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 간의 관계

        송주빈(Song, Joo Bin),신정택(Shin, Jung Taek) 서원대학교 사범대학 부설 교육연구소 2020 교육발전 Vol.4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행복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지역 중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409명이이고, 측정 도구는 스트레스 검사지, 자아존중감 검사지 및 행복 검사지이며, 내용타당도 검증,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후 사용되었다. 중학생의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및 행복감 간의 인과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배경변인(성별, 학년, 체력급수, 학업능력)에 따른 스트레스, 자아존중감, 행복감 차이를 분석한 결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자아존중감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학생의 자아존중감은 행복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학생의 스트레스는 행복에 경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tress, self-esteem,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09 students attending middle school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measures used in this study were stress inventory, self-esteem scale, and happiness scale, and were used after content validity test,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tress, self-esteem, happi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s. Firth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stress, self-esteem and happiness according to the background variables of middle school students,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interpersonal stress, career stress, academic stress, self-esteem and happiness according to gender and physical strength level.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and self-esteem. In academic ab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stress and self-esteem. Secondly,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 s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self-esteem. Thirdly, it was found that the self-esteem of middle school students had a positive effect on happiness. Fourthly, it was found that middle school student s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happiness. Various discussions were conducted on this research method and results.

      • KCI등재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송주빈(Song, Ju-Been),신정택(Shin, Jung-Taek) 한국웰니스학회 2022 한국웰니스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 참여자는 대학생 54명(남자 25명, 여자 29명)을 대상으로 구성되었다.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선행연구, 전문가 의견, 학생 의견 등을 종합하여 구성되었다. 총 7회기의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 내용은 오리엔테이션, 신체활동+강점파악하기, 신체활동+강점인식/개발하기, 신체활동+감사하기, 신체활동+용서하기, 신체활동+자기개발하기, 신체활동+실천계획수립/종결이다. 본 프로그램은 주 1회 60분씩 약 2개월 간 적용되었으며, 각 회기별로 30분의 신체활동을 시행한 뒤 30분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을 적용시켰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정신건강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신체화, 강박증, 우울, 적대감 및 공포불안 수준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신체활동 기반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대학생의 대인예민증, 불안, 편집증 및 정신증 수준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on the mental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composed by synthesizing previous studies, expert opinions, and student opinions. A total of seven sessions of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included orientation, understanding physical activity + strength, recognizing/developing physical activity + strength, appreciating physical activity + gratitude, forgiving physical activity + self-development, and establishing/closing physical activity + action plan. This program was applied for 60 minutes once a week for about 2 months, and after 30 minutes of physical activity for each session, a 30-minute positive psychology programl was applied. First,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based on physical activity significantly reduced the mental health lev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significantly reduced the level of somatization(SOM), obsessive-compulsive(O-Q), depression(DEP), hostility(HOS), and phobic anxiety(PHOB) of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physical activity-based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found to reduce the level of interpersonal sensitivity(I-S), anxiety(ANX), prnoid ideation(PAR), and psychoticism(PSY) of university students, but i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 KCI등재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스포츠 손상 선수의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

