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유니버설디자인의 관점에서 본 적정포장에 관한 연구 -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의 규제사항을 중심으로 -

        송채원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1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환경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2005년 3월 서울에서 개최된 ‘UN아시아 태평양 환경과 개발장관 회의'에서 처음 등장한 ’녹색성장‘이라는 새로운 성장 패러다임이 2008년 8월 15일 정부가 내세운 미래 60년의 국가비전, ‘저탄소 녹색성장' 정책 발표로 인해 환경 친화를 기반으로 한 미래 세대를 위한 경제, 사회 성장을 이루어 가고자 노력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의 문제를 인식하고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적정포장에 대한 문제를 짚어보고, 그에 대한 대안을 찾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미국의 북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유니버설 디자인 센터의 소장인 로닐드메이스가 주장한대로‘극단적으로 유니버설 디자인이란, 모든 사람에게 최대한 사용 가능한 제품이나 건물,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라고 정의한 것에서부터 출발한다. 장애인에서 그치지 않고 모든 사람을 위한 환경적 문제, 그 중 포장에 관한 문제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적정포장 위반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모든 사람을 위하여 장벽이 없고, 사용하기 쉬우며 모두를 포괄하는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을 가지고, 정부의 지속적인 규제와 환경 친화적인 제품에 대한 자발적인 소비, 환경오염을 최소화하는 포장개발에 대한 책임의식을 가지고 함께 노력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조형의 기호학적 상징체계 연구

        송채원,전양덕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오늘날 정보기반의 사회는 다양한 소통의 방식이 새롭게 나타나고 있다. SNS(Social Network Service)나 스마트폰의 사용이 급증하면서 디자인에서의 커뮤니케이션 방식도 확장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조형이 가지고 있는 상징적 의미체계를 기호학의 측면에서 다루었다. 여기에서 논의하는 조형은 디자인의 구체적인 형태, 혹은 형상을 위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호학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조형적 디자인의 기호생산과정을 알아보고, 조형적 디자인이 상징하는 의미를 실제 사례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디자인 개발 방법에서 조형의 상징체계를 적용하고, 인접학문을 통해 디자인의 개발 시점에서 제품 대한 평가 및 검증을 가능하게 하는 연구가 지속되기를 기대한다.

      • 도시디자인의 공공 거버넌스 적용에 관한 연구

        송채원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17 No.1

        본 연구는 도시공공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정책설정의 주체인 정부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 시민사회가 정책목표의 설정에서부터 집행, 평가의 모든 과정에 함께 투입되어 개발하였을 때 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우선, 도시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도시가 연속성을 가지고 도시를 이루는 도시인과 함께 호흡하며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공공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의 이해를 통해 공공 거버넌스가 탄생한 맥락과 도시공공디자인 개발의 과정에서 효과적인 결과 도출을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세계적인 도시디자인 사례를 통해 도시디자인, 혹은 도시 만들기의 정책 운영에 있어 도시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도시 사용자(시민)와 민간부문, 그리고 정부가 함께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정책에 참여할 때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전혀 다른 입장과 상황에 처해있는 도시 사용자(시민)와 민간부문, 그리고 정부가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시스템 속에서 자발적인 활동의 필요와 어쩔 수 없는 긴장감에 대하여 관용과 협력의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 도시디자인의 공공 거버넌스 적용에 관한 연구

