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모던 걸’의 공포와 ‘동지’의 수사학 : 『인간문제』에 나타난 강경애 사회주의 여성의식 재고(再考)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9 여성문학연구 Vol.47 No.-

        The works of Kang Kyeong ae, which were recognized as the best realistic works during the colonized period, female consciousness was approached in terms of realizing the socialist ideology. The existing studied said that the sense of socialisitic woman's liberation was realized well, or that the man oriented-socialist idelogly was accepted without criticism so that a sens of the patriarcal was appeared on the whole, These studies were not different in that they explained consciousness of women with socialist ideology even being different direction of evaluation. They regarded the socialist ideology as a idelology of single content and linked its weak point and its virtue to success and failure of consciousness of women. However that of Kang Kyeong ae’s works was not a single ideology without seam. Rather than, the contradicted difference was structured in socialism. In that, the old fashioned patriarchal view intersected with the ideology of modern class liberation, in the same socialistic area, there was the difference between feminists as well.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heterogeneity and the disparity which was overlooked in the study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Moderngirl discourse. The self-consciousness of New women or Moderngirl discourse that depreciated intellectual women with debauchery, vanity, and empty shells was regarded as the main cause of such oppression and contradiction. As the fear of 'modern girl' became internalized in the intellecture women, it pursued the identity of woman who is opposite to it. It can be seen that the discourse of the Newwomen caused oppressive conflicts and contradictions not only to liberal feminists but also to the socialist women 's consciousness through the discussions of the colonialism as' red romance'. 강경애는 식민지 시기 최고의 사회주의 여성작가로 인정받았고 여성의식 역시 이념적 관점에서 접근되었다. 여성해방의식을 성공적으로 구현했다거나 혹은 사회주의 이념에 구조화된 남성중심성을 수용하였다는 기존 연구의 주장은 평가의 방향은 다르지만, 사회주의라는 단일 이념으로 여성의식을 해명하고 있다는 점에서 다르지 않다. 사회주의를 단일한 내용을 갖는 하나의 이념으로 상정하고 그것의 약점과 미덕을 강경애 여성의식의 성패와 연결시키고 있다. 그러나 강경애 작품을 통해 드러나는 여성의식은 이음새 없는 단일한 이념으로서의 사회주의 여성의식을 보여주지 않는다. 그보다는 오히려 사회주의 안에 모순된 이질성을 구조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근대적인 가부장적 시각과 근대적 계급해방의 이념이 교차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같은 사회주의 진영 안에서도 다른 여성주의자들과의 낙차도 발견된다. 이 글은 그간의 연구에서 간과되었던 이러한 이질성과 차이를 당대 신여성 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점검해보고자 하였다. 방탕과 허영, 그리고 빈껍데기로 지식인 여성을 비하했던 모던걸 담론이 강경애 소설에 가한 억압과 모순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여성의식을 다시 점검하였다. ‘모던 걸’의 공포가 강경애에게 내면화되면서 사회주의 여성의식 안에 남성중심적 시각을 모순적으로 구조화하고 있으며 사회주의 여성활동가들과도 다른 여성의식의 낙차를 보여주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신여성 담론이 자유주의 여성에게만 아니라 사회주의 여성의식에도 모순과 갈등을 야기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여원』 연재소설 연구 - 연애담론의 사회, 문화적 의미를 중심으로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여성문학연구 Vol.19 No.-

