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PCSI) 모형을 기반으로 하는연구관리 전문기관 서비스 만족도에 관한 연구

        송창현,고수민,송민주 한국혁신학회 2024 한국혁신학회지 Vol.19 No.2

        중앙행정기관을 대신하여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를 대행하고 있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역할이 갈수록 중요해짐에 따라 이들이 제공하는 서비스의 개선과 효율화 요구도 커지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는 2022년부터 국가연구개발혁신법에 근거하여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고객을 대상으로 서비스 만족도 조사를 시행하고 있고, 설문 항목에는 공공기관 고객만족지수(PCSI)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관리 전문기관 고유의 특성이 반영되었다. 본 연구는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이 PCSI 모형에 적합하게 설계되었는지, 그리고 모형의 가정처럼 선행요인과 만족 수준, 기관성과 사이의 인과관계가 성립하는지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설문 응답 자료는 2023년 연구관리 전문기관 서비스 만족도 조사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고객 유형은 연구자와 외부 기획·평가·성과관리 전문가의 두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7점 척도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모형(SEM)을 이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경로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에는 오픈소스 통계분석 소프트웨어인 R의 lavaan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자와 전문가 그룹 모두에서 ‘서비스 비교·평가’와 ‘사회적 책임’은 만족 수준에, 만족 수준은 기관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서비스 품질’이 만족 수준에 미치는 영향은 일관되지 않았으며, 특히 전문가 그룹에서는 유의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PCSI 모형을 기반으로 연구관리 전문기관의 연구관리 기능에 초점을 맞춰 설계된 서비스 만족도 조사가 적합하게 설계되었음을 확인함과 동시에 요인 간 인과관계도 부분적으로 성립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PCSI 모형을 활용하여 새로운 만족도 조사 설문을 설계하고자 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As the role of R&D funding agencies, which manage national R&D projects on behalf of government department, becomes increasingly important, there is a growing need to improve the services they provide. The Ministry of Science and ICT has been conducting a survey for clients of R&D funding agencies based on the National Research and Development Innovation Act since 2022. The survey items are based on the Public-service Customer Satisfaction Index (PCSI) model and reflect the features of R&D funding agencies. This study aims to verify whether the survey is successfully designed according to the PCSI model and whether there is a causal relationship between antecedents (‘service quality’, ‘social responsibility’, ‘service comparison & evaluation’), satisfaction level and institutional performance as assumed in the model. Survey responses from 2023 survey are utilized and the type of clien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researchers and external experts in the field of planning, evaluation, and performance management. A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a seven-point Likert scale are used,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path analysis are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lavaan package of R, an open-source statistical analysis software are used for the entir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service comparison & evaluation’ and ‘social responsibility’ positively influenced satisfaction level, and satisfaction level also positively influenced institutional performance in both researchers and experts groups. However, the effect of ‘service quality’ on satisfaction level is inconsistent and not significant especially in the expert group. This study confirms the appropriateness of survey based on the PCSI model, and partially confirm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be helpful in designing additional surveys utilizing the PCSI model in the future.

