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hanges in Goal and Reward Structures in Organizations since the Financial Crisis in South Korea

        송찬후(Chanhoo Song) 한국인사조직학회 2011 인사조직연구 Vol.19 No.2

        급속한 산업화와 함께 경이로운 경제성장을 이룩한 한국은 1997년 일부 아시아 국가에 닥친 경제위기로 인하여 급격한 사회, 경제적 변화를 겪었다. 경제위기 이후 많은 조직들은 경제위기 이전의 연공서열에 의한 월급여와 성과와 무관하게 미리 설정된 일정 수준의 상여급이 주를 이루던 연공서열 중심의 보상제도를 개인 및 집단의 성과와 연동된 연봉제로 전환하고 개인 및 집단 수준의 목표를 설정하고 관리해 나가는 목표관리제(MBO)를 도입했다. 개인의 성과와 연동된 연봉제와 개인 수준의 성과목표를 관리하는 목표관리제는 조직 내 구성원간 경쟁적인 사회관계를 촉진한다고 할 수 있지만, 집단 성과에 기반한 연봉제와 집단 수준의 목표관리제는 협동적인 사회행동을 증진하기 위한 제도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조직들이 구성원들의 사회가치지향, 보상제도 및 목표제도 간의 일치성을 고려한 제도변화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연구는 국내 IT산업에 종사하는 37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사회가치지향과 그들이 속한 조직의 보상 및 목표제도간의 일치성이 조직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조사를 실시했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응답자의 사회가치지향(Pro-social, Pro-self), 응답자가 속한 조직의 보상제도(개인성과기반, 집단성과기반, 개인과 집단성과 혼합, 연공서열), 응답자가 속한 조직의 목표제도(개인목표, 집단목표, 개인과 집단목표 혼합)와 응답자가 소속 조직의 평가제도에 가지는 태도를 측정했다. 분석에 포함된 총 376명의 응답자 중 조직의 보상과 목표제도가 서로 일치성을 보인다고 응답한 응답자는 226명이고, 그 중 69명은 개인성과에 기반한 보상제도와 개인수준의 성과목표가 주어지는 조직에 근무했으며, 77명은 집단성과에 기반한 보상제도와 집단수준의 성과목표가 주어지는 조직에 근무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80명은 보상이 개인과 집단성과 모두에 기반하고 있으며 성과목표도 개인과 집단 수준이 함께 주어진다는 응답을 했고, 150명은 보상과 목표제도가 서로 일치성을 보이지 않는다고 응답했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조직들이 보상제도와 목표제도의 일치성(60.11%)을 보였으나 약 40%의 응답자는 보상제도와 목표제도가 일치하지 않는 조직에 속해 있었다. 가설 1을 검증하기 위하여 성별, 나이, 소속 조직의 사업영역, 수행 업무 종류를 통제변인으로 포함하고 보상과 목표제도의 일치성 여부를 더미변수로 변환한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보상과 목표제도의 일치성은 응답자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보상과 목표제도가 일치성을 보이는 조직의 평가제도에 대한 태도가 그렇지 않은 조직에 비하여 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해 응답자들의 사회가치지향이 측정되고 138명이 Pro-social로 분류되고 238명은 Pro-self로 분류되었다. Pro-social은 자신과 타인의 공동의 이익을 최대화하거나 자신의 이익/손실과 무관하게 타인의 이익만을 최대화하려는 가치지향을 보이는 사람들이고 Pro-self는 타인과 비교한 자신의 이익을 최대화하거나 타인의 이익/손실과 무관하게 자신의 이익만을 최대화하려는 가치지향성을 보이는 사람들을 포함한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하여 응답자의 사회가치지향과 소속조직의 보상 및 목표제도가 일치하는 집단과 사회가치지향과 소속조직의 보상 및 목표제도가 일치하지 않는 집단을 비교했다. 검증결과 자신의 사회가치지향과 맞으면서 일치하는 보상/목표제도에 속한 구성원은 자신의 사회가치지향과 맞지 않으면서 보상/목표제도간의 일치성은 유지하는 평가제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하지만, 사회가치지향(Pro-social, Pro-self)과 보상-목표제도 일치성(개인보상-개인목표 일치, 집단보상-집단목표 일치, 혼합보상-혼합목표 일치, 보상-목표제도 불일치)간의 상호작용효과의 검증은 흥미로운 결과를 보였다. Pro-social응답자와 Pro-self응답자간의 차이는 혼합보상-혼합목표로 일치하는 집단이 가장 컸으며, Pro-social응답자(M=4.74)들이 Pro-self응답자(M ̄ =3.98)보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한편, Pro-self응답자들은 개인보상-개인목표로 일치하는 조직에 대한 선호를 보이는 반면, Pro-social응답자들은 집단보상-집단목표 일치, 혼합보상-혼합목표 일치, 보상-목표 불일치 조직 모두의 경우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Pro-self응답자들보 다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IT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인터넷설문을 통한 실증연구로 다수의 한계점을 갖지만 시사하는 바 또한 크다. Rather limit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extended on the issue of congruence even after dramatic changes in reward and goal structures in South Korea after the economic crisis in 1997. Three hundred seventy-six workers in the Koreann IT industry participated in an Internet survey on their attitudes towards organization performance systems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Two hundred twenty-six workers identified their organizations’ goal-reward structures as congruent, while 150 indicated otherwise. Analysis of the survey results indicated that an individual working for an organization with 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s tends to perceive the organization’s performance system more favorably than those working for one with an in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 However, a test of interaction effects between goal-reward structure congruence and social value orientation showed that pro-social participants and pro-self participants with a fit 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 did not show different level of attitudes toward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system in comparison to those with an unfit congruent goal-reward structure. Meanwhile, the overall interaction effects showed that pro-social participants tended to favor congruent mixed goal-reward structures while pro-selves did not. In comparison, pro-selves perceived their organization system more positively than pro-social participants in congruent individual goal-reward structur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organizations in South Korea did go through a great deal of changes in their goal and reward structures but some organizations might have ignored the importance of congruence among their organizational systems and their members’ social value orientations. More attention is called for in developing an organization’s performance system to maintain congruence between goal and reward structures.