        In this study, we tried to know how to structuralize modernistic romantic love in love story of yeowon's serial nove in 1960's in relation to love dicourses. Novel is a representative mode of story representing love affairs, that is can be regarded as a love discourse itself. But novel has the aesthetic reflection that resists against dominating discourses. So we search for the structure of love story in romantic novels in regard of dynamic relationship of dominating discourses focused on change of times. Love discourses in 1960's show conservative discrimination constantly that set woman's sex and social status below man's. A ideology of virginal purity was reproduced, love discourses were placed below the wife's helping dicourse, the subject of emotional sympathy between husband and wife was regarded as minor thing. The problem of love was looked upon as skill of allure, a love was degraded as a manner suggesting rest for husband. The moral justice for that discriminating dicourse was a 'Home' that was spoken figuratively as a 'heaven' or 'holy place'. 'Home' that controlled all of marriage, love, family at that time was enthroned with absolute value, and got to be moral justice which produced conservativeness of love discourse. In relation to that discourse, a serial novel in yeowon showed distinctive transit in middle of 1960's. The first half period showed a resist and criticism,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half period integrated to the dominating conservative discours. In the former, love had a social meaning that caused a modern awakening, a political power promoting social reform, and critical justice. But In the latter, novels made love story sexual affair that hop up popular interest. In this novel woman's sexuality was managed with the 'home' and woman who didn't keep their virginal sex had to endure moral blame. 본고는 1961-68년까지 『여원』에 연재된 여성작가들의 소설을 대상으로 낭만적 사랑의 기획이 사랑이야기 속에 어떻게 구조화되고 있는지를 잡지에 실린 연애담론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소설은 사랑이야기가 재현되는 가장 대표적인 양식으로 소설 자체가 연애담론이라고 할 수 있지만 소설이 가지고 있는 미학적 성찰의 계기가 어떻게 작용하는가에 따라 지배담론과 거리 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연애소설의 사랑이야기가 어떻게 당대 지배담론과 관계 속에서 구조화되는가를 시기적인 변화에 주목하여 알아보고자 했다. 60년대 연애담론은 여성의 성과 사회적 위치를 남성보다 열등한 것으로 배치하는 보수적 차별성을 지속적으로 보여준다. 순결이데올로기가 재생산되면서 연애담론은 내조담론의 하위담론으로 배치되고, 부부간의 정서적 교감의 문제는 주변화된다. 내조의 하나가 된 성과 사랑은 성적 기술의 문제로 수렴되고, 여성의 성과 사랑은 남편에게 휴식을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전락한다. 그럼으로써 연애담론에서 이상적 여성은 ‘순결한 마돈나’의 모순적 이미지로 재현되는데 ‘낮에는 현부, 밤에는 창부’가 되는 타자화의 모순에 노출된다. 이러한 젠더화된 연애담론에 윤리적 명분을 제공하는 것이 ‘가정’으로, 성역 혹은 천국으로 비유되는 ‘가정’은 성과 연애, 결혼과 가족 관계까지를 규율하는 절대 가치로 등극하면서 60년대 연애담론의 보수성을 생산하는 윤리적 명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연애담론과의 관계에서 볼 때 60년대 『여원』에 발표되었던 여성작가의 연재소설들은 65년을 계기로 뚜렷한 변화를 보여준다. 전반기의 작품들이 지식인 청년들의 순수한 사랑을 중심으로 지배담론에 대한 비판과 저항을 보여준다면 후기의 작품들은 부부관계의 갈등을 중심으로 특히 외도의 문제에 집중하면서 지배담론에 통합된다. 전기의 작품들에서 연애는 근대적 각성의 계기가 되거나, 사회를 변혁하는 정치적 힘으로, 또 자본주의적 속물성과 봉건적 관습을 비판하는 준거로 의미가 확장됨으로써 낭만적 사랑의 기획에 내포된 근대적 성찰의 계기를 일정하게 반영하고 있다. 반면 후기로 갈수록 작품들은 파격적인 사랑이야기를 흥미 유발을 위한 소재로 사용하면서 ‘가정’을 절대화한다. 여성의 성은 과잉 노출되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멜로물의 대상으로 재현되고, 연애는 삶을 결정적으로 파괴하는 비극적 조건으로, 타락한 청년들의 오락 정도로 취급된다. 여성의 성은 ‘가정’을 통해서만 안정과 화해를 찾게 되는데, 순결을 상실한 여성에게 도덕적 응징이 가해지면서 여성 억압이 강화된다. ‘로맨스빠빠’의 형상을 통해 봉건적 아버지와 외적 맥락은 다른, 그러나 실제 내용은 그대로 계승한 가부장의 아버지를 재정립한다. 로맨스 빠빠와 현모양처의 아내, 그리고 순결과 절제의 윤리성이 내부동력으로 규율하는 ‘가정’이 바로 65년 이후 연애소설의 중심 내용이 된다.

