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단어 빈도와 음절 이웃 크기가 한국어 명사의 음성 분절에 미치는 영향

        송진영,남기춘,구민모 한국음성학회 2012 말소리와 음성과학 Vol.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a segmentation unit for a Korean noun is a 'syllable' and whether the process of segmenting spoken words occurs at the lexical level. A syllable monitoring task was administered which required participants to detect an auditorily presented target from visually presented words. In Experiment 1,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of high frequency words which can be segmented into both CV-CVC and CVC-VC were controlled. The syllable effect and the neighborhood density effect were significant, and the syllable effect emerg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yllable neighborhood density. Similar results were obtained in Experiment 2 where low frequency words were used. The significance of word frequency effect on syllable effect was also examined. The results of Experiments 1 and 2 indicated that the segmentation unit for a Korean noun is indeed a 'syllable', and this process can occur at the lexical level.

      • KCI등재후보

        명청세정소설적정현성묘사연구(明淸世情小說的呈現性描寫硏究)

        송진영 중국어문학회 2000 中國語文學誌 Vol.8 No.-

        中國通俗小說史에서 世情小說의 出現은 中國小說의 題材상의 變化를 일으켰을 뿐 아니라 또한 일상생활의 세밀한 묘사를 가능하게 만들었다. 이전의 歷史演義나 英雄傳奇가 초현실적 인물을 중심으로 다루며 일상의 생활모습을 묘사하지 않았던 것과 달리 보통사람의 일상을 다루는 세정소설은 현실을 핍진하게 또는 세밀하게 묘사해 내고 있다. 이러한 세밀한 묘사는 세정소설의 특징 중의 하나가 되는데,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진다. 환경, 인물, 인물의 용모나 복식과 같이 靜적인 대상을 요약 ·묘사하는 '靜態的 描寫'와 살아 움직이는 장면을 보여주는 '呈現性描寫'라고 구분할 수 있겠다. 본고는 이 가운에서 후자인 생동적 장면묘사가 세정소설에서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묘사는 대개 등장인물간의 생동적인 對話, 婚禮나 喪禮와 같은 大型場面, 日常生活의 자질구레한 小事와 등장인물에 대한 심리묘사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세정소설은 등장인물의 신분과 제재에 합당한 언어를 구사하고 단순한 3인칭 全知的 作家의 視點뿐 아니라 인물의 시점을 채용하며, 인물의 성격과 심리를 묘사하는데 주변환경까지도 고려하는 등, 이전의 소설에 비해 서사방식이 한층 더 발전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중국 청두(成都)지역의 천부(天府)문화에 대한 고찰

        송진영 水原大學校 2020 論文集 Vol.34 No.-

        Tianfu(天府) culture refers to a unique local culture that has developed around the Chengdu(成都) area, the capital of Sichuan Province in China. It inherits the ancient Shu(蜀) civilization that originated in this region. Chengdu is considered as the rural city that enjoys art culture comfortably and leisurely, with its slow and simple life for modern Chinese seeking to find room for life amid rapid economic growth and fierce competition. It's the most non-exclusive city for outsiders, thus it has recently come under renewed attention. This paper attempt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Chengdu which are due to its unique cultures of the region as openness, magnanimity, sanguinity and progressive spirit. To this end, we examined the natural geographical elements and historical background that direc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Tianfu culture, and based on this, we considered its in-depth cultural significance through Dujiangyan(都江堰), Dufucatang(杜甫 草堂) and Chaguan(茶館), where Chengdu culture and its core spirit are symbolically condensed.

      • KCI등재
      • KCI등재

        明淸世情小說所反映的欲望世界與欲望的不同解決方式

        송진영 중국어문학회 2006 中國語文學誌 Vol.21 No.-

        명중엽이래 생산력의 발전, 상품경제의 발달, 陽明心學의 등장은 사회 각 계층의 생활방식과 문화창조에 막대한 영향을 미쳤고, 명대 사회 전반에 걸친 세속화, 통속화경향을 낳았다. 명중엽이후 가장 성행했던 소설 중의 하나인 世情小說은, 일상생활을 배경으로 평범한 남녀의 결혼과 애정생활을 다루고 있기에 이 시기 사회에 풍미했던 각종 욕망이 잘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명청대 통속문화의 한 장르인 세정소설의 극중인물에 반영된 욕망세계를 분석하는 것은 명청대 중국사회와 당시 사람들의 생활과 문화를 이해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것이다. 세정소설에는 人慾에 대한 대담한 추구와 긍정적 사고, 자유로운 개성의 추구경향이 잘 반영되어 있으며, 자유로운 혼인에 대한 청춘남녀의 갈망이 비중있게 묘사되어 있다는 점에서도 주목할만하다. 이때, 명청세정소설 작중인물의 욕망들은 결말부분에서 어떠한 방식으로든 해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왜냐하면 결말이란 작가가 작중인물의 갈등을 해결하고 자신의 주제의식을 드러내며 지금까지 진행해왔던 이야기를 예술적으로 통합해야 하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 과정에서 결말의 형식과 내용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욕망에 대한 작가의 인식태도이다. 세정소설의 결말은 작품에서 거론된 욕망을 어떻게 해결하느냐에 따라 서로 다른 해결 방식을 보이고 있다. 크게 구분하자면, 욕망 자체는 부정하지 않으나 절제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色空結末과 욕망의 추구를 긍정하며 성취하는 大團圓結末로 나뉘어진다. 색공결말은 주인공의 깨달음이 이루어지는지 아닌지에 따라 다시 3종으로 분류할 수 있으나 현실에서의 욕망추구가 부질없다는 주제의식을 드러낸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작가가 냉혹한 현실을 직시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대단원결말은 오히려 현실 속에서 이룰 수 없는 희망을 작품 속에서 실현하는 이상주의적 방식으로 욕망을 해결하고 있다는 점에서 색공구조와 비교된다. 그리고 바로 이러한 까닭에 대단원결말은 현실을 미화하고 왜곡시켰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기도 하다.

