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무의식의 시선과 주체의 몸 이미지

        송인희(Song, In-hee)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6 스토리&이미지텔링 Vol.11 No.-

        전통 철학에서 시각은 인식의 확실성을 얻기 위한 가장 우월한 수단이었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자인 자크 라캉은 시각은 무의식의 영역으로 오인과 허구의 구조라고 한다. 또 욕망의 작용 속에 출현하는 응시는 인식의 차원을 해체하는 전혀 다른 시선의 문제라고 한다. 헨리 제임스의『여인의 초상』에서 이사벨 아처는 세상의 진리를 알고 확실한 정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끊임없이 보고 싶고, 알고 싶다는 욕망에 사로잡힌다. 그리고 그녀의 이러한 시각에의 매혹은 이에 사로잡혀 조종될 수밖에 없는 주체의 위치를 극명하게 드러낸다. 허구적 이미지로서의 내용을 갖지 못하는 거울단계의 자아는 끝없이 이상화와 결핍 사이에서 고통스럽게 동요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이사벨은 확고한 정체성에 대한 욕망에 사로잡힌다. 그녀가 욕망의 응시 속에 바라보는 대상은 길버트 오스몬드인데 그는 가장 아름답고 고양된 형태의 예술품들의 미학적 형태를 제시하며 그녀에게 세상의 지식과 자아이상으로서 자리 잡게 된다. 그러나 상호 욕망이 교환하는 시각적 장에서 오스몬드의 욕망의 응시에 맞추어 나갈 때 이사벨은 인식할 수도 없이 마치 보이지 않는 손에 의해 조종당하듯 소외와 분열로 이끌리게 된다. 그리고 무의식의 응시와 더불어 분열되는 이사벨의 정체성은 몸 이미지를 통해 극적인 형태로 포착된다. 거울단계의 이사벨은 하늘을 날아오를 듯 가장 자유롭고 이상화된 모습이었지만 그 이후 마치 액자 속 그림처럼 정형화되고 고정된 이미지로 바뀌게 된 것이다. 마침내 이사벨은 죽음에 맞닿은 극단의 고통 속에서 죽어버린 몸 이미지로서 자신을 체험하게 되고 자기 소멸의 상태에 이른다. 그러나 끝없는 응시에의 이끌림에 의해 마침내 유령이라는 실재와 대면하게 되고 이로 인해 타자의 욕망에 좌우되지 않는 실재계의 주체로 자리하게 된다. Isabel Archer in Henry James" The Portrait of a Lady undergoes changes of self-identity and her body image in conjunction with the unconscious vision. Jacques Lacan investigated the subject"s specular identity emphasizing incessant struggle between the eye and the gaze. Henry James also was a writer so much obsessed with the vision. Isabel Archer believes that vision occupies a central place in securing knowledge from the world. Her fascination with vision reflects her weakness in self-identity. Owing to the illusory construct of the image in the mirror, Isabel suffers vacillating between the idealization and the emptiness. Such an anxiety resulting from Isabel"s lack of self identity leads her to attach herself fiercely to Osmond who appears to bear an ideal self. Since Osmond presents her the world of aesthetics and sensibility in the visual art, she is enchanted and quickly captivated with him. After she accepts his desire as her own, she repeatedly re-institutes herself through her gaze in the process of alienation. With such a split and alienation, Isabel undergoes serious changes in her body image and her identity. At last part of the novel, Isabel encounters the gaze of the Real, which enables her to see the ghost as the thing itself. Through this experience Isabel can be a subject in the real not allowing the other"s desire to take precedence over her own.

      • KCI등재

        1609년 『영접도감미면색의궤(迎接都監米麵色儀軌)』의 중국 사신 접대 기명류(器皿類)

        송인희 ( In Hee Song ) 동아대학교 석당전통문화연구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4