      • KCI등재

        연구윤리교육을 위한 쟁점과 사례 연구 - 인문⋅사회 분야를 중심으로 -

        송인화,김미경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22 사고와표현 Vol.15 No.3

        연구윤리는 연구의 전 과정에 걸쳐 연구자가 지켜야 할 윤리적 가치와 규범으로 우리나라는 2007년 교육부에서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을 제정하여 적용한 이후 이에 대한 인식과 교육이 강화되고 있으나 연구부정행위는 지속적으로증가하고 있다. 이는 과열된 연구경쟁과 부정행위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 그리고위계적인 연구 관행 등이 주요 원인이라 할 수 있으나 부실한 연구윤리 교육도문제적 요인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연구윤리와 부정행위에 관한 자료가 이⸳공학 분야 중심으로 제공되고 있고, 자료의 분량과 범위도 광대하여 인문ㆍ사회 분야 연구자들이 연구윤리와 부정행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수백 페이지의 자료를 읽고 자기 전공에 해당하는내용을 발췌하여 이해해야 하는 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인문ㆍ사회 분야 연구자 사이에 혼동이 되거나 정확하게 알지 못했던 연구부정행위에 관한 쟁점들을 유형별로 추출하여 이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실질적인 연구윤리교육에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연구부정행위의 사례는 한국연구재단에서 조사한 자료를표본으로 하였으며, 그 범위는 교육부훈령에서 규정한 위조ㆍ변조, 표절, 부당한저자표시와 중복게재의 사례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기된 쟁점과 사례의 내용을 바탕으로 향후 인문ㆍ사회 분야의연구윤리 강화를 위해 논의가 필요한 사항에 대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환경의 개선이다. 연구 진실성 문화가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부정행위 및 갑질행위에 대해 대항하고 신고할 수 있는 연구환경이 구축되어야 한다. 둘째, 연구부정행위 예방을 위한 강화된 연구윤리 시스템의 구축이다. 현재 각 기관에서 시행되고 있는 연구윤리 규정에 대한 명확한 지침과 해석의 모호성으로 인해 부정행위에 대한 규제와 처벌이 실효성을 얻지 못하고 있다. 각대학 및 연구기관에서는 강화된 연구윤리 규정집을 발행하여 부정행위에 대한 검증시스템이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작동될 수 있도록 관리해야 한다. 셋째, 주기적이고 지속적인 연구윤리 교육의 내실화로 연구 진실성에 대한 윤리의식의 고양이다. 이를 위해 대학 및 연구기관 등에서는 자체 실무 매뉴얼을 제작하여 연구수행의 세부 지침과 윤리원칙을 인지하고 실행할 수 있도록 예방하는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

      • KCI등재

        김활란 자서전 『그 빛 속의 작은 生命』에 나타난 여성의 사회 참여 방식과 공간의 정치

        송인화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6 인문학연구 Vol.0 No.51

        ‘The collection of translated world's fairy tales’ 『Gift of Love』 is the sole work which Bang Jung Hwan left. This work is the significant publication that is the most talked-about in the studies of Bang Jung Hwan and 1920's modern children's literature. This study makes use of the existing ‘eleventh editions’ 『Gift of Love』 and the meta data which remained in the media at that time. This study attempts to consider bibliographically about the publication history of this work and its editions. 『Gift of Love』 set ‘a remarkable record in the field of publication’ in the 1920's. They published at least more than ‘the eleventh edition’ of 『Gift of Love』 in 1928. They printed every 2000 copies whenever 『Gift of Love』 went through editions.『Gift of Love』 broke a record of more than 20000 copies. This study evaluates and revises the existing discussion of ‘200000 copies’. This study proposes to identify the possibility of the first edition of 『Gift of Love』(containing the original) and develop its excavation movement together to the academic world. 본고는 김활란의 자서전 『그 빛속의 작은 生命』을 대상으로 자서전에 나타난 김활란의 공적 활동 과정과 방식을 여성주의 시각에서 검토하였다. 해방 이후 대표적 여성 지도자로 인정받는 김활란의 행보가 여성의 사회 참여를 끌어내는 데 실질적으로 얼마나 기여했는가를 논의하려는 것으로, 공간 지리를 확장하는 방식을 분석함으로써 해방 이후 여성 지도자의 사회참여 방식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김활란은 금기의 영역인 정치에 참여하기 위해 ‘비정치적’이라는 수사를 동원하여 공간을 공적인 동시에 사적으로 점유하는 이중성을 보여준다. 금기의 영역에 진입하기 위한 ‘공모’라 할 수 있지만 ‘저항’의 장력을 가지 못함으로써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한 순응을 표현하는 도구적 수사로 사용된다. 김활란은 공적 영역 내부에 감성과 섹슈얼리티를 동원한 여성 정치를 재구축함으로써 젠더 규율을 준수하는 한편 국가주의 이데올로기에 의탁한 권위적 복종과 위계적 체계를 활동의 연대인 자매애에 구조화하고 있다. 정치 영역 내부에 남성과 다른 여성- 정치를 하위 체계로 구성하고 젠더 정치를 실행했던 것으로 그러한 점에서 그것은 지배 체제와의 협력을 도모하는 하위 주체의 ‘조력 활동’이라 할 수 있다. 결국 김활란의 사회 활동은 억압적 경계/질서를 성찰하고 공적 활동의 경계를 새롭게 구축한, 진정한 의미에서 사회 참여 활동은 아니었으며 이후 한국 여성의 사회 활동의 성격을 제한하는 부정적 기여를 하게 된다.

