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21세기 러시아 문화정책 차원에서 바라본 메가 스포츠이벤트

        송정수 ( Jung Soo Song )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 비교문화연구 Vol.43 No.-

        현대 러시아의 대내외정책 차원에서 ``소프트 파워`` 전략은 국가정책 실현을 위한 중요한 동인 중 하나로, 새로운 형태와 실현 방식을 모색해 나가면서 더욱 강화되는 추세이다. 이와 관련하여 러시아 정부는 ``소프트 파워``의 적극적 활용에 기대어, 국제무대에서 러시아의 긍정적 이미지 형성과 국가경쟁력 강화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러시아의 문화정책 역시 크게 두 가지 방향을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양상이다.현재 푸틴 대통령을 중심으로 구성된 크렘린 권력 수뇌부는 대내적으로 ‘애국심’, ‘문화적자긍심’을 바탕으로 단합과 단결을 추구하고, 대외적으로는 ‘강한 러시아’의 위상을 회복시킴과 동시에 과거 소비에트와 차별화 된 ‘새로운 러시아’의 이미지를 구축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양상이다. 이 과정에서 러시아는 ‘메가 스포츠이벤트’라는 핫 이슈를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이러한 대내/대외 정책 노선을 더욱 강화시켜 나가고 있다.이에 본 글에서는 러시아 소치 올림픽을 중심으로 메가 스포츠이벤트에 은닉된 정치적 메커니즘을 러시아 대내/대외 문화정책 차원에서 분석해본다. 동시에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 그 이후의 행보를 추적해봄으로써 단기적으로 불가피하게 발생되는 경제적손실을 충분히 보상하고, 국가 브랜딩 기법을 통한 러시아의 국가 이미지 구축 및 전파전략에 상응하며, 동시에 러시아의 대내/대외 문화정책을 만족시키는 훌륭한 ‘소프트파워’의 일환으로서 메가 스포츠이벤트의 주요 기능 및 정치적 차원에서 발휘되는 영향력을 짚어본다.또한 메가 스포츠이벤트 효과에 대한 자국민의 인식을 객관적으로 가늠해보기 위해 2014년 소치 올림픽 대회 전후로 ‘전러시아 여론정보센터(ВЦИОМ)’에서 실시한 다양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 적용해 본다. 동시에 앤홀트의 ‘국가브랜드 지수(NBI)’ 및 영국의‘브랜드 파이낸스(Brand Finance)’에서 실시한 국가 브랜드 평가 지표에 기초하여 메가 스포츠이벤트 개최를 계기로 러시아의 대외 이미지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살펴보고, 실제 크렘린에서 추구하고자 했던 대내외 정책 노선이 현실 차원에서 어느 정도까지 그 성과를 이룩했는지 추적해본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메가 스포츠이벤트가현 러시아 정부의 문화 정책적 관점에서 지니는 의의를 규명하고, 러시아 문화정책 기본 방향에 관한 지형도를 그려보는 동시에, 세계무대에서 러시아의 위상과 국가이미지 개선을 위한 정책 및 전략의 향방을 가늠해 볼 수 있을 것이다. The strategy of "soft power" in the foreign and internal policies of modern Russia is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 the implementation of public policies,and the influence of soft power is increasingly becoming stronger and gaining new forms and methods of implementation.The Russian government exerts efforts to form a positive image of Russia in the international arena,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untry``s competitiveness, based on active use of "soft power."Currently, Russian cultural policy is developing in two main directions. In the internal policy sphere, the Russian government emphasizes national unity and civic solidarity, and fosters a sense of patriotism and national pride. In the sphere of foreign policy, the Russian government is attempting to regain its status as a great power and to create a new image of Russia that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former Soviet Russia.In this article, we examine and analyze various aspects of the hidden political mechanisms involved in mega-sporting events, in particular the Sochi Olympics,from the viewpoint of Russian internal and foreign policy. We address the major functions of mega-sporting events and their influence in the political realm.The political impact of mega-sports projects can even compensate for economic losses incurred during the preparation and hosting of the Olympic games. In this respect, we can define mega-sporting events as one of the main components of soft power; such events reflect the basic directions of internal and foreign policy in post-Soviet Russia, which are to form and promote an image of Russia using national branding.In order to fairly and objectively analyze the recognition and perception held by Russians of the significance of mega-sporting events, in this work, we carefully studied the results of various surveys conducted by the Russian research organizationVCIOM (Russian Public Opinion Research Center) before and after Russia hostedthe Winter Olympic games in Sochi (2014) and the Summer Olympic games in Kazan (2013). Furthermore,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national brands by Simon Anholt (Anholt Nation Brands Index - NBI), and on the basis of the ranking of 100 national brands conducted by the British consulting company "Brand Finance"(Brand Finance Nation Brands 100), we minutely trace the development and qualitative change in Russia``s image and the role of the mega-sporting projects.This article also examines the Kremlin``s internal and foreign policies that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in practical terms.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mega-sporting events from the point of view of cultural policy of the current ruling party of Russia.This standpoint allows us to outline the main directions of Russian cultural policy and to suggest perspectives on the branding strategy of modern Russia, including strategies related to consolidating Russia``s position in the international arena.

