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12잡가 형장가 연구

        송은주(Eun-joo, Song) 한국국악교육학회 2011 국악교육 Vol.32 No.32

        본 논문은 <12잡가>중 한곡인 ‘형장가(刑杖歌)’를 연구하였다. ‘20세기 초 ‘형장가’’와 ‘현행 ‘형장가’’를 비교 대상으로 삼아 사설과 음악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 등을 분석하였다. <12잡가>의 출현은 19세기부터지만 <12잡가> 12곡이 모두 완성된 것은 20세기 중반이며 ‘형장가’ 는 20세기 초에 나타난다. ‘형장가’의 연구를 위해 20세기 초 <12잡가> 사설을 수록한 『한국속가전집』, 20세기 초?중반의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잡가악보집』?, 현행 <12잡가> 사설과 악보를 수록한 『경기12잡가』가 연구 자료로 사용 되었다. II장에서 ‘형장가’ 사설의 공통점과 차이점, 변화양상을 분석하였다. ‘형장가’ 사설의 내용 변화는 1번 나타난다. 내용 변화의 양상은 ‘가사의 첨삭’과 ‘내용의 순서 변화’이다. 사설의 어휘 차이 양상은 다섯 군데로 ‘고어의 현대어 교체, 종결어미의 교체, 연결어미의 교체, 감탄사의 교체, 어미의 교체’,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난다. ‘형장가’ 어휘 차이의 뚜렷한 규칙성은 없으며, 다만 『?한국속가전집』?의 고어(古語) 표기가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서는 현대어 표기로 바뀐 것이 특징이다. 사설의 내용 변화와 어휘 차이의 양상을 분석해 볼 때, 『?한국속가전집』?에서 『잡가악보집』, 『경기12잡가』에 이르기까지 ‘형장가’ 사설의 어휘 차이는 거의 없으며 『?한국속가전집』?에는 없던 사설이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나타난다. ‘가사의 첨삭’으로 내용상으로는 판소리 <춘향가>의 한부분이지만 독립된 곡으로써 <12잡가> ‘형장가’의 완성도를 높였다. III장에서 ‘형장가’의 장단과 말붙임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장단은 모두 두 종류로 사용하는 장단은 ‘느린6박장단’, ‘빠른6박장단’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에 수록된 ‘형장가’ 장단의 종류와 전체 장단수는 같다. 그러므로 ‘형장가’는 장단에 있어서 변화가 없다. 다음으로 ‘형장가’의 말붙임과 말붙임의 유형을 살펴보았다. ‘형장가’에 나타나는 말붙임 유형은 ???, ??? 두 종류이다. ‘형장가’ 각 장단의 첫 박에는 주로 ??? 유형이 나타났다. ‘형장가’는 주로 첫 박과 넷째 박에 말붙임이 있다. 첫 박과 넷째 박은 모두 북편에 해당하므로 ‘형장가’의 말붙임은 북편에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을 근거로 ‘형장가’는 어단성장(語短聲長)의 영향을 받은 노래임을 알 수 있다. IV장에서 ‘형장가’의 악곡구분 및 출현음과 종지음을 살펴보았다. ‘형장가’는 유절형식의 후렴구가 없는 곡이다. 『잡가악보집』과 『경기12잡가』?‘형장가’의 출현음은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의 6음으로 두 가집의 출현음은 같았다. 출현음의 음정은 ‘장2도+완전4도+단3도+장2도+장2도’이다. 중심음은 ‘D<SUB>4</SUB>’이며 종지음은 ‘G<SUB>3</SUB>’로 하행종지 하였다. 두 가집의 출현음, 주요음, 중심음은 모두 같다. ‘형장가’의 주요음은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이다. 주요음의 음정은 ‘완전5도+단3도+장2도’로 진행하며 음간의 도약이 있어 ‘형장가’는 <12잡가>중 다이나믹한 선율을 느낄 수 있는 곡이다. ‘형장가’는 서정적인 선율과 변화 있는 장단으로 엮은 <12잡가>로 시대적으로 살펴보면 사설의 변화가 나타났고 장단, 출현음, 중심음,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 곡 안에서의 장단은 ‘느린6박장단’에서 ‘빠른6박장단’으로 변화했으며 출현음과 종지음의 변화는 없었다. ‘형장가’는 판소리 <춘향가>중 한 대목을 확대하여 인생의 희노애락(喜怒哀樂)과 애증(愛憎)의 감정을 장단의 변화로 표현한 절제된 <12잡가>이다. This study examined ‘Hyeogjangga(刑杖歌, Song at the Execution Ground)’, a piece of music among <Twelve Japga(十二雜歌)>.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in narration and music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by comparing the early 20th century ‘Hyeogjangga’ and ‘current Hyeogjangga’. <Twelve Japga> started from the 19th century but 12 songs of <Twelve Japga> were completed in the middle 20th century, and ‘Hyeogjangga’ appeared in the early 20th century. For the analysis of ‘Hyeogjangga’, this study used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with the early and middle 20th century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and 『Gyeonggi Twelve Japga(京畿十二雜歌)』 ?with current <Twelve Japga> narration and music. In chapter II, this study analyzed