      • KCI등재

        쿰란『회중 규칙서』의 종교 사상과 역사적 중요성

        송창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5 가톨릭신학 Vol.0 No.26

        The purpose of this artcle is to explore the Rule of the Congretation(1QSa) at Qumran. According to the paleographic and epigraphic analysis, this writing is preserved only as an appendix copied by the same copyist on the same scroll after the Rule of the Community(1QS), and followed by the Rule of Blessing(1QSb). The manuscript dates from approximately 100-75 B.C.E. from the Hasmonean period. While there are numerous copies of the Rule of the Community, there is only one fragmentary copy of 1QSa. The Rule of the Congregation was composed in Hebrew by members of the Qumran Community. The Rule of the Congregation is entitled “The rule for the whole congregation of Israel in the latter days”(I 1). It is written for the messianic age itself rather than the time that will precede it. It demonstrates clearly an essential context of Qumran theology. The Essenes, especially those who lived at Qumran, believed they were living at the end of days, and while the Messiah had not yet come, the Community was already experiencing the messianic age. The Essenes were an eschatological movement, living in the end of days, the period just before the cataclysmic end to history. The Essenes saw themselves as a priestly community. The noteworthy feature of 1QSa is the list of those whom the community excluded from its assembly, that is, from the community of the last days. The final section of the Rule of the Congregation(1QSa II 11-22) deals with precedence at meetings and at the common meal in the messianic age. It describes the messianic banquet in which as in the communal meals of the community(1QS VI 3-5) in the present, premessianic era, the priest is to recite the blessing over the bread and then the wine, and receive the first portion of bread. Then the Messiah of Israel is to receive his portion, and then all those in attendance in the order of their status in the Community. The importance of the common meal for the Essenes is also beyond dispute. It was a familiar feature of the Essene life long before the discovery of the Dead Sea Scrolls, since both Philo and Josephus draw attention to it. The Rule of the Congregation has been discussed extensively in an effort to find an early parallel to the Last Supper and the Christian Eucharist. The discussion has centered on the fact that here, as in the early Christian community, the focus of the meal is on bread and wine, and that it is clearly an eschatological experience. Table-fellowship was an important expression of the teaching and practice of Jesus and the Qumran community. Contrary to the exclusion of the Qumranites, Jesus' table-fellowship was notable for its acceptance of the sinner and tax collector. According to Puech, the solar calendar explains the time-frame of Jesus' last supper in the Essenes' quarter of Jerusalem, the unique mention of the bread and the cup of wine in this meal, typical of Essenes' meals(1QSa II). If Jesus followed a luni-solar calendar, his last supper could not have been the Passover meal of that year. He was crucified the Friday before the Passover that year. This difficulty in the gospels has been solved with the help of the scrolls. Through this study, we were able to witness the religious thought of the Rule of the Congregation and its historical significance for the study of Second Temple Judaism, Historical Jesus and Early Christianity. 본 논문의 목적은 쿰란의『회중 규칙서』(1QSa)에 대한 고찰이다. 고문 서학과 금석학적 분석에 따르면, 이 문헌은『축복 규칙서』(1QSb)와 함께『공동체 규칙서』(1QS)의 부록으로서 동일한 필사자에 의해 동일한 두루마리에 필사되어 보존되어 있다. 사본은 하스모네아 필체로 기원전 100-75년경으로 연대 추정된다.『공동체 규칙서』의 필사본은 여럿이지만, 1QSa의 필사본은 하나의 단편만이 있다. 이 문헌은 쿰란 공동체의 구성원들에 의해 히브리어로 저작되었다.『회중 규칙서』이라는 명칭은 “이것은 마지막 날에 이스라엘의 모든 회중을 위한 규칙서이다.”(I 1)에서 기원한다. 이 문헌은 메시아 시대에 앞선 시기가 아니라 메시아 시대를 위해 쓰여졌다. 이 사본은 쿰란 신학의 본질적인 맥락을 분명히 드러낸다. 특히 쿰란에서 생활했던 에세네파는 마지막날을 살고 있다고 믿었다. 비록 메시아가 아직 도래하지 않았지만, 공동체는 이미 메시아 시대를 경험하고 있었다. 에세네파는 역사의 대격변의 종말 직전의 시기인 마지막 날을 살았던 종말론적 운동이었다. 에세네파는 자신을 사제적 공동체로 보았다. 1QSa의 주목할 만한 특징은 마지막 날의 회중, 곧 공동체가 배제하는 이들의 목록이다. 그리고『회중 규칙서』의 마지막 부분(1QSa II 11-22)은 메시아 시대의 모임과 공동 식사를 다룬다. 이것은 메시아 이전 시기인 현재에 쿰란 공동체의 공동식사(1QS VI 3-5)에서처럼, 사제가 빵과 포도주에 축복하고 빵의 첫 번째 몫을 가진다. 그리고 이스라엘의 메시아가 그의 몫을 가지고 공동체의 모든 이들이 각자 자신의 지위에 따라 참여한다. 에세네파에게 있어 공동식사의 중요성은 더 이상 논쟁의 대상이 아니다. 이것은 사해 두루마리가 발견되기 오래전에 필로와 요세푸스가 보도한 에세네파의 친숙한 특징이었다.『회중 규칙서』는 예수의 최후 만찬과 그리스도교 성찬례와의 공통점을 찾기 위해 토론되어 왔다. 이 토론은 초대 그리스도교 공동체에서처럼 식사의 초점이 빵과 포도주라는 사실과 종말론적 체험이라는 것에 집중되었다. 식탁 친교는 예수와 쿰란 공동체의 가르침과 실천에서 중요한 표현이었다. 그런데 쿰란 사람들의 배제와는 반대로, 예수의 식탁 친교는 죄인과 세리를 받아들였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퓌에쉬에 의하면, 태양력은 예루살렘 에세네파 구역에서 거행된 예수의 최후 만찬이 가지는 시간적 배경, 에세네파 식사(1QSa II)에서 전형적인 빵과 포도주에 대한 언급을 설명한다. 만일 예수가 태음태양력을 따랐다면, 그의 최후 만찬은 그해 파스카 식사일 수는 없었다. 그는 파스카 이전의 금요일에 십자가형을 당했다. 복음서들 안에서의 이 문제는 쿰란 사본의 도움으로 해결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우리는『회중 규칙서』의 종교 사상과 그것이 가지는 제2성전 유다이즘, 역사적 예수, 초대 그리스도교 연구를 위한 역사적 중요성을 증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수도권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지역 간 유출입 네트워크 및 영향 요인

