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SO 19160-1:2015 개념모델에 대한 분석과 이해

        송채은,박하람,김학래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2024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Vol.25 No.5

        주소는 사람, 기관 또는 기업의 위치를 식별하고 특정 개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중요한 정보이며, 우편과 택배 등 물품을 전달하는 데 필수적으로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주소는 행정구역, 건물 등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조합하는 표기 규칙을 갖고 있으며, 주소의 표현 형식은 국가별로 동일하지 않다. 따라서, 주소의 국가 간 상호 운용 또는 주소의 표기 오류를 줄이기 위해 데이터 관점에서 주소 표준의 적용과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제표준인 ISO 19160-1:2015 개념모델의 특징을 소개하고, 국가별 추진 상황을 분석한다. 주소 데이터의 표준으로 제정된 ISO 19160-1:2015 개념모델의 특징을 먼저 살펴보고, 국가별로 추진된 표준 활동을 비교한다. 우리나라는 국제표준을 기반으로 독자적인 주소정보 개념모델의 개발, 사회 전반에 적용한 모범사례를 갖고 있다. 따라서 한국의 추진상황을 상세하게 살펴보고, 주소 모델 관점에서 향후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An address is essential for identifying the locations of persons, institutions, or enterprises and is critical for delivering mail and goods. Addresses often follow formatting guidelines that include various components, including administrative regions and buildings, which might differ from one nation to another. Thus, interest has been concentrated on address standardization to enhance interoperability between countries and minimize address inaccurac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ttributes of the ISO 19160-1:2015 conceptual model, which is the global standard for address models, and evaluates the advancements achieved by different nations. We begin by outl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SO 19160-1:2015 conceptual model and analyze and contrast the standardization efforts of different countries. In particular, we introduce and describe the progress of Korea, which has developed a conceptual model of address information based on international standards and applied the address system in society. We also propose future improvement plan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ddress model.

      • KCI등재

        고려대 중앙도서관 만송문고 소장 科表抄 『東林』에 대하여

        송채은 고전문학한문학연구학회 2022 고전과 해석 Vol.37 No.-

        이 글은 鄭經世(1563-1633), 任叔英(1576-1623), 權韠(1569-1612), 鄭斗卿(1597-1673), 姜栢年(1603-1681), 趙復陽(1609-1671), 申混(1624-1656) 등 조선 중기 인물의 科表가 수록된 科表抄 『東林』을 소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고려대 중앙도서관 만송문고 소장 과표 자료를 개괄하고『東林』 소재 인물 및 과표 답안을 살펴보았다. 『東林』은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중반까지 활동했던 34명의 科表 답안이 전사된 과문선집으로, 謝表 47편, 辭表 4편, 乞表 5편, 총 56편의 과표가 전사되어 있다. 과거 관련 자료 중 비교적 이른 시기의 자료라는 문헌학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또한 『東林』 소재 인물 대부분은 문과 급제자이며, 『東林』에는 특정 시험의 과표 답안만 수록한 것이 아니라 성균관의 거재유생을 대상으로 한 泮試 답안부터 문과 전시에서 장원급제를 한 답안까지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는 점에서 내용적 가치도 인정할 만하다. 현전하는 대부분의 과거 대비 수험서가 18세기 이후의 것임을 감안할 때 16-17세기 인물의 과표 답안을 수록한 『東林』은 조선 중기 과표를 연구하는 데 매우 긴요한 자료라 생각된다.

      • KCI등재

        국화 꽃잎의 anthocyanin 안전성에 관한 연구 : -pH, 온도 및 유기산의 영향- -Effect of pH, Temperature and Organic Acids-

        송채은,박화성 한국화훼연구회 1998 화훼연구 Vol.7 No.2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utilization possibility of anthocyanins produced from the petals of chrysanthemum 'Yaejung', widely growing cultivar in Korea, as a new source of natural food colorant. Effects of pH, temperature and organic acids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extracted from the petals were investigated. The color of anthocyanins in the petals of chrysanthemum was remarkably influenced by the pH.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was decreased as pH increased from 1.0 to 7.0 and the anthocyanins showed bathochromic effect as the pH increased. The protective effect of anthocyanins appeared only at 4℃ of storage temperature and anthocyanins degraded greatly as the storage temperature increased. Among organic acids tested, most maintained the color of anthocyanins effectively. Especially maleic acid enhanced on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while malonic acid greatly degraded anthocyanins. Most of organic acids used in this study had the hyperchromic effect and the stability of anthocyanins increased as concentration of organic acids increased.

      • KCI등재
      • KCI등재

        상사화속 식물 화색의 분류 및 특성

        송채은,박윤점,김근영,허북구 한국화훼연구회 2001 화훼연구 Vol.9 No.2

        Color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of 14 species of Lyroris were studied. Three species of red, four species of reddish orange, one species of orange, and one species of reddish purple were classified. Eleven species among fourteen species tested had 530 nm of λvismax, and three species had 513 nm of λvismax. Spectroscopic method were employed to measure the contents of total flavonoid and anthocyanin in Lycoris species. L. squamigera and L. jacksoniana had 1.61 g/100g.FW, of total flavonoid, which was the highest content among fourteen samples tested. L. radiata had 9.09mg/100 g.FW, of total anthocyanin, and followed L. sap. D, 7.68 mg/100 g.FW,, L. radiata var. pumila, 6.87 mg/100 g.FW., L.satuma $quot;Hiryu$quot;, 6.81 mg/100g.FW,.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삽지각도와 Sucrose 농도가 절화 장미의 수명과 품질에 미치는 영향