common factors and differences as well as the transformational aspects of ‘Hyeogjangga’ narration. The changes in ‘Hyeogjangga’ narration are seen once. The aspect of the changes is ‘addition and deletion of lyrics’ and ‘changes of order of content’. The aspect of vocabulary changes of narration is diversely seen as five types such as replacement of archaic word by modern language, replacement of sentence endings, replacement of connective endings, replacement of interjection, and replacement of endings. There is no certain regularity of differences in ‘Hyeogjangga’ vocabularies but archaic word of 『Korean Popular Song Collection』 ?has been changed to modern language in ?『Book of Japga(雜歌樂譜集)』 ?and 『Gyeonggi Twelve Japg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changes in contents of narration and differences of vocabularies, the changes of ‘Hyeogjangga’ narration are rarely seen. In chapter III, this study looked into rhythm and malbuchim of ‘Hyeogjangga’. Rhythms in ‘Hyeogjangga’ are two types of ‘slow 6-beat rhythm’ and ’fast 6-beat rhythm’. The type and the number of rhythms of ‘Hyeogjangga’ included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are same. Therefore, there is no change in the rhythm of ‘Hyeogjangga’. Next, this study examined types of malbuchim of ‘Hyeogjangga’ and the types of malbuchim. The types of malbuchim in ‘Hyeogjangga’ are two ???, ???. The first beat of each rhythm in ‘Hyeogjangga’ is mostly ???.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f ‘Hyeogjangga’ are mostly malbuchim. The first and the fourth beats occur at bukpyeon so malbuchim of ‘Hyeogjangga’ is in the bukpyeon. Based on this fact, we know that ‘Hyeogjangga’ is affected by the Eodan-seongjang(語短聲長). In chapter IV, this study looked into the movements of music,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of ‘Hyeogjangga’. ‘Hyeogjangga’ has no stanzaic form of chorus. The tone of appearance of ‘Hyeogjangga’ in 『Book of Japga』 ?and 『Gyeonggi Twelve Japga』 ?is six sounds of ‘G<SUB>3</SUB>, A<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A<SUB>4</SUB>’, and they are same as th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of the two music books. The tunes of tone of appearance(出現音) are ‘Major 2nd + Perfected 4th + Minor 3rd + Major 2nd + Major 2nd’. The tone of core(中心音) is ‘D<SUB>4</SUB>’ and the tone of cadence (終止音) of down cadence(下行終止) occurred as ‘G<SUB>3</SUB>’. These two music books show the same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and the tone of core(中心音).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of ‘Hyeogjangga’ are ‘G<SUB>3</SUB>, D<SUB>4</SUB>, F<SUB>4</SUB>, G<SUB>4</SUB>’. The tune of the tone of importance(主要音) is conducted as ‘Perfected 5th + Minor 3rd + Major 2nd’ and there is a jump between sounds so ‘Hyeogjangga’ out of <Twelve Japga> shows a very dynamic melody. ‘Hyeogjangga’ is <Twelve Japga> with lyrical melodies and dynamic beats and shows narration changes by times but there is no change in beats, tone of appearance(出現音), the tone of core(中心音), and the tone of cadence(終止音). The be