        조선시대 중국에서 온 사신을 접대하는 것은 국가의 중요 행사로, 그 준비는 오랜 시간을 두고 각종 의식과 실행에 의견을 조율하며 신중하게 이루어졌다. 특히 17세기 전반에는 사신단이 머무르며 생활하는 동안의 접대 내용을 『영접도감미면색의궤』에 상세히 기술했는데, 필요한 물품에는 음식과 차, 술의 각종 재료를 비롯해서, 향, 약, 횃불과 등불 기름, 땔감과 숯 및 각 방에 배설되는 유기, 사기, 목기, 도기로 만든 다양한 기물들이 포함된다. 각종 기물의 종류와 재질, 수량을 사용자의 지위에 따라 구분한 『미면색의궤』의 기록은 조선시대 왕실에 준하는 고급 공예품 사용의 단면을 드러낼 뿐 아니라 공예품간의 실제적인 위상 및 대체·보완관계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자료이다. 본고는 조선시대 고급 공예품의 제작과 사용 환경을 이해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광해군 1년(1609)의 사신단 접대를 기록한 규장각 소장 『영접도감미면색의궤』의 기물 관련 내용을 정리했다. 다양한 물품들은 크게 접대 준비 과정이나 사신단의 생활에 필요한 기구류와 접대시 사용되는 그릇들인 기명류로 구분되며, 특히 중요 접대 상대인 정사와 부사를 위한 ``주색``과 ``다색``에 여러 종류의 잔이 포함되어 주목된다. 이에 정사와 부사 접대용 주요 기명인 잔에 집중하여 그 구성과 특징을 관련 자료들과의 비교 검토를 통해 구체적으로 추정함으로써 조선시대 공예사 연구에서의 이해 기반을 넓히고자 하였다. This study began as an effort to understand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the high-class craftworks in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items from the Yeongjeop-dogam-mimyeonsaek-uigwe(迎接都監米麵色儀軌) in 1609. It is a record about the items prepared for the envoys and entourage during their stay in the guesthouse of Joseon. From the diplomatic importance, all the occasions and a broad range of supplies were prearranged carefully and the details of the service were compiled as references after they left. The existing records of Yeongjeop-dogam-mimyeonsaek-uigwe cover the reception of Chinese envoys in the early 17th century and the data is worth studying as an example showing the use of craftworks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According to the record, service items included foods, beverages, and supplies such as incense, charcoal, torchlight, medicine, etc. Vessels of brass, iron, ceramic, and wooden ware were also specified with their names, sizes, and materials, which were differentiated by the social status of users. Among the vessels of highest quliaty served to the envoys, the most important items were cups for wine and tea. They appeared with specific names indicating forms and materials but detailed research has yet to be done. By analyzing the record and related resources, this study examined the details of preparation for the items, especially vessels used to serve the envoys and entourage in the guesthouse. Comparisons with other pictorial evidences provided keys to embody the forms of cups that remained uncertain in the record only with their names, which makes it helpful to understand a part of craftworks used in the royal court of Jose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충동과 이야기의 쾌락

        송인희(Song, In-hee)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4 스토리&이미지텔링 Vol.8 No.-

        이야기는 사람들에게 재미와 즐거움 흥미와 쾌감을 준다. 다른 글의 형태보다 이야기라는 형식이 되었을 때 훨씬 더 강렬한 관심과 몰입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 이유는 충동이라는 인간만의 독특한 특질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충동이라는 힘이 이야기의 작업 과정에 개입하면서 이야기에 독특한 매혹적인 특질들을 부여한다. 충동의 속성은 성적(erotic)이며 끊임없이 쾌락에 의해 추동된다. 그리고 충동이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지점이 바로 완벽한 쾌락에의 표상인 모성적 몸과의 하나 됨의 상태이다. 한 때는 나의 몸이었던 그러나 지금은 근원적 상실로만 남아있는 어떤 결핍이 끊임없이 그 상실을 메우려는 시도를 반복하게 만든다. 충동이 자신의 잃어버린 몸을 되찾듯 어떤 대상에 나르시시즘적 리비도를 투사해서 자신의 일부로 만들려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도들이 재현의 행위이고 재현의 한 형식인 이야기도 이렇게 충동의 개입으로 생산된다. 그리고 한 개인의 이야기, 구체적이고 살아있는 한 인간이 이야기의 대상이 될 때 이야기의 생산자나 수용자의 나르시시즘적 리비도의 투사는 훨씬 더 강렬하게 이루어지고 이에 따라 보다 강력한 몰입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충동이 자신의 만족을 위해 나르시시즘적 리비도를 투사하지만 이러한 리비도의 발달 양태는 단계마다 달라지고 이에 따라 이야기의 형태도 달라진다. 이야기의 초기단계에서 리비도가 자신에게만 집중되어 나르시시즘적 자기애에 빠져있게 되면 자기중심적이고 제멋대로이며 허황하고 과대망상증적인 특성이 나타나게 된다. 언어의 세계에 진입하게 되면 자아리비도 집중에서 대상리비도 집중으로 바뀌게 되고 이에따라 이야기도 타자에 대한 관심, 타자의 논리에 갇히게 된다. 마지막 단계에서 충동이 주이상스라는 자신의 고유한 목표로 방해없이 나아가게 되면 가장 고양된 형태의 아름다움이 탄생되며 문학과 예술이라는 미학적 영역으로까지 나아가게 된다. We humans are easily and willingly absorbed and captivated by stories. We have such a fascination for stories. It"s because all the stories are led and created by the drive just like other forms of representation. Drive is in itself erotic. Jacques Lacan explains that our body is distinguishable from other animals‘ owing to the drive. Loss is the indispensable requirement in relation of the drive. The object of the drive is the lost maternal body which was once ourselves but is now an extra bodily alienated otherness. We are driven by special object enticing us from the outside because of the loss with the promise of complete satisfaction. And we project our narcissistic libido on the object and enter the process to represent it. The pleasure of the story results from this attribute of the drive to search for this fulfillment. As regards the differentiation of libido cathexis, stories exhibit each different characteristics. At first libidinal phase, the drive is locked by narcissistic libido. The stories in this phase display the characteristic of magalomania such as overestimation of their power and thought, the omnipotence of dealing with the external world. The storytelling by children and primitive men shows the analogous traits. At the next state, libidinal cathexis of the ego is given up and turns to object cathexis. In this phase, Erotic desire for others constantly manifests the efforts to become larger unities to combine with others and symbolic system. Therefore stories are caught up in the logic of the other and symbolic orders. And at the final developmental phase, the drive proceed to the perfect pleasure, jouissance without any obstacles. The stories in this state show the characteristic of esthetic dimension such as literature or art. The attempt to reveal the jouissance is represented as the sublimated form of beauty.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내 안의 타자, 그 “기괴한 낯설음” 에 대하여 : 히치콕의 〈레베카〉를 중심으로