      • KCI등재

        『난지도』에 나타난 생태의식과 젠더 윤리 - 욕의 배설(排泄)과 돌봄의 윤리 -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14 여성문학연구 Vol.33 No.-

        This paper intends to analyse the ecological imagination in 『Nanjido』 especially from gender point of view. It tries to explain ecological consciousness from the perspective of feminism, would like to know how the voices of others, especially woman present or represent in the work who repressed by objectification thinking derived from capitalist materialism,『Nanjido』 is accused of human-centered violence made from capitalist civilization with the dump background. It shows a objectification human relations dominated the purpose of profit as a big problem. Emphasizing the domination of capital through the moral depravity,It dramatically highlights the oppression of women sex with a prostitute. That shows the work define s the cause of women's oppression as capitalist materialism. 『Nanjido』 found a way to cope with the violence, a counteractive coexistence in irrational abusive. Through the sadism, sexual gratification, destroying sanctuary, abusive attacks the rationality of the capitalist system. In this process, man’s falsehood is attacked humorously. And sacrificial meaning given to the body of the women disappears through the abuse of underclass women. With her smiling, naked, playing, woman body is equal with men, and be reproduced as an autonomous body. Therefor it surpass dichotomy way of thinking such as woman/man, rational/irrational, body/mind, and hierarchical suppression structured in the dichotomy. In addition, the work explores a new alternative relationships with ethic of women-caring. That practice caring and helpful to others in concrete experience and environment. Through the caring that is embodied in the women it projected the aspirations of coexistence and reconciliation. They help others not in altruistic sacrifice but in the extent that they can be based on the deep sympathy in relation to others. This is quite different from men's ethics based on the norms and definitions organized into abstract principles. 『Nanjido』 presents a real relationship to overcome the violence of the capitalist mode of awareness that threaten ecosystems through gender ethics of caring. 본고는 1983년 발표된 정연희의 『난지도』를 대상으로 작품에 나타난 생태학적 상상력을 분석하되, 특히 젠더 관점에서 그것을 해명하고자 하였다.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생태주의적 인식을 해명하고자 한 것으로 자본주의적 물질주의가 초래한 대상화된 사유 방식과 그로 인해 억압된 타자 특히 여성의 목소리가 작품에 어떻게 재현 혹은 표현되는지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난지도』는 자본주의 문명이 만들어낸 인간중심적 폭력성을 쓰레기매립장을 배경으로 고발하고 있다. 자본의 논리로 황폐화되는 자연과, 이윤 창출의 목적성에 지배된 대상화된 인간관계를 문제적으로 제시하는데 전면화된 자본 지배를 윤리적 타락을 통해 강조하면서 특히 자본가 노인의 성매매를 통해 억압성을 극적으로 부각시킨다. 자연은 물론 여성 억압의 원인을 자본주의적 물질주의로 규정하는 것이다. 『난지도』는 이러한 폭력에 대한 대항적 공존을 비합리적 규범 밖의 언어인 욕설을 통해 모색한다. 욕설이 가지고 있는 가학성, 성적 희열, 성역 파괴를 통해 자본주의적 체계의 합리성을 공격하는 것으로, 하층민 여성들의 욕설을 통해 남성들의 허위성을 해학적으로 공격하는 동시에 여성-육체의 불결함과 희생적 의미를 넘어선다. 발가벗고 웃는, 놀이를 통해 여성-육체는 남성들과 동등한, 자율적 육체로 재현되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여성/남성, 육체/정신, 합리/비합리의 이분법적 경계와 그것의 위계적 억압성을 뛰어 넘는다. 생태 파괴의 원인으로 지목되는 이분법적, 위계적 인식의 경계를 무너뜨림으로써 양자 사이에 대항적 공존을 모색하는 것이다. 또한 작품은 돌봄의 여성 윤리를 통해 새로운 대안적 관계를 모색한다. 구체적인 경험과 환경 속에서 타인에 대한 배려와 도움을 실천하는 것으로, 여성들을 통해 구체화되는 돌봄을 통해 공존과 화해의 열망을 투사한다. 이들은 전적인 희생보다 타인과의 관계 속에서 깊은 공감을 바탕으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도움을 실천한다. 이는 규범과 정의에 기초하여 추상적 원리로 체계화된 남성 윤리와 구분되는 것으로, 작품은 돌봄의 젠더윤리를 통해 생태계를 위협하는 자본주의적 인식의 폭력을 극복할 진정한 관계를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60년대 여성 정신병의 재현과 히스테리 : 젠더권력으로서의 의학지식과 성애화된 ‘내면’