      • KCI등재
      • 산업간 CSR 차이에 관한 분석 : 경제정의지수(KEJI)를 중심으로

        최석웅,송찬후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2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2 No.2

        경제정의연구소에서 발표한 2011년 경제정의지수(KEJI)를 활용하여 CSR이 산업간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한다. 경제정의지수는 총 200개의 기업을 식약/섬유/종이업, 금속/비금속/화학업, 전기전자/기계업, 비제조/서비스업, 4개의 산업군으로 나눴지만 본 연구는 4개의 산업군으로는 산업 간 분류가 모호하기 때문에 Kisvalue에서 제공하는 산업분류로 산업을 재분류했다. 재분류한 결과 4개의 산업군은 19개 산업으로 분류되는데 그 중 표본의 크기를 고려하여 표본이 많은 상위 5개 산업(표본 수 18개 이상) 만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같은 환경 내의 조직들은 비슷한 구조나 제도들을 사용하고 서로 동형화(isomorphism)되는 경향이 있다는 제도이론에 따르면 같은 산업 내 기업들의 CSR은 유사한 형태를 띨 것으로 예상했다. 이를 실증하기 위해 ANOVA를 사용하여 산업간 CSR의 차이가 유의함을 밝혔다. 특히 건전성과 공정성, 총점을 제외한 사회봉사기여도, 소비자보호만족도, 환경보호만족도, 종업원만족도, 경제발전기여도에서 산업간 차이가 뚜렷하다는 결과를 얻었다. 사후분석(Scheffe 검증)결과, 각각의 산업이 다른 산업에 비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CSR의 차원이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예를 들면, 전기전자산업이 다른 나머지 산업들에 비해서 높은 소비자보호만족도를 보였으며 서비스산업이 전기전자나 화학 등에 비해 높은 경제발전기여도를 보이는 등의 결과를 얻었다.

      • 연구개발팀의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진용,송찬후 한국기술혁신학회 2014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4 No.10

        최근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주목을 받고 있으나 팀 다양성이 팀 창의성으로 발현되는 과정과 팀 다양성의 조건 하에서 팀 창의성이 촉진되는 조건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뤄졌다. 국내 24개의 연구개발팀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팀 다양성, 특히 정보다양성이 팀 창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증명하였다. 또한, 팀 구성원간 갈등은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유의한 매개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변혁적 리더십은 정보다양성과 직무 갈등 사이에서 부(-)의 조절효과를 보였다. 예컨대, 변혁적 리더십이 강하면 정보다양성이 높은 팀일수록 직무 갈등이 낮게 나타났다. 저자는 팀 다양성과 창의성 사이에서 갈등의 조절효과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특히 동양권 국가에서 보다 면밀한 측정 방법이 요구되며 팀 다양성이 주는 가치(value in diversity)를 높일 수 있는 잠재적 매개변수의 탐색이 필요하다고 제안하였다.