        송창현,김주영,임업 한국지역학회 2022 지역연구 Vol.3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을 분석의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여 2010년부터 2019년까지의 신성장산업의 창업 사업체 및 종사자 이전 패턴을 탐색적으로 분석하고,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을 밝히는 데에 있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전국사업체조사」원자료를 이용했으며, 신성장산업 사업체 및 종사자 수 유입 및 유출 자료를 바탕으로 시군구 수준 공간 자료를 구축했다. 분석을 위해 지역별 유출 유입에 대한 연결정도 중심성을 산출했으며, 음이항 회귀모형을 응용해 신성장산업의 유입 및 유출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수준 요인에 대한 실증 분석을 수행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신성장산업 제조업 부문은 경기 남부 지역을 중심으로, 신성장산업 서비스업 부문은 강남 및 구로-금천구 일대를 중심으로 활발한 입지 이전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지역 수준 요인들이 신성장산업 창업 사업체의 유입 및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업종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신성장산업에 대한 공간 이전 패턴을 파악하고, 영향 요인을 밝혀내기 위해 실증 분석을 수행함으로써 신성장산업 유치를 통해 지역 경제의 경쟁력 향상을 달성하고자 하는 지역산업정책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했

      • 쿰란 사본과 정경의 문제

        송창현 한국신학정보연구원 2007 Canon&Culture Vol.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ontribution of the Qumran manuscripts to the problem of Canon formation in the Second Temple period. Was there any concept about standard version of the Scriptures in that period? Do the Qumran manuscripts open any new perspective concering the problem of canon formation? All books of the Hebrew Scriptures have been found in Qumran with only the exception of Esther. It is not an accident but rather the result of intentional rejection by the Community that this book has not been found. Through the comparison of Qumran manuscripts against the masoretic text, the samaritan text and the Septuagint, It was found that in the Qumran Community there were no canon and no closed list of authoritative books. Nevertheless it is possible to make some suggestions about some criteria for deciding whether a certain work was acknowledged as Scripture by the Qumran Community: quantity of manuscripts preserved, pesharim, translation into Greek or Aramaic, books quoted as authorities. Qumran manuscripts thus contribute to our knowledge about the scriptures in the period of early Judaism. Inside of the Community, 1 Enoch and Jubilees were accepted as having authoritative status as sacred scripture. This fact proves that the canon was in the making. The significance and value of the Qumran manuscripts in studying not only the problem of Old Testament canon but also the history of Bible text formation, are displayed well in such context. 이 연구는 제 2차 성전 시대의 정경 문제에 대한 쿰란 사본의 공헌을 고찰하는 것이다. 당시 유다이즘 안에는 성서 정경의 개념이 존재했는가? 표준이 되는 성서 목록이 존재했는가? 정경의 문제에 대하여 쿰란 사본은 우리에게 어떤 새로운 전망을 제시하는가? 쿰란에서는 에스델서를 제외한 구약성서의 전체 사본들이 발견되었다. 에스델서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우연이라기 보다는 쿰란 공동체의 고의적 배척의 결과일 것이다. 쿰란의 성서 사본을 마소라 본문, 사마리아 오경, 칠십인 역 등의 본문 전승과 비교 분석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하였다. 