      • KCI등재
      • KCI등재
      •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 심리자본을 조절효과로

        송은주(Song, Eun-joo),김명희(Kim, Myung-Hee) 한국인사ㆍ조직학회 2011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2011 No.2

        본 연구는 외식기업에서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종사자의 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탐구하기 위함에 있다. 구체적으로 종사자들의 조직유효성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과 회복력을 조절효과로 하여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인 자아인식, 투명성, 도덕적 내면관점, 균형잡힌 정보처리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서울지역에 위치한 외식기업에 종사하는 구성원의 직속상사와 구성원에 대한 목록을 작성하여 수집하였다. 총 수집된 설문지는 350부이고, 분석에 사용된 설문지는 201부였다. 본 연구의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으로 요인을 나누고 신뢰도 검증을 거쳐, 상관계수를 분석하여 인과관계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회귀분석을 거쳐 요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외식기업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외식기업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직무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쳤다. 이는 구성원이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을 판단했을 때, 조직유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의 중요성을 나타낸다. 마지막으로, 외식기업 구성원의 심리자본은 외식기업 관리자와 조직유효성에 직접적인 효과를 크게 미치지는 않았지만 유의한 결과를 나타냈다. 하지만 본 연구에 참여한 구성원에게 심리자본에 대한 인지와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고려한다면, 향후 이에 대한 충분한 교육이 이루어진 후에는 구성원의 심리자본이 관리자의 진정성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구조적으로 파악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trol effect of psychological capital of employees in restaurant industry based on the impact of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pecifically, it was conducted to cla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of managers'authentic leadership–self-awareness, clarity, ethical perspective, and balanced information processing – to control employees' self-efficacy and recovery to improve the impact on employees'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cupational satisfaction for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e principle of authentic leaderships completed when the leader follows his mental model and emotional flow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between himself and the reality to make efforts to overcome the difference. An authentic leader ultimately focuses on giving his authority so that his team members can achieve the best outcomes based on mutual respect. Authentic leaders help their members grow by demonstrating how to follow their role model that leads to growth. Psychological capital is a concept that is distinguished from human capital and social capital. Psychological capital considers the development of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attitudes and refers to each individual's motivation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Ultimately, it is a type of motivation variables. For this purpose, I examined preceded studies and related literature and surveyed the employees of restaurant businesses to evaluate their supervisors' authentic leadership. The resources were gathered by listing the employees of restaurant businesses in Seoul and their direct supervisors. A total of 350 copies of survey were collected and 201 copi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For the analysis, the factors were divid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processed through reliability test to analyze correlation coefficient and identify causality. Also, regression analysis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ausality of factors. In conclusion, first, the authentic leadership of the managers of restaurant businesses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employees'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authentic leadershipof the managers of restaurant businesses had a positive (+) impact on the employees' occupational satisfaction. This manifests that members' evaluation of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can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the importance of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Finally, the members' psychological capital did not have direct impact on the members of restaurant businesses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ut had significant outcomes. Considering that the person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ere not educated about psychological capital, however, the impact of psychological capital on managers' authentic leadership would be clarified once they are educated.

      • KCI등재

        Rituximab과 cyclophosphamide 투여로 호전된 저항성 청피반성 혈관염

        송은주 ( Eun Joo Song ),강종완 ( Jong Wan Kang ),김지훈 ( Ji Hun Kim ),강진영 ( Jin Young Kang ),남언정 ( Eon Jeong Nam ),강영모 ( Young Mo Kang ) 대한내과학회 2010 대한내과학회지 Vol.78 No.4

        저자들은 반복되는 피부 궤양에 대해 보존적인 치료와 함께 cyclosporine 및 mycophenolate mofetil로 면역억제치료를 하였으나 궤양이 호전되지 않는 저항성 청피반성 혈관염에서 rituximab과 cyclophosphamide 투여로 관해유도된 후 재발 없이 유지되는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Livedoid vasculitis (LV) is a chronic recurrent cutaneous disease that is characterized by a netlike vascular pattern of purpuric lesions that progress to ulcers and atrophic white scars. The etiology of LV is unknown. Various therapies have been used for LV with inconsistent results, including antiplatelet agents, fibrinolytics, anticoagulants, prostaglandin E1, and immunosuppressive agents, such as systemic corticosteroids, azathioprine, methotrexate, cyclosporine, and mycophenolate mofetil. We present a patient with idiopathic LV refractory to immunosuppressive therapy who had a good response to treatment with rituximab and cyclophosphamide. (Korean J Med 78:527-530, 2010)

      • KCI등재

        예술의 미적 개념 변화와 뉴미디어 아트 특성

        송은주 ( Song Eun-joo ),정회경 ( Jung Hoe-ky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1 한국디자인포럼 Vol.33 No.-

