in accordance with individual personality.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8 male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21.0±0.8 years old). These subjects were instructed to walk predetermined 20-min courses in the urban forest and the city (control). Three questionnaires (POMS, STAI-S, and SCL-90)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e subjects` psychological responses. The KG`s Daily Life Questionnaire was used to examine the subject`s personalities for presence of the Type A behavior pattern. The study found that walking in the urban forest improved the participants` positive mood and decreased their negative mood, anxiety, and other negative mental symptoms. Moreover, Type B subjects showed a bigger change than Type A subjects on the SCL-90`s obsessive and compulsive scale. Our results supported the premise that walking in the urban forest has relaxing effects, and that these effects can differ in accordance with the subject`s personality characteristics.

      • KCI등재

        산림 내 호수 주변에서의 산책과 경관감상이 인체에 미치는 생리적, 심리적 영향

        송초롱 ( Cho Rong Song ),이주영 ( Ju Young Lee ),( Harumi Ikei ),( Takahide Kagawa ),( Yoshifumi Miyazaki ),박범진 ( Bum Jin Park ) 한국산림과학회 2015 한국산림과학회지 Vol.104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walking around and viewing a lake in a forest environment. The subjects included 11 male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age: 22.0±1.2 years) who were randomly assigned to visit either a forest or an urban (control) setting. They were instructed to walk a predetermined 15-min course and to view the setting from a seated position for 15 min. Heart rate variability, heart rate,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salivary cortisol levels were measured to assess the subject’s physiologic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 Four questionnaires (SD method, reports of “refreshed” feeling, POMS, and STAI) were administered to assess the subjects’ psychological responses. It was found that walking around and viewing a lake in a forest environment can suppress sympathetic nerve activity, increase parasympathetic nerve activity, and decrease the heart rate, blood pressure, pulse rate, and cortisol levels. In addition, a forest environment can enhance the “comfortable,” “soothing,” “natural,” and “refreshed” feelings, improve the mood state, and reduce anxiety. These results provide scientific evidence of the physiolog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forest therap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