        송채원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4 정보디자인학연구 Vol.22 No.-

        본 연구는 도시공공디자인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정책설정의 주체인 정부기관 뿐만 아니라 민간부문, 시민사회가 정책목표의 설정에서부터 집행, 평가의 모든 과정에 함께 투입되어 개발하였을 때 더 효율적이고 적극적인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음을 살펴보았다. 우선, 도시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통해 도시가 연속성을 가지고 도시를 이루는 도시인과 함께 호흡하며 역사를 만들어 가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공공 거버넌스에 대한 이론적인 개념의 이해를 통해 공공 거버넌스가 탄생한 맥락과 도시공공디자인 개발의 과정에서 효과적인 결과 도출을 도모할 수 있는 시스템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세계적인 도시디자인 사례를 통해 도시디자인, 혹은 도시 만들기의 정책 운영에 있어 도시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도시 사용자(시민)와 민간부문, 그리고 정부가 함께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여 정책에 참여할 때 좋은 결과를 만들어 낼 수 있었다. 그러나 전혀 다른 입장과 상황에 처해있는 도시 사용자(시민)와 민간부문, 그리고 정부가 협조적인 관계를 유지하는 시스템 속에서 자발적인 활동의 필요와 어쩔 수 없는 긴장감에 대하여 관용과 협력의 분위기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velop the city in the course of public policy settings, as well as the subject of government agencies the private sector, civil society is set up from the enforcement of the policy objectives, with the whole process of evaluation has been put into developing more efficient and aggressive when results can derive investigated. First, I figured out city can create city’s history through general discussion with citizens. Second, I found that the concept of public governance is very effective on the developing of public city design. I also found that citizen, specialist and the government can have good collaborative relationship in participating in the policy through urban design cases. But, We need continuous effort to keep good colla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citizen, specialist, and government in different aspect of position and situation.

      • 비즈니스 활성화를 위한 서비스디자인 사례 연구

        송채원,나성숙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한국 경제는 제조업을 중심으로 성장했지만 현재 서비스 산업은 우리나라 경제의 60%, 고용 비중은 70%에 이를 정도로 우리 경제를 지탱하는 핵심 축이다. 현 정부의 신성장동력분야 17개 가운데 8개가 서비스 관련 산업일 정도로 서비스 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집중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 정부의 핵심과제이다. 분야를 막론하고 기업은 경쟁력향상과 이미지 제고를 위해 서비스 중심으로 산업의 양상이 바뀌고 있다. 이렇듯 최근 세계의 경제는 서비스 산업이 주도적이 되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다니엘 핑크(Daniel Pink)는 산업의 진화 단계에서 21세기는 정보화 시대에서 개념과 감성이 강조되는 하이컨셉의 시대에 접어들었다.고 했다. 사회변혁과 혁명을 겪으며 함께 진화되어 왔던 디자인이 시대 요구에 따라 영역과 범위가 확대되면서 개념과 역할 또한 확장됨에 따라 비가시적인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개념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서비스디자인은 현재까지 명확한 학술적 정의가 내려지지 않았지만 산업화로 인한 물질의 시대에서 감성의 시대로 패러다임이 전환되면서 ‘서비스디자인’이라는 개념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흔히들 ‘디자인’이라는 단어를 특정 제품이나 결과물의 스타일과 외관의 의미로 사용하지만 사실 디자인의 뜻은 그것을 휠씬 넘어선다. 특히 서비스디자인은 결과보다 그 과정에 주목한다. 또한 서비스디자인의 결과물은 다소 추상적인 조직구조나 생산과정, 서비스 경험 같은 것에서 구체적인 제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디자인이 출현하게 된 계기와 현장 동향을 살펴보고, 디자인 전문가들이 어떠한 방식으로 서비스디자인을 구현하고 있는가를 사례연구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기업경영자 및 실무자에게 서비스디자인이 비즈니스를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실제적인 개념을 갖도록 도움을 주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장애인이 포함된 광고는 더 멋질까: 포용적 마케팅의 브랜드 멋짐 효과