        뉴미디어의 등장에 따라, 뉴미디어 아트의 표현 양식과 작품을 구성하는 요소에도 변화가 초래됐다. 뉴미디어 아트의 매체 형식 변화로 인해 그동안 중심이 되었던 시각적 요소이외에도 청각, 촉각, 참여적 요소의 변화가 두드러졌다. 따라서 본 논문은 뉴미디어 아트의 이러한 변화요소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6가지의 뉴미디어 아트 특성을 도출하였다. 즉 상호작용성(interactivity)의 구현, 네트워크(network) 구조, 촉각성(tactility)을 활용한 다감각, 시각과 청각의 공감각(synesthesia) 표현, 가상공간(virtual-space)을 포함한 공간 확장, 하이퍼미디어(hypermedia)의 복합성 이다. 이러한 각 특성은 독립적 성격으로 분류되는 것이 아니라, 특성 간 연계되어있거나 서로 포괄하기도 한다. 뉴미디어 아트의 특성으로 인해, 사람들은 과거 그림을 감상하던 관람자 입장에서 직접적으로 작품의 인터페이스에 개입하여 상호작용을 구현하는 사용자 입장으로 전환되었다. 콘텐츠와 관련된 뉴미디어 아트의 형식적 구조도 하이퍼미디어의 특성과 같이 비선형적, 다선형적, 다층적 구조로 변화되어 나타났다. 본 연구의 뉴미디어 아트 특성 파악은 현재의 시점에서 새롭게 변화된 뉴미디어 아트를 규정하고, 과거와의 연계 선상에서 향후 도래될 뉴미디어 아트의 세계를 조망하기 위한 것이다. The style of expression of New media art, that is component parts is changed recently according to new media expansion. Through the changes of media form of new media art, it showed that auditory, tactile, participatory elements besides visual elements. In this study, six new media art characteristics came from analysis of new media works on the following. In other words, realization of interactivity, network structure, multisensory by tactility, synesthesia of visual and auditory elements, space extension including virtual space, complexity of hypermedia. These characteristics exist, in the art works, not separately, but they are inter-related to and dependant on each other. The audiences, who were passively appreciate the art works, now can participate the production by controlling or even manipulating the interfaces for the interactivity of the art works, due to these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art. The forms of the content have also changed for these new characteristics. They are nonlinear, multidirectional, and multi layered, just as the hyper media. This article defines the new media art from new perspective by characterizing the contemporary media art works, and foresees the new media art in the future.

      • KCI등재

        예술기반 기업교육연구의 최근 경향

        송은주 ( Song Eun-joo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3 한국디자인포럼 Vol.38 No.-

        본 연구는 21세기 환경에서 조직 교육은 어떤 양상을 띠며 발전 가능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출발하여 모호성과 불확실성의 시대에 더욱 활발하게 일어나는 예술과 기업 간의 교류와 상호작용의 의의를 밝히고 교육의 형태로 나타나는 기업과 예술의 이종교합의 효과와 기능에 대한 최근 해외 연구들을 고찰함으로써 조직과 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예술기반 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공고히 하는데 목적이 있다. 오늘날 지식경제의 현실에서 단편적이고 반응적 조직 교육 무용론과 구성원의 내재된 감정선을 고려하고 높은 수준의 혁신과 성취를 이끌어내는 방법에 접근하는 진보적 요인들의 발견 혹은 보완의 필요성으로 인해 예술기반 교육의 활용이 대두되었다. 그러나 실무에서의 관심 증대와 사례의 축적에도 불구하고 이론 정립은 초기단계로, 최근의 연구 트렌드에 대한 종합적 이해를 통해 기업과 예술의 교육적 매개 관계를 규명하고 향후 전개 방향을 가늠하는 본 연구는 시의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와 같은 논의를 위해 예술기반 교육을 통한 기업의 편익관련 선행연구들을 세 가지 기능별로 살펴보았는데, 구성원들의 직무수행 역량 향상 기능, 혁신적 아이디어로 조직의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하는 기능, 구성원들의 마음을 이어 공유하는 가치와 목적을 위해 함께 의미를 생성(sense making)하는 기제로서의 기능이 그것이다. 각 기능은 상호 배제적이지 않으며 조직의 궁극적인 목표에 한걸음 다가가는데 순환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나 이론적 배경 및 적용방안을 달리하므로 이와 같은 분류는 조직이 실제 예술기반 교육을 디자인할 때 비전과 가치를 고려하고 발전 단계별로 도입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개인의 역량증진이 조직 전체로 파급되는 예술기반 교육의 효과에 대한 모형을 분석하고 조직전체를 아우르는 연쇄적, 점증적 진화를