      • KCI등재

        생성과 통합의 시학

        송정수(Song, Jung S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11 노어노문학 Vol.23 No.4

        그 동안 문학연구 및 문학사적 논의에서 ‘네오리얼리즘’이라는 용어는 모더니즘 운동에 포함된, 혹은 그로부터 분화된 세부 경향의 일환으로서 간헐적으로만 언급되어 오거나, 혹은 은세기를 풍미했던 ‘시’ 장르에 대한 대척점으로서 ‘산문’ 장르를 부각시키기 위한 용어의 일환으로 조건?선택적으로 사용되곤 해왔다. 네오리얼리즘의 실체에 대한 문제적 의식으로부터 출발한 본 논문은 자먀찐의 ‘종합주의’ 논의 및 상징주의와 아방가르드를 필두로 20세기 초 러시아 문학장 내에서 전개되었던 다양한 예술적 실험과 실재와 관련된 논의를 분석하며, ‘통합과 생성의 시학’으로서 네오리얼리즘을 정의 내릴 수 있는 가능성과 그 근거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엑프라시스(экфрасис)’라는 개념은 20세기 초 예술가들의 의식을 점유했던 장르적 치환과 인접장르 간의 상호소통적 지향성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매우 유용하다. 통합예술의 일환으로서 언어예술을 바라보는 자먀찐의 시각은 ‘하나의 기호체계 언어에서 다른 기호체계의 언어로 번역’으로 정의되는 엑프라시스적 개념과 맞닿아있다. 이러한 엑프라시스적 현상은 20년대에 들어서며 예술 장르 내에서 유효한 특수한 경향의 일환으로 정의될 뿐만 아니라, 삶의 경계를 예술로 끌어들이고, 세태문학과 예술문학 사이에 존재하던 엄격한 경계를 무너뜨리는 동시에, 다양한 서사적 일탈로 점철된 네오리얼리즘 산문의 시학을 구성하는 기반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자먀찐이 주창한 ‘종합주의’는 문학 장르 내에서의 통합뿐만 아니라, 문학과 인접 예술장르와의 교체 및 통합, 더 나아가 세태적 층위와 존재론적 층위, 삶과 예술 간의 접합점을 찾을 것을 제안하는 상징적인 표현이자, 광의의 의미에서 ‘삶의 텍스트’와 ‘예술 텍스트’, 세태적 층위와 존재론적 층위 간의 엑프라시스적 치환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협의의 의미에서 엑프라시스 개념, 즉 시각 텍스트와 언술 텍스트 간의 자유로운 번역가능성은 네오리얼리즘 계열 작가들에게서 관찰되는 ‘바라보는 것’과 ‘바라보는 방식’에 대한 관심, ‘보여주기’에 대한 지향성, 더 나아가 공감각적인 글쓰기의 추동력과 관련지을 수 있으며, ‘청자를 관객으로 만들려는’ 엑프라시스적 속성 역시 ‘말하기’가 아닌 ‘보여주기’를 지향했던 네오리얼리즘 계열 산문작가들의 특성 속에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20년대 산문에서 제시되는 파편적 실재는 재조합되고 통합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파편화 이전의 실재에서 미처 파악되지 않았던 다양한 내적 의미들 및 그 의미적 조합을 통한 새로운 유기적 전체로서의 실재를 파악하도록 해주며 ‘생성’과 ‘통합’의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따라서 네오리얼리즘은 더 이상 20년대 산문영역에 국한되어 조건적으로 적용되는 용어가 아닌, 자먀찐이 언급한 바와 같이, “원을 그리면서 위로 상승해나가는 나선”을 지향하며 발전해가는 ‘상승’의 시학, 현재의 새로움과 또 다른 새로움을 향해 끊임없이 움직여나가는 ‘생성과 통합의 시학’이라는 측면에서 새롭게 조명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 음악산업의 현황과 전망 - 음악 스트리밍 시장을 중심으로 -