      • KCI등재

        우울이 배우자폭력에 미치는 영향:문제음주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송진영,심정수 한국보건사회학회 2014 보건과 사회과학 Vol.0 No.3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problemdrink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spouse abuse by separatingman and woman. For this study, data were drawn from the 8th wave panel dataprovided at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and Seoul NationalUniversity. It included 4,166 persons of 30 years or more man or woman. Toanalyze the data, SPSS 20.0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 (1) Depression of men andwomen were positively influenced on spouse abuse. (2) Depression of men wereinfluenced on problem drinking, but in case of women were not influenced onproblem drinking. (3) Problem drinking of men mediated between depressionand spouse abuse. On the other side, problem drinking women didn't mediatebetween depression and spouse abuse. Based on the results, some implicationswere discussed to reduce spouse abuse for men through problem drinking'sreduction. 본 연구는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우울과 배우자폭력의 영향관계에서 문제음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서울대학교에서 구축한 제8차 한국복지패널(Korea Welfare Panel) 조사자료 중 30세 이상의 남녀 4,166명을 대상으로 SPSS 20.0을 이용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남성과 여성 모두에서 우울은 배우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남성의 우울은 문제음주에 영향을 미치지만, 여성의 우울은 문제음주에 영향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남성의 문제음주는 우울과 배우자폭력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반면, 여성의 문제음주는 우울과 배우자폭력을 매개하지 않는 것을 확인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남성의 우울로 인해 배우자에게 폭력을 행사할 수 있는 상황에서 문제음주의 낮춤을 통해 배우자폭력을 낮출 수 있는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탈북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적응 의미 연구

        송진영,배미경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12

        This study was performed to obtain an in-depth understanding about their experiences by finding the meaning of adaptation that the north korean teenagers in south korea recognize. For this, a series of in-depth interviews was done with 9 north korean teenagers who had stayed at least 1 year in south korea and take an active part in this study. This study adopted a phenomenological analysi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he colaizzi’s 6 stages. So we find 62 significant statements and 26 themes. These 26 themes were also categorized 6 clusters of themes such as leaving north korea, many different feelings in new land,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accustom to new surroundings career and academic stress, conditions that I have chosen. So, through these 6 clusters of themes, the meaning of adaptation that the north korean teenagers recognize is that they keep on with choosing their conditions that can satisfy their needs although they troubled in every part of life such as psychological part, verbal part, living environmental part, school life part. According to this, if we will develop policy and service programs which can increase the more adaptation of the north korean teenagers and it will be a good plan to influence on the adaptation of all the north korean defectors as well as the north korean teenagers. So, in this study, trying to find the meaning of adaptation that the north korean teenagers recognize is worthwhile. 본 연구는 탈북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적응의 의미를 알아봄으로써 이들의 경험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지고자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북한을 이탈하여 한국사회에 적응 경험이 1년 이상이며 이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가지고 연구에 적극적으로 동참하기로 동의한 부산에 있는 탈북청소년 9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참여자의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사용하였고 그 중에서도 콜라지의 6단계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62개의 의미 있는 진술들을 찾아내었고 비슷한 내용의 의미 있는 진술들끼리 분류하여 26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연구자들은 범주화된 의미 있는 진술들에 대해 재진술 과정을 통하여 그 의미를 대표할 수 있는 6가지 주제묶음을 ‘북한을 떠남’, ‘낯선 땅에서 겪게 되는 다양한 감정’, ‘의사소통의 어려움’,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짐’, ‘진로 및 학업 스트레스’, ‘내가 선택한 환경’으로 알아냈다. 6가지 주제묶음을 통하여 탈북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적응의 의미는 북한을 떠나 낯선 땅에서 심리, 언어, 생활환경, 학교생활 등의 측면에서 여러 가지 어려움을 겪게 되지만 그 속에서도 자신들의 욕구에 맞게 환경을 선택하며 나아가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탈북청소년들의 더 나은 적응을 위한 정책이나 서비스 개발이 이루어진다면 이는 탈북청소년 뿐만 아니라 결국에는 북한이탈주민 전체의 적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탈북청소년들이 인지하는 적응의 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SCOPUSKCI등재