        송인화 한국여성문학학회 2020 여성문학연구 Vol.51 No.-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way women’s mental illness in the 60s is represented in literary works in relation to contemporary medical knowledge with the subject of the novel 『Carousel』, which was elected by the Hankook Ilbo in 1962. This is to find out how psychoanalysis as dynamic psychiatry,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patriarchal theology superimposedly regulated and regulated women in the work of the 60s, when the discourse on psychosis was expanded due to the systematization and popularization of psychiatric knowledge. In the work, women are overly sexualized as a threat to the community, and women with mental illness are re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that are not managed by the superego. It also emphasizes the necessity of eugenic punishment by defining psychosis as a sin inherited through generations. The inner part of women was recreated as an object of fear that threatened the family, the basic community during the industrialization period in the 1960s. Eugenic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psychoanalysis, the latest Western medical knowledge, intervened in a double way to suppress women. Furthermore, in the cause and remedy of female psychosis, psychoanalysis attacks women in combination with patriarchal theology. By presenting the cause of psychosis as a result of love with a cousin who violated the taboo and focusing the problem on the breakdown of paternal ethics, not pathological disease, the sin of deviating from the tradition and group order is transferred to women in the manner of retribution of psychosis. The son’s sense of guilt, who betrayed the voice of the father and practiced personal love and marriage, is at work, and by transferring the cause of the sin to the woman, the identity of a woman is defined as excess eros. Psychoanalysis is combined with patriarchal theology to sexualize as an eros that seduces women, and this gender discrimination is also confirmed in the salvation method.Unlike women who only preserve life through suicide, murder, death of a soldier, or self-denial that confines themselves in a convent, men are suggested to create culture and art by appropriately suppressing and sublimating guilt. Through this, men are presented as mature cultural creators who manage libido, and women are presented as immature anomies of excess eros that threaten the family community. The immature, sexually filled woman’s interior is always subject to surveillance and punishment threatening the community. 이 글은 1962년 한국일보 현상모집에 당선된 장편소설 『회전목마』를 대상으로 60년대 여성 정신병이 문학작품에서 재현되는 방식을 당대 의학지식과의 관계속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정신의학지식의 체계화와 대중화로 정신병에 대한담론이 확장되었던 60년대 작품에 역동정신의학으로서의 정신분석과 일제 식민지기 우생학, 그리고 가부장이데올로기가 여성을 어떻게 중첩적으로 규율하고 단속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작품에서 여성은 공동체를 위협하는 대상으로 과잉 성애화 되고 정신병을 가진 여성들은 초자아에 의해 관리되지 못한 미성숙한 아노미로 재현된다. 또한 정신병을 세대를 통해 유전되는 죄로 규정함으로써 우생학적 처벌의 필연성을 강조한다. 여성이 60년대 기초 공동체인 가족을 위협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재현된 것으로 일제 시기 우생학과 최신 서구 의학지식인 정신분석이 이중으로 개입하여 여성을 억압한다. 나아가 여성 정신병의 원인과 구제 방식에서도 정신분석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하여 여성을 공격한다. 정신병의 원인을 금기를 어긴 사촌과의 사랑 때문인 것으로 제시하고 문제의 초점을 병리적 질병이 아닌 부계 윤리의 파계에 맞춤으로써 전통과 집단의 질서를 이탈한 죄를 정신병의 응징이라는 방식으로 여성에게 전가한다. 낭만적 사랑에 의해 아버지를 배반하고 개인적 사랑과 결혼을 실행한 아들의 죄의식이 작동한 것으로 죄의 원인을 여성에게 전가함으로써 여성의 정체성은 과잉 에로스화 된다. 정신분석학이 가부장이데올로기와 결합되어 유혹하는 에로스로 여성을 성애화하는 것으로 이러한 성차별은 구제 방식에서도 확인된다. 여성이 자살, 살해, 병사로 죽거나 수녀원에 스스로를 가두는 자아 부정을 통해 생명을 보존하는 것과달리 남성은 죄의식을 적절하게 억압하고 승화시킴으로써 문화와 예술을 창조하는 고뇌하는 지성으로 나타난다. 남성은 리비도를 관리하는 성숙한 문화적 창조자로, 여성은 가족 공동체를 위협하는 에로스 과잉의 미성숙한 아노미적 존재로 재현된다. 미성숙하고 성애로 채워진 여성의 내면은 언제든 공동체를 위협하는감시와 처벌의 대상이 되는 것이고 정신의학은 가부장이데올로기, 우생학 등과 중첩적으로 결합하여 젠더화된 과학/지식으로 체계적으로 개입하고 있다.