        송정수(Song Jung Soo) 한국슬라브유라시아학회 2019 슬라브학보 Vol.34 No.2

        Within the world music market, streaming services are booming and are becoming a trend. As in the global trend, the most rapid growth in the music market in Russia is in the "streaming" category. Analyst firm ‘GlobalWebIndex’ reported in the fourth quarter of 2016 that 62% of the world"s people listen to music through streaming services such as ‘Sporty’ or ‘Apple music’. And about 13% of them are using paid subscription services. In Russia, people who use streaming services for free are increasingly turning to paying subscribers. In 2017, pay-per-view subscribers will increase by 2.6 times in a year and clean up concerns that if a paid subscription is implemented in earnest, most people will not use the service. In 2018, more than 2 million users in Russia have signed up to pay music content services, and this growth is expected to continue steadily, reaching between 10 million and 12 million as early as 2020. In this article, we will examine the status of Russian music industry since 2010. In particular, we will focus on the changes between 2015 and 2017, when streaming services began to develop in earnest. We will also compare the service quality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music streaming companies operating in Russia and analyze how Russians listen to music and their musical preference trends. This will provide the contents and outline of the attention of Korean and foreign companies considering the advancement into the Russian music market in the future. Furthermore,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will try to find the first task and its solu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Russian music streaming market, and we will measure the prospect of the Russian music industry in the future.