        송채원,송수진 한국마케팅학회 2023 마케팅연구 Vol.38 No.2

        Inclusive marketing, which recognizes and embraces the presence of social minoritie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re is a small body of research that focuses primarily on multi-ethnic, gender, and plus-size models. Research on consumer attitudes toward inclusive marketing centered on people with disabilities is scarce. Based on the brand coolness literature, we hypothesized that inclusive marketing that includes people with disabilities will generate higher brand coolness. We examined whether consumers’ perceived brand coolness varies with inclusive marketing and whether this effect is moderated by individual self-esteem, a known factor affecting the inclusiveness. In Experiment 1, we used a fictitious brand to test the brand coolness effect of inclusive marketing. High self-esteem individuals perceived brands utilizing inclusive marketing to be cooler than low selfesteem individuals. Experiment 2 examined whether the brand coolness effect of inclusive marketing varied by brand status, comparing a high-priced brand to a low-priced brand. Participants who have high self-esteem rated inclusive marketing for the low-priced brand as cooler than non-inclusive marketing. However, the difference in brand coolness by self-esteem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the inclusive marketing of the high-priced brand. This study explored consumer attitudes toward disability inclusion that have not been fully explored in the literature, focusing on the brand coolness, an emerging brand attribute.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inclusive marketing exhibit warmth characteristics. By confirming the brand coolness effect of inclusive marketing, this study suggests that consumer perceptions of inclusive marketing may extend beyond just warmth. Furthermore, disability, conceptualized as physical diversity, may not typically be thought of as highly correlated with attractiveness in society. However, the findings of this paper suggest that consumers may perceive brands that are inclusive of physical disabilities as being cooler. 사회적 소수자를 포용하는 포용적 마케팅의 중요성이 심화되고 있다. 주로 다인종, 성별, 플러스 사이즈 모델을중심으로 한 선행연구가 소수 존재한다. 신체적 다양성에 해당하는 장애인, 비장애인으로 구성된 포용적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 태도 연구는 희박하다. 이에 본 연구는 주제의 중요성과 희소성을 고려하여, 장애인과 비장애인으로 구성된 포용적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들의 태도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포용적 마케팅에 따라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브랜드 멋짐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이 효과가 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알려진 개인의자아존중감에 따라 조절되는지 살펴보았다. 가상 브랜드를 활용한 실험 1에서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은 낮은 집단보다 포용적 마케팅을 실행한 브랜드가더 멋지다고 인식하였다. 실험 2는 브랜드 위상에 따라 포용적 마케팅의 브랜드 멋짐 효과가 달라지는지 살펴보고자 실존하는 고가와 저가 브랜드를 비교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고가와 저가 브랜드 모두 비포용적 마케팅보다 포용적 마케팅에 대해 더 높은 브랜드 멋짐과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저가 브랜드의 포용적 마케팅에 대해서는 자아존중감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더 멋지다고 평가했다. 반면, 고가 브랜드의 포용적 마케팅에 대해서는 자아존중감에 따른 브랜드 멋짐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다양한 포용적 마케팅 중 선행 연구에서 잘 다뤄지지 않은 장애인 포용 마케팅과 새롭게 대두되는브랜드 특성인 브랜드 멋짐 효과에 주목하여 탐색하였다. 선행연구들은 포용적 마케팅을 기업의 따뜻함 특성으로제한해 탐구해 왔다. 본 연구는 포용적 마케팅의 브랜드 멋짐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포용적 마케팅에 대한 소비자인식이 단순히 따뜻함을 넘어서 확장될 수 있음을 제시한다. 또한, 신체적 다양성으로 개념화되는 장애는 일반적으로 사회에서 매력과 관련이 높다고 생각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본 논문의 연구 결과는 신체적 장애를 포용한 브랜드에 대해 소비자들이 되려 멋지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시각적 감성표현의 커뮤니케이션 특성 연구

        송채원,나성숙 한국정보디자인학회 2012 정보디자인학연구 Vol. No.

        21세기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가상의 공간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쉽고 빠른 소통이 가능하게 되었다. 급변하는 네트워크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법은 이전에 없었던 21세기적 상형언어를 만들어 냈는데 시각적 표현 방법의 하나인 이모티콘이다. 디지털 환경에서 쉽고 빠른 감성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네티즌의 욕구가 만들어 낸 이모티콘은 통신기술의 발전과 SNS의 확산 등으로 젊은 층을 중심으로 급속도로 퍼져나가고 있으며, 새로운 형식의 이모티콘들이 끊임없이 생겨나고 있다. 면대면(face to face)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문자의 비동시성 커뮤니케이션은 감정 전달에 불리한 특성이 있다. 이러한 감성적 기능의 상실은 비주얼적인 측면에서 어느 정도 회복이 가능한 이모티콘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감성 전달의 기호로서 이모티콘은 디지털 환경에서 문자의 감성적 기호작용의 형식으로 나타남으로써 문자 커뮤니케이션의 시각적 감성 전달로의 접근이 가능하게 해 주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환경에서 시각적 감성 표현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감성을 표현하는 시각기호로서 이모티콘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 KCI등재후보

        상징적 기호로서 형태이미지 연구

        송채원(Song, Chae Won)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1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9 No.-