      • KCI등재

        반 버스커크의 '과학과 종교'에 나타난 기독교 사회진화론 연구: 사회주의에 대한 대응과 20년대 지식 구성

        송인화 한국문학과종교학회 2017 문학과종교 Vol.22 No.3

        The Science and Religion is a Christian apology that was written in response to the intellectual discourse of the 1920s, when materialistic socialism was rapidly propagated to intellectual youth as scientific discourse. Van Buskirk, a professor at the Severance Medical Research Department, combines the ideology of science, which was a qualification for knowledge, with Christian doctrine. In this way, Buskirk's text constitutes a Christian social evolution theory. Specifically, the narrative frame of Darwinism, which had already been approved by science, is dedicated to selectively combine the doctrine of salvation, soul, love, and sacrifice. With this, it criticized the materialism and the mechanical determinism of materialistic socialism which has emerged as a dominant discourse, and built a discourse that would cope with it. It thus provides an important key to identifying the role of Christianity in the formation of knowledge discourse in the 1920’s.

      • KCI등재

        ‘육체’를 입은 문학과 중도(中道)의 정신 – 80년대 자산(紫山) 신동욱 소설 연구의 의미와 자리

        송인화 한국문학연구학회 2022 현대문학의 연구 Vol.- No.77

        This paper explores the methods and content of Shin, Dong-wook’s criticism of the modern novel published in the '80s. It sought to find out what the specifics of the literary spirit named aesthetic form and humanism were, a key concept in the study of fiction. It can be restore the voices been carried out outside of 80’s literary criticism, being studied only as confrontational discourses of ‘Changbi’ and ‘MoonJi’. Unlike the '80s leading ideological criticism, he asserted autonomy of art that emphasizes the inherent order and aesthetics of the novel itself. He regarded fiction as a ‘work’ having its own form and held to his self-consciousness as a literary researcher explored the aesthetic form. However, it is difficult to define his study of the novel as artistic autonomy or formalism independent of society. What he argued was that ideas and ideologies should also be explained through aesthetic forms, and the aesthetics he spoke of are not merely the form of decorative rhetoric of language but the ‘internalized form of social connotation’ through which the meaning of reality can be read. As an aesthetic form, he focused on narrative structure, and classified the structure of the novel by ascension, parallel, and descent, and explored the historical succession and social meaning of the novel. He interpreted the parallel structure of the novel as having originated from a realist spirit that confronts the contradictions of reality and explores the problem. By grasping the structure as a complex structure inside and out, the social critical meaning was elucidated by the inner structure of what was commanded to be ‘poetic truth’ as ‘true’ rather than the external structure. ‘Aesthetic value’, a important concept in his study, has ‘humanism’ as its concrete content. The humanism based on the ethics of ‘soundness’, had a subconcept moderate reform, objective perception of reality, and trust in maturity and development. The humanism of his appropriated the ideology and content of liberal arts oriented towards the maturity and development through universal reason and education, and the perfection of humanity. Furthermore, his ‘humanism’ can be said to be close to the spirit of ‘Joong-do’, which sought a solution through gradual efforts from a balanced perspective. The ‘Joong-do’ is the right path without bias on either side, and the resonant path that leaves the polar pole and is not biased on the one hand which has chosen reconciliation and coordination over partisan confront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