      • KCI등재

        자동차 광고텍스트 비교를 통한 러시아-한국 양국 문화코드의 이해

        송정수(Song Jung Soo) 한국노어노문학회 2021 노어노문학 Vol.33 No.2

        현대 사회에서 광고텍스트는 단순히 상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구매욕을 불러일으키기 위한 판매동력 그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광고는 사회적 배경과 시대적 흐름을 적절히 구사하면서 해당 사회 구성원들의 무의식적 공감대를 형성해내는 역할을 수행한다. 동시에 광고는 광고 대상이 되는 “상품과 서비스를 소비자의 요구와 필요성이 담긴 언어로 번역해내려는 모종의 의사소통 형태”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성공적인 광고제작을 위해서는 고객의 필요와 성향, 선호도는 물론 그런 경향의 변화 추이까지도 파악하는 것이 우선되어야만 한다. 또한 광고 클립을 준비하기에 앞서 광고가 타겟으로 정한 고객의 문화적 특성을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만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광고는 특정 집단이 속한 로컬적 특성에 근거하여 제작된 ‘특수한 문화적 텍스트’라고 정의내릴 수 있다. 이에 본 글에서는 광고를 문화텍스트의 일환으로 바라보는 시각에 입각하여, 러시아와 한국에서 제작, 방송되고 있는 ‘한국산’ 자동차 광고의 각기 다른 차별화 전략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또한 한국산 자동차 광고에 삽입된 다양한 상징과 문화코드의 전달방식이 양국 국민의 특성에 따라 어떤 식으로 취사선택되고 있는지를 분석해보고자 한다. 이를 토대로 양국 국민이 선호하는 문화적 코드와 특성, 광고텍스트에 대한 반응 및 수용 방식을 보다 구체적으로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더 나아가 다른 나라 국민을 대상으로 광고를 제작할 때 반드시 고려해야 될 심리적 요소를 비롯하여 이미지 전달 및 수용 방식 등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러시아-한국 양국 국민 간 상호문화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지표를 제시해 줄 것이다. In modern society, advertising texts perform more than a basic role of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about products and as a sales force that arouses purchase desires. Advertisements play a role in forming an unconscious consensus among members of the society by appropriately using the social background and the current trend. At the same time, advertising is also “a form of communication that seeks to translate goods and services into a language that reflects the needs and wants of consumers”.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successful advertisement, it is necessary to first understand the needs, tendencies, and preferences of customers, as well as the changes in those tendencies. In addition, before preparing an advertisement clip, it is necessary to thoroughly understand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audience of the advertisement. Considering these points, the advertisement can be defined as a "special cultural text" created based on the local characteristics to which a specific group belongs. Therefore, in this article, based on the perspective of viewing advertisements as part of a cultural text, we will compare advertisements for "Korean cars’ produced and broadcast in Russia and Korea. In addition, we will analyze how the various symbols and cultural codes inserted in Korean automobile advertisements a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ultural preferences of the people of both countries. Based on this, it will be possible to derive more concretely the cultural codes and characteristics preferred by the peoples of both countries, as well as the ways of responding and accepting advertisement texts. Furthermore,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method of image delivery and acceptance as well as psychological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when producing advertisements for the citizens of other count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important indicators for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mutual culture between the Russian and Korean peoples in the future.

      • KCI등재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에서 종양괴사인자억제제 사용에 대한 고찰

        송정수 ( Jung Soo Song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7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4 No.1

        Advanced knowledges of cellular and molecular biology led to the development of therapies of rheumatoid arthritis (RA). The introduction of biologic agents into clinical practice has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current management of RA. These agents can rapidly enhance functional status and inhibit the progression of joint damage from the disease. Tumor necrosis factor (TNF) inhibitors are the representative biolog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RA. Their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were revealed through many clinical trails. Novel TNF inhibitors and other biolog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RA are developing continuously. Promising biologic agents such as TNF inhibitors have become an important part of treatment armamentarium for RA, although they have some side effects and problems to be solved. These agents may contribute to achieve the sustained remission and eventually cure of RA. Currently available TNF inhibitors in Korea include etanercept, infliximab and adalimumab. This review article introduces past, present, and future of the TNF inhibitors and suggests guidelines for the proper use of them on RA.

      • KCI등재후보

        통풍의 새로운 진단 분류 기준과 치료 지침

        송정수 ( Jung Soo Song ) 대한내과학회 2018 대한내과학회지 Vol.93 No.4

        Gout is a chronic systemic metabolic disease characterized by recurrent attacks of inflammatory arthritis resulting from the precipitation of monosodium urate crystals, which has various clinical and pathological manifestations. The disease is associated with multiple comorbidities, an impaired quality of life, and a heavy economic burden. The incidence and prevalence of gout is increasing in many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as in Korea. Gout is diagnosed by confirming monosodium urate crystals in the synovial fluid or affected tissue. If crystal documentation is unavailable, new gout classification criteria presented by the American College of Rheumatology and European League Against Rheumatism (ACR/EULAR) in 2015 can be applied. There are many guidelines for managing gout published in the United States, Japan, and Europe. However, there are no guidelines for the tailored management of gout for Korean patients. This review describes a new classification for the diagnosis of gout and management guidelines. (Korean J Med 2018;93:344-350)