즉, 쿰란에서는 “원 마소라 본문”, “원 사마리아 본문”, 칠십인 역의 대본 본문 전승, 쿰란 공동체의 고유 전승 그리고 중립적인 전승 등이 함께 발견되었다. 그리고 우리는 쿰란 공동체 안에서는 확정된 구약성서의 정경 목록이 존재하지 않았다는 사실도 발견하였다. 오히려 우리는 쿰란 공동체 안에서 권위 있는 책들로 인정되었던 문헌들을 찾기 위한 기준들을 살펴보았다. 그 기준들은 사본의 양과 대중성, 특정한 책들에 대한 주해서, 번역의 기준, 공동체의 사본들 안에서의 인용 등이다. 이러한 기준들에 의해 우리는 쿰란 공동체에서 권위 있는 책으로서 정경적 지위를 가지고 있던 책들을 살펴 보았다. 이 문헌들 중에서 향후 구약성서의 정경 목록에 포함되지 않은 것은 에녹 1서와 희년서이다. 이러한 사실은 쿰란 공동체에서의 권위와 정경의 문제는 완결된 문제가 아니라 과정 중의 문제였다는 것을 입증한다. 여기서 구약성서의 정경 문제 뿐 아니라 성서 본문의 형성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 쿰란 사본이 가지는 중요성과 가치가 잘 드러나고 있다.

      • KCI등재후보

        알라스칸 말라무트에서 staple 다량 이식례

        송창현,배재성,양정훈,이문학,진희경,엄기동,장광호 한국임상수의학회 2004 한국임상수의학회지 Vol.21 No.3

        A 5-month old female Alaskan Malamute was referred to Veterinary Teaching Hospital, College of Veterinary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because of accidental ingestion of a box of staples. Clinical signs included anorexia, hematemesis, panting and depression. An aggregation of staples of 5 cm in diameter in the stomach, 4 pieces of staple in the small intestine and approximately 20 pieces in the rectum were identified in radiographic examination. A mass of staples in the stomach was removed surgically and some staples in the intestine passed without impediment through the gastrointestinal tract.

      • KCI등재

        Effect of Inclusion of Lacquer (Rhus verniciflua Stokes) Meal on Carcass Traits and Meat Quality in Growing-finishing Pigs

        송창현,Prashant Shinde,권일경,강선문,이성기,채병조,김진수,김영우,김광현 한국축산식품학회 2010 한국축산식품학회지 Vol.30 No.4

        In this study, pigs [n=117; (Landrace × Yorkshire) × Duroc; 64±0.5 kg initial body weight]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feeding different levels of lacquer (Rhus verniciflua Stokes) meal on performance, carcass traits and quality of meat kept under refrigeration at 3±1oC. The pigs were randomly allotted to 3 treatments on the basis of body weight and sex and each treatment was replicated 3 times (13 pigs in each replicate). Lacquer meal in sawdust form obtained from the stem bark and heartwood of sun-dried lacquer trees was added to the grower and finisher diets at 0, 20 and 40 g/kg diet. The experimental diets were fed for 8 wk. Inclusion of lacquer meal had no influence (p>0.05) on growth performance of pigs. Improvement in carcass traits and decreased back fat thickness were noticed in pigs fed diets added with 20 and 40 g/kg lacquer meal. Longissimus muscle obtained from pigs fed lacquer meal had higher moisture and lower fat content,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and water holding capacity. Meat from lacquer fed pigs was also darker and redder. The data indicates that lacquer meal can be incorporated up to 40 g/kg in the diet of fattening pigs without affecting growth performance. Also, lacquer meal increases carcass lean content and improves the oxidative stability of the meat.