        송주빈 ( JuBeen Song ),노갑택 ( GapTaik Ro ),신정택 ( Jungtaek Shin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21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32 No.3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 심리 프로그램이 스포츠 손상 선수의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 참여자는 최소 8주 이상의 재활 기간이 남아있는 D 대학교 야구팀 손상 선수 14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요구분석 자료, 관련 선행연구 고찰 및 전문가 자문 자료를 통합하여 개발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긍정 심리 프로그램(오리엔테이션, 음미하기, 감사하기, 강점 찾기, 주의집중력, 루틴, 희망 고취하기, 종결)은 주 1-2회, 50∼60분씩 총 8회기로 진행되었다. 측정도구로는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검사지(PANAS), 자아존중감 검사지(RSE), 행복 검사지(Happiness measures), 재활 능력 검사지(RCQ)를 사용하였으며, 프로그램 종결 후 프로그램 평가지를 활용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참여자들의 인식을 측정하였다. 결과: 양적 검증 결과 긍정 심리 프로그램은 스포츠 손상 선수의 긍정 정서, 자아존중감, 행복 및 재활능력 향상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정서 감소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적 검증 결과는 긍정 심리 프로그램 구성의 적합성과 유효성을 지지해주었다. 결론: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긍정 심리 프로그램 개발 및 현장 적용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that was effective for improving the emotion, self-esteem, happiness, and rehabilitation capability of injured athletes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14 injured athletes of the D University baseball team who had at least 8 weeks of rehabilitation remaining. This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developed by integrating needs analysis data using an open-ended questionnaire, reviews of related prior studies, and expert advice.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Orientation, Savoring, Gratitude, Finding Strengths, Gravity of Attention, Routine, Inspiring Hope, and Closing) was conducted for a total of 8 sessions of 50-60 minutes, 1-2 times a week. As measurement tools,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PANAS), Self-Esteem Scale(RSE), Happiness measures, and Rehabilitation Capability Questionnaire(RCQ) were used. After the end of the program, the program evaluation paper was used to in-depth analysi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perception evaluation of the program. Result: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positive emotion, self-esteem, happiness and rehabilitation capability of injured athlet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on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negative reduction. As a result of the qualitative verification, the suitability and validity of the positive psychology program was confirmed. Conclusion: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were discussed in terms of positive psychology program development and field application.

      • 광대역 무선인터넷 시스템의 수동피코셀 접속 구도

        송주빈,김영일,Song Ju Bin,Kim Young-Il 대한전자공학회 2005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42 No.12

        본 논문은 휴대인터넷시스템의 수동피코셀 제안과 엑세스포인트와 수동형 피코셀간의 Radio over Fiber(ROF)접속 구도에 대한 것이다. 휴대인터넷시스템(Wibro)은 시속 60km의 중속도의 이동 단말에 50Mbps의 IP 기반 데이터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초기에 셀의 구축비용을 최소화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수동형 피코셀을 제안하고 이의 접속구도에 대하여 제안한 것이다. 기존의 Fabry-Perot(FP) 레이저를 채용하는 ROF 링크의 특성과 수동형Electro-absorption Modulator(EAM)를 이용한 수동형 피코셀의 특성을 측정하여 Wibro시스템에 이의 접속 가능성을 보이고 수동형피코셀의 RF 커버리지를 해석하여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an interface configuration between the Access Point(AP) of Wibro and Radio Over Fiber(ROF) transceivers for the wireless broadband internet system. The wireless internet could provides 60km/h mobility and 50Mbps IP based data services for each mobile terminal. Thus, low cost of each cell is inevitably required. This paper suggests an interface configuration between AP and Passive Integrated Picocell(PIP) involving ROF links. Characteristics of a typical Fabry-Perot ROF link and a PIP using a passive Electro-Absorption Modulator(EAM) are described and measured for wireless internet applications. In addition, results of RF coverage of a PIP have been shown.

      • KCI등재SCISCIESCOPUS

        CCITT 표준 동기식 NNI의 실현 및 응용

        고제수,송주빈,김재근,Go, Je-Su,Song, Ju-Bin,Kim, Jae-Geun 한국전자통신연구원 1989 전자통신 Vol.11 No.2

        본고에서는 기존 비동기식 디지틀 전송 방식의 제약을 극복할 수 있는 CCITT 표준 동기식 NNI 를 구현하는데 소요되는 중요 기술과 능력에 대해서 실현 전략적인 측면에서 관련 기술분석 및 고려해야할 사항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기식 NNI 적용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한 응용 방안을 망노드 장치의 기능, 망운용/관리, 전송서비스 측면에서 제시하였고, STM 기본 동기식 전송로로부터 ATM 기본 동기식 전송로로의 동기식 NNI 측면의 진화 단계를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