        인간의 커뮤니케이션 과정은 문자 및 언어, 이미지 혹은 동작을 통한 기호에 의존한다. 이러한 기호는 내용과 의미에 대한 표상(表象)이다. 기호는 정보 전달의 편의성을 위하여 의식적으로 고안되고, 정보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전달되어지도록 만들어졌다. 상징은 기호학에서 볼 때, 기호의 하위개념에 속하나 기호는 인위적인 규칙으로서 어휘나 문법이 정확하게 작용하는데 반하여 상징은 제도적인 조건을 넘어서 인간의 내면적이고 심리적인 측면과 관련된 형이상학적 의미를 지닌다. 때문에 상징은 시대와 문화를 넘어서 국제적인 소통을 구성할 수 있는 체계로 나타난다. 디자인의 조형방법은 인간의 생활에서 야기되는 문제를 발견하여 계획적이고 화학적인 과정을 거치는 구체적인 형태를 동반한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결국 디자이너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고방법을 통하여 물(物)의 형(形)을 창출하고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형태의 구체화가 그것의 정신과 내용을 상징하고 있는 바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작업이라는 전제하에 상징적인 형태가 정보 전달과정 속에서 의미를 가지고 구체화 되는 것에 대한 연구이다. 여기서 상징은 물(物)을 형태(形態)화 하는 과정에서의 내용(정신)을 의미하는 것이며, 형태라는 것은 디자인 개발 과정에서 하나의 단위로서의 형(形)으로부터 전체구조에 관여하게 되는 기능적 의미의 형태에 이르는 포괄적인 개념을 말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제품의 형태를 개발하는 데 있어 상징에 대한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제품용기 형태의 상징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의 토대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으로는 2011년 국제향수협회 FiFi Awards 수상작1) 중에 여성용 향수 용기를 선정하였는데, 그 이유는 향수는 용기 형태를 개발하는 단계에서 작업성과 생산성, 유통과 원가구조 등을 이유로 획일화, 단순화되는 현상이 최대한 배제되고, 고가의 고급스런 이미지를 만들어 내기 위하여 디자이너의 심미성, 독창성이 적극 반영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전체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2장에서는 상징 및 형태에 관한 일반적인 고찰을 하였다. 3장에서는 형태가 가지는 기호학적 인상을 설명하기 위해 상징과 기호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형태가 가지는 상징적인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향수 용기의 상징적인 형태 이미지의 사례를 제시하고, 설문조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결론에서는 향수 용기 형태에 있어 상징적인 특성의 표현효과와 활용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제품의 형태가 가지는 상징의 표현이 효과적인 조형언어로서 훌륭한 커뮤니케이션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Communication process of human character and language, through images or symbols is dependent on the behavior. These symbols are meaningful only for the information and representations is Informational signs consciously designed to convenience. How to design a human life resulting from plastic found the problem to go through the planning proces and chemical form accompanied by concrete proposals for solutions that can be seen that. After the designer through the water, invisible ways of thinking of the shape and will generate. This study is embodied in the form of information, it symbolizes the spirit of the bar under the premise that the task of specifically expressed in symbolic form in the information transfer process that has implications for the research is to refine. This symbol of goods and forms Tues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mental), and that means that, in such a thing as a single unit in the development of design foam from the functional meaning of the entire structure will be involved leading to the form of a generic concept says. Through this research are to develop the type of product to the use of symbols to be characterized by the symbolic attributes of product containers for the study of forms of research that is intended to lay the groundwork. Research in 2011 as the destination of the International Women"s Fragrances Association FiFi Awards Winners were chosen containers, that"s why the form of container operations and productivity in the development stage, for reasons of logistics and cost structure and simplify as much as possible the phenomenon and expensive to produce luxury image of the designer aesthetics, creativity can be reflected, because active. This study consists of all four chapters. Chapter 1 describes the background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Chapter 2 in the form of a symbol, and was a general discussion on. Chapter 3 forms an impressive thing to describe semiotic symbols and examined for signs. Chapter 4 forms with the iconic fragrance in order to determine the nature of courage to present examples of images in symbolic form, and were verified through a survey. Conclusion In the perfume container forms a symbolic attribute representation of the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plan for the suggestions were, this process through the product in the form of a kind of symbolic representation of the effective modeling language as an excellent means of communication can be seen that could b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