      • KCI등재후보

        예수와 요세푸스

        송창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08 가톨릭신학 Vol.0 No.13

        Flavius Josephus was a jewish historian of the first century AD. In his works, he mentioned Jesus, John the Baptist, James who were the important persons of the Early Christianity and New Testament. He wrote about Jesus in Jewish Antiquities 20. 200-201 on James' execution and especially in Jewish Antiquities 18. 63-64, known as the Testimonium Flavianum. That means the witness of Josephus on Jesus. Since the sixteenth century, the authenticity of this testimony has been suspected by the scholars. It concerned whether this testimony was a genuine work of Josephus or an interpolation of the later Christian writer. Some writers wanted to reconstruct the original text of Josephus. In this study, we examined critically various views of the scholars and tried to discern the authenticity of the testimony through the methodological analysis on the text and the context. Above all, we analyzed the received text and the other various manuscripts. Then we found the claims that the testimony is totally a work of Josphus and that it is totally an interpolation of the later Christian hand have no reason. We found also the hypothesis that at first Josephus wrote antipathically about Jesus and that some positive or neutral alterations was made by a Christian interpolator not has been accepted. We criticized the essay to doscover the original text in the aramaic text of Agapius or the slavonic version of Jewish War. In consequence, we pointed the fact that the testimony was essentially the work of Josephus and tried the reconstruction of the original text. So, we concluded that two interpolations was made by a later Christian hand. These two passages are “if indeed one ought to call him a man” and “On the third day he appeared to them restored to life, for the prophets of God had prophesied these and countless other marvellous things about him”. The testimony of Josephus about Jesus and the Christians is consistent with the other ancient authors, Suetonius and Tacitus. Thus, Testimonium Flavianum has the significance and value as non Christian source for the research on historical Jesus. 플라비우스 요세푸스는 기원후 1세기의 유다인 역사가이다. 그는 여러 저서에서 초대 그리스도교와 신약 성서의 중요한 인물인 예수, 세례자 요한, 그리고 야고보를 언급한다. 그는 유대 고대사 20권 200-201에서 야고보의 처형에 관하여 서술하면서 예수에 대하여 언급하고, 특히 18권 63-64에서 예수에 대해 기록하는데, 이것을 “플라비우스의 증언”이라고 부른다. 즉 예수에 대한 요세푸스의 증언이다. 그런데 16세기 이후부터 이 “증언”의 진정성에 대한 논란이 계속 되었다. 즉 “증언”이 요세푸스의 순수한 작품인지 아니면 후대 그리스도인의 가필에 의한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었다. 그리고 요세푸스의 원문을 재구성하려는 다양한 시도도 있었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요세푸스의 “증언”에 대한 학자들의 다양한 주장들을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본문과 전후 문맥을 방법론적으로 분석하여 “증언”의 진위 여부를 가려내려고 시도하였다. 우선 “증언”의 공인본과 다양한 증거들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우리는 “증언”이 전적으로 요세푸스의 것이라는 주장과 전적으로 후대의 그리스도인이 가필한 것이라는 주장은 타당성이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요세푸스는 예수의 대하여 본래 적대적으로 기록하였는데, 후대의 그리스도인 편집자가 그것을 긍정적으로 혹은 중립적으로 수정하였다는 가설도 가능성이 없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시에 우리는 아가피우스의 아랍어 본문이나 유다 전쟁사의 슬라브어 본문에서 “증언”의 원문을 찾으려는 시도도 비판하였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로, 우리는 “증언”이 본질적으로 요세푸스의 작품이라는 사실을 발견하였고, “증언”의 원문을 재구성하려 시도하였다. 그래서 후대의 그리스도인 필사자에 의해 요세푸스의 원문에 두 곳의 첨가가 이루어졌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이 두 곳은 “굳이 그를 사람이라고 불러야 한다면 말이다”와 “사흗날 그는 다시 살아서 그들에게 나타났다. 왜냐하면 하느님의 예언자들이 이 일들과 그에 대해 헤아릴 수 없는 엄청난 일들을 말하였기 때문이다”인 것으로 드러났다. 예수와 그리스도인들에 대한 요세푸스의 “증언”은 다른 고대 저술가들인 수에토니우스와 타치투스의 기록과 일치한다. 따라서 요세푸스의 “증언”은 비 그리스도교적 사료의 하나로서 역사적 예수 연구를 위한 중요성과 가치를 가진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