      • KCI등재

        혈관절증으로 발현된 무릎 관절의 수지상 지방종

        송정수 ( Jung Soo Song ),박보형 ( Bo Hyoung Park ),김은아 ( Eun Ah Kim ),김려섭 ( Ryuh Sup Kim ),박선원 ( Sun Won Park ),박원 ( Won Park ) 대한류마티스학회 2004 대한류마티스학회지 Vol.11 No.2

        This report describes a patient with lipoma arborescens presenting as hemarthrosis of a knee with intraosseous lesions. A 44-year old woman complained of pain and swelling of left knee. Arthrocentesis resulted in bloody e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es showed villous projecting frondlike fatty soft tissue proliferation in the suprapatellar pouch and ovoid intraosseous lesions in proximal tibia. The soft tissue mass was removed through arthroscopic synovectomy and the biopsy of the mass confirmed the diagnosis. The intraosseous lesions were not considered as a cause of hemarthrosis. We failed to find the exact cause of hemarthrosis. The patient remained asymptomatic after removal of the mass for 10 months. As far as we know, this is the first report of hemarthrosis associated with lipoma arborescens in korea.

      • KCI등재

        문화산업으로서 러시아 미술시장의 형성과 발전

        송정수 ( Song Jung Soo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2

        러시아 미술시장은 세계 미술시장을 주도하는 유럽과 미국보다 비교적 늦게 형성되었지만, 그 풍부한 콘텐츠와 잠재적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있다. 21세기에 들어서며 문화를 경제 및 투자의 영역과 결부하려는 관점의 전환이 본격화됐고, 이는 러시아 미술시장에서도 관찰된다. 이에 본 논문은 러시아 미술시장의 기원과 형성, 그리고 그 발전의 역사를 짚어보고, 이를 통해 21세기 새로운 문화산업의 한 분과로서 러시아 미술시장의 발전 가능성을 분석하며 그 미래 가치를 규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고에서는 러시아 미술시장의 기원이 되는 18세기 컬렉션 문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출현하여 현대 미술시장의 원형이 된 갤러리 및 미술품 살롱의 역사, 소비에트 시대의 언더그라운드 미술시장 및 포스트 소비에트 시대에서 현재에 이르는 현대 러시아 미술시장의 형성 역사와 그 계보를 체계적으로 분석, 기술했다. 동시에 각 시기별로 형성된 미술시장의 특징을 분석하여, 러시아 미술시장의 특성과 유럽시장과의 차별화 지점을 규명하였다. 마지막으로 현대 러시아 미술시장의 발전과 가치 상승을 위해 선결되어야 할 과제와 이에 관한 몇 가지 제언을 덧붙였다. 문화 산업적 측면에서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창작 활동의 산물이 아닌, 상품과 유통의 대상으로서 미술작품을 규정하고 미술시장을 분석할 근거를 제시해준다. The Russian art market formed relatively later than its European and United States counterparts that are leading the global art market. The Russian art market is rich in content and potential possibilities; nevertheless, it is undervalued. In the 21st century, there has been a noticeable switch in perspective on art. Based on the abov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origin and formation of the Russian art market and its developmental history, and to analyze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Russian art market as a branch of the new cultural industry in the 21st century, in order to ultimately determine its future value. For this purpose, we systematically analyzed and described the history of the Russian art market. Moreover, we simultaneously analyzed the peculiarities of the Russian art market of each period and its differences from the European art market. Finally, we presented some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the modern Russian art market and for increasing its value. Regarding the culture industry,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vidence and the basis for defining and analyzing artworks as objects of sale and distribution, not products of creative activit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