        송인희(Song, In-hee) 건국대학교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13 스토리&이미지텔링 Vol.5 No.-

        지젝(Slavoje Zizek)을 비롯한 슬로베니아 학파의 히치콕 연구는 근자의 포스트 모던적 기반에서의 새로운 조명 방식으로 조명 받고 있다. 포스트 모더니즘적 접근 방식의 목적은 너무나 익숙한 것들이 갑자기 기괴하고 낯설어지는 효과들로 요약되어 질 수 있다. 그리고 히치콕의 영화는 이러한 방식에서 탁월한 업적을 보여준다 할 수 있다. “나는 타자이다”, 또 “살아있는 사자(living dead)”, 그리고 기묘하게 희열을 물질화시키면서 주체를 교란시키는 “응시와 목소리로서의 대상” 등은 오늘날 대중문화 속 포스트모던한 한 현상으로 진단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모두 포스트 모던적 사물의 귀환과 관련되는데 이 사물은 인간이 언어의 세계에 진입하기 위해 억압한 어머니의 몸과 관련된다. 그리고 이러한 특성들은 너무나 익숙한 것들이 갑자기 기괴하고 낯설어지는 효과들로 요약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레베카는 화면 속 어디에도 등장하지 않는 이미 죽은 인물이지만 분명 드라마의 비가시적 영역에 편재하며 살아있는 인물들보다 더 강한 위력을 떨친다. 살아있는 시체(living dead)로서 이름 없는 여주인공과 맥심(Maxim de Winter), 댄버스 부인(Mrs. Danvers)의 삶을 지배하는 것이다. 그러면서 <레베카> 속 등장인물들은 은폐되어 있던 내 안의 이질적 타자와 위태롭게 대면하게 되고 기이한 방식으로 분열되어 진다. 모더니즘적 해석과 달리 이 영화가 포스트모던적 특성을 지니는 이유가 모두 이러한 일관된 형태로서의 고정된 재현을 불가능하게 만드는 내부에 도사린 ‘사물(Thing)’ 때문이다. 그리고 이 타자로서의 ‘사물’은 상징적 장에서는 은폐된 채 주인공들의 동일성을 위태롭게 잠식해 나간다. According to Zizek, what characterizes postmodern culture is the way to focus on Thing which resists symbolization. Essential character of ‘Thing’ is the maternal body that human subjects must give up in order to enter the symbolic order. Therefore ‘Thing’ constitutes fundamental desire as “return of the repressed”. That’s why Thing unfamiliarizes our symbolic reality. These phenomena in today’s mass culture such as the famous Lacan’s ‘je est un autre’, ‘living dead’ who decenters the subject the object as gaze and voice are all diagnosed as the return of the ‘Thing’. And distinguished Hitchcock films are highly evaluated and praised owing to these uncanny effects. Hitchcock’s movie 〈Rebecca〉 exerts fascination and horror to the audience because of its way to materialize postmodern ‘Thing’. Rebecca, Maxim’s dead wife is ‘iving dead’ because she is in a way more alive than life itself and transgresses the boundary between visible and invisible. Therefore three main characters in this movie (Maxim, heroin who has no name, Mrs. Danvers) are all captivated by her omnipotent gaze and disintegrate their self control and consistency of their identity by confronting their uncanny ‘Thing’ in themselv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