      • 기업의 범죄행위와 이미지 전략에 관한 고찰

        최석웅,송찬후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3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3 No.1

        최근에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 기업의 범죄행위에 대한 일련의 사건들로 기업범죄행위 대한 관심이 실로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기업의 범죄행위는 해당 기업의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에게 실망을 안기고 또한 그들의 이미지에도 타격을 준다. 따라서 우리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입장에서 범죄 행위를 저지른 기업들이 그 범죄행위로 인한 이미지의 타격을 만회하기 위한 전략적 변화를 추구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우리는 한국 내 2001-2006년까지 언론에 공개된 기업의 범죄행위 사건들(총 125개)을 모아서 범죄행위를 저지른 기업과 그렇지 않은 기업들의 이미지 전략이 차이가 있는지를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범죄를 저지른 기업들의 이미지 전략 변화가 그렇지 않은 기업들에 비해 뚜렷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범죄 행위가 전략적 변화를 주게 하는 의미 있는 사건으로 분류된다는 점과 범죄 행위를 한 기업들이 이미지 변신을 위해서 노력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 KCI등재

        RFID 확산에 따른 정보보호 문제와 기업의 대응전략

        김성철,양동훈,송찬후,전형순 정보통신정책학회 2005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2 No.1

        RFID는 차세대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중요한 기술적, 산업적인 위치를 차지할 것으로 주목받고 있는데 향후 다양한 분야에서 새로운 시장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는 RFID 확산으로 인해 야기되는 정보보호 이슈들에 대응하기 위한 기업차원의 주요전략에 대해 고찰한다. 우선 RFID의 개요와 RFID관련 정보보호 문제들을 개관한 후 주요 선진국의 법제도적인 그리고 기술적인 차원에서의 대응을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RFID를 공급하는 기업의 입장에서, RFID를 적용하는 수요기업의 입장에서 그리고 정부 입장에서의 전략적인 대응방안을 도출한다.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s a form of next-generation barcode has received a great deal of attention in the commercial world over the couple of years. In spite of the promise of enhanced efficiency and accuracy, RFID raises privacy and information security issues. This paper examines privacy and information security issues and describes current legal actions and technical solutions. In addition, this paper suggests that RFID vendors, users and government need to develop careful strategies coping with RFID security challenges to enjoy the magic of RFID.

      • KCI등재후보

        국내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 : 비교 사례 연구

        조항정(Hangjung Zo),송찬후(Chanhoo Song),강현구(HyunGoo, Kang),임동원(DongWon Lim) 한국기술혁신학회 2009 기술혁신학회지 Vol.12 No.2

        IT 거버넌스(Governance)는 IT 관련 의사결정에 있어서 기업 내부 주체들의 권한과 책임, 의사결정 조직 체계와 프로세스, 의사소통 방법, 의사결정 실현 체계, 조정과 통제, 그리고 의사결정에 대한 사후 평가 등을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IT가 기업 경영의 필수 인프라로 인식되고, 경쟁력 제고의 핵심 역량으로 자리잡으면서 IT 거버넌스의 중요성은 점차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주요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를 분석하였다. 국내 대기업 4개사들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바탕으로, 이들 기업들이 어떤 조직 체계와 의사결정 과정, 의사소통 체계, 그리고 성과 측정 방법 등을 가지고 IT 관련 의사결정을 하는지를 살펴보았다. 국내 대기업들은 IT 서비스를 전문적으로 제공하는 IT 서비스 계열사를 두고 IT 기능을 아웃소싱하고 있었으며, IT 관련 최종 의사결정은 IT 전문 조직이 아닌 비즈니스를 담당하고 있는 경영자들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대기업들의 IT 서비스에 대한 계약과 성과 측정은 서비스 수준 협약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제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프로젝트 관리 방법론과 균형 성과 기록표 등을 널리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는 국내 대기업 내의 IT 서비스 전문 기업들의 미래 역할 정립과 정부 기관이나 공기업들의 IT 거버넌스 체계 확립에 있어서 벤치마킹 근거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국내 대기업들의 IT 거버넌스 체계의 효율성 등을 측정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다. This study explores the IT governance structures of the Korean conglomerates. It investigates IT organization structures, decision making frameworks and processes, communication channels, implementation mechanisms, and performance evaluation methods around IT activities of the Korean conglomerates by analyzing four different cases. The results show that all of the conglomerates have an IT service firms as one of their subsidiaries, and all the subsidiaries in the conglomerates outsource their IT divisions to the IT service firms. The client firms in the conglomerates operate IT strategy and planning teams to coordinate their IT activities with their outsourcing partners. The IT governance archetype of the Korean conglomerates is found to be “business monarchy” because the client firms mostly make IT decisions. However, the IT service firms provide the information of IT trends and solutions to their clients, so the IT governance archetype of input framework for IT decisions can be “IT monarchy”. In addition, the conglomerate which has the more centralized IT governance architecture appears to prefer the more integrated implementation mechanisms for IT deci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a benchmarking model for the organizations which try to develop an effective IT governance struc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