        송채은 한국화훼산업육성협회 2011 화훼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장미의 절화수명 연장과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삽지각도, sucrose 전처리 시간 그리고 sucrose 농도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서 수행하였다. Sucrose soaking 처리시 sucrose 농도는 0.5, 1 및 2% 그리고 sucrose pulsing 처리시 sucrose 농도는 0, 1, 2, 및 4%를 이용하였다. Sucrose pulsing처리는 2 hrs 및 20 hrs 전처리 한 다음 실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관에 100 mL씩 각각의 보존용액을 채 운 후 삽지각도는 수평(0o), 수직(90o) 그리고 중간정도 (45o)를 유지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Sucrose soaking 처리시 sucrose 농도와 각도에 따라서 꽃잎의 개화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아 절화수명 연장을 위해서는 sucrose 농도를 높게 하고 각도를 수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sucrose pulsing 2hrs 및 20 hrs 전처리 후, 삽지각도 45o 처리구에서는 개화가 지연되고 색상의 유지가 양호하였으나 90o 처 리구에서는 조사 시작일 부터 개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색상도 빠르게 변색이 진행되므로 절화수명연장의 측 면에서 삽지각도 90o는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사료 된다. This research was aimed to extend the vase life and improve the quality of cut roses ‘Marina’.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ree different angles and sucrose concentration on the vase life and the quality of cut rose flowers. In first experiment, cut roses were placed in three different angles (0o, 45o and 90o) in holding solutions containing 0.5, 1 and 2% sucrose (soaking treatment), and examined the number of petals of cut roses. In second experiment, cut roses were placed in three different angles after pre-treated in 0, 1, 2 and 4% sucrose solution for 2 and 20 hours, and examined the flower diameter of cut roses. In third experiment, cut roses were examined the pigmentation, flowing response and chlorophyll contents in cut roses by three different angles after pulsing treatment (pre-treatment) in holding solution containing 2% sucrose for 2 and 20 hours.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cut roses were influenced by arranging angles and sucrose concentrations. The vase life of cut roses were extended in 45o and 90o arranging angle,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distilled water), and the holding solution containing 2% sucrose significantly increased vase life of cut roses(P < 0.05). Flower diameter of cut roses pre-treated in 4% sucrose solution for 2 and 20 hours significantly decreased (P < 0.05). The pigmentation and flowing response in cut roses were beneficial in 45o arranging angle treated with 2% sucrose solution for 2 and 20 hours. Chlorophyll content in leaves of cut roses was not influenced by arranging angles. The pigmentation and flowing response of 0o and 45o arranging angles were better than that of 90 arranging angle. The vase life of cut roses in 45o arranging angle was more prolonged than that in 90o arranging angle. In conclusion , the arranging angles seem to be effective in retarding senescence of cut rose flowers.

      • KCI등재

        조선 전기 柏梁體 한시의 수용과 전개 양상

        송채은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023 大東漢文學 Vol.76 No.-

        본고는 七言詩와 聯句詩의 기원이라 알려진 <柏梁詩>로부터 파생된 문체인 柏梁體의 개념을 살피고, 그것의 한국에서의 수용 및 전개 양상에 대해 검토한 글이다. <柏梁詩>는 漢 武帝의 ‘日月星辰和四時’라는 發句에 25인의 신하들이 한 구씩 압운을 하여 이루어진 연구시로 이후 梁 武帝의 <蕭衍清暑殿效柏梁體>, 唐 太宗의 <兩儀殿賦柏梁體> 등 군신간의 백량체 연구시가 다수 창작되었다. 개인 작가들의 의해 漢 昭帝의 <淋池歌>, 張衡의 <四愁詩>, 魏 文帝의 <燕歌行> 등과 같은 매구압운한 7언시 또한 지속적으로 창작되었으며 이는 ‘柏梁體’라는 시체의 형성으로 이어졌다. <백량시>는 중국 문단뿐만 아니라 우리나라에도 일찍이 수용되어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신라시대 최치원의 <智證和尙碑銘> 이후로 고려, 조선의 여러 문인이 백량체로 된 작품을 창작하거나 이에 대해 언급하였다. 한 무제 <백량시>를 이어 청대까지 끊임없이 군신간의 연구시가 창작되었던 중국과 달리 조선 문단에서는 연구시로써 한 무제의 <백량시>가 미친 영향보다 개인작의 백량체 작품의 영향이 더 컸던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영향 관계는 백량체 작품을 의고하거나 차운한 시에 잘 드러나 있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concept of the BaiLiang style, a literary style derived from a literary genre called BaiLiang poem, known as the origin of the heptasyllabic and stanzaic poem, while examining how it was accepted and developed in Korea. The BaiLiang poem is a stanzaic poem collaboratively written by the Wu Emperor of the Han Dynasty and his twenty-five subjects. After that, poets began to produce heptasyllabic poems, leading to the formation of the genre, BaiLiang style. It stands to reason that not only Chinese authors but also Korean literati wrote and enjoyed the BaiLiang style. Since Choi Chi-won composed the <智證和尙碑銘>, several Korean writers during the Koryŏ and Chosŏn Dynasties produced poems with the BaiLiang style. In China, the stanzaic poems were continuously produced collaboratively by Emperors and their subjects from the time of the Wu Emperor's reign to the Qing dynasty. On the contrary, the BaiLiang style by individual poets was more significant in Korean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