        최근 10년간 신생아 심도자술의 변화

        송진영,이성규,이재영,김수진,심우섭,Song, Jinyoung,Lee, Sungkyu,Lee, Jaeyoung,Kim, Sujin,Shim, Wooseup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5

        목 적: 최근 이면성 심초음파와 도플러의 발달로 선천성 심장병의 진단에 심도자 및 조영술이 차지하는 비중이 감소하였으나 심도자술의 장비 발달로 인해 치료적 의미의 중재술은 그 수를 더해가고 있으며 이는 신생아에게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의 경험을 관찰하였다. 방 법 : 1991년부터 2000년까지 세종병원에서 시행한 심도자 및 조영술 환자들 중 30일 이하의 신생아 139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기록지를 고찰하였다. 이들의 심도자를 시행한 목적에 따라 진단적 심도자술과 중재적 심도자술로 나누고 당시의 연령과 체중 그리고 진단을 조사하였으며 시술로 인한 합병증과 사망을 조사하였다. 중재적 심도자술인 경우 그 성공 여부를 시술 후의 결과로 관찰하였다. 결 과 : 139명 신생아들의 성별은 남아 92명, 여아 47명이었고 이들의 시술 당시 연령은 $14.9{\pm}8.9$일이고 체중은 $3.3{\pm}0.5kg$(2.6-5.0 kg)이었다. 최근 10년간의 신생아 심도자술은 점차로 증가하는 추세로 특별히 신생아 중재적 시술이 뚜렷이 증가하여 전체 신생아 심도자술의 89.5%이었다. 이들의 진단을 살펴보면 완전 대혈관전위(D-TGA)가 49명으로 제일 많았고 그 다음이 pulmonary atresia with intact ventricular septum(PAIVS)로 26명, 폐동맥판막 협착(valvar PS) 14명, 양대혈관 우실기시(DORV) 14명 그리고 pulmonary atresia with ventricular septal defect(PAVSD)가 11명의 순서였다. 심도자술을 위한 처치로 전신마취를 한 경우가 전체의 65%로 단순 수면진정 보다 많이 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도자술의 목적은 중재적 시술을 목적으로 한 경우가 전체의 74%에 달해 진단적인 목적보다는 많은 것으로 관찰되었다. 중재적 시술은 풍선 심방중격 절제술 48례, 풍선폐동맥 판막 확장술 16례 그리고 경도관 폐동맥 판막천공술이 25례에서 시행되었다. 심도자술로 인한 합병증은 중재적 시술에서 더 높지는 않았고(P=0.489) 사망률 역시 중재적 심도자술에서 의미있게 높지는 않았다(P=0.934). 신생아기에 시행된 중재적 심도자술의 시행 연령은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이 가장 낮은 연령에 시행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의미는 없었다(P=0.061). 방사선 조사시간은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에서 의미있게 길었다(P<0.001). 그러나 신생아기에 시행된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은 성공률이 40.0 %, 합병증이 28%, 심도자술 후 사망률이 12.0%로 나타났다. 결 론: 신생아의 심도자 및 조영술은 심초음파적 진단의 발전으로 선천성 심질환에서 진단적 비중은 줄어들었으나 치료 목적의 중재적 시술이 체중과 관계없이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되고 있으며 경도관 폐동맥 판막 천공술을 제외하면 비교적 좋은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Purpose : The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and angiogram for transcatheter therapy are still essential methods in congenital heart disease, so we reviewed our experience with neonatal cardiac catheterization over 10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 A retrospective review of all 139 neonatal catheterizations from January 1991 to December 2000 at Sejong Heart Institution was performed. The purpose of the catheterizations, ages, body weights and the complications by the exam was surveyed. Results : The mean age of our 139 patients was 14.9 days and the mean body weight was 3.3 kg. As for the diagnosis : TGA in 49 patients, PAIVS in 26 patients, DORV in 14 patients, PS in 14 patients, PAVSD in 11 patients. For the cardiac catheterization, general anesthesia was performed in 65% of total and fluoroscopy time was $20.1{\pm}14.5$ minutes during cardiac catheterization. In the interventional cardiac catheterization which was 75% of the total, the age and body weight were statistically the same but the irradiation time was longer than the diagnostic catheterization( P=0.001). There were 48 cases of atrial septostomy, 16 cases of balloon pulmonary valvuloplasty and 25 cases of transcatheter pulmonary valvotomy. Complications of cardiac catheterization were found in 16.3%, bu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interventional catheterization and diagnostic catheterization. Conclusion : Therapeutic cardiac catheterization in neonates is a relatively safe and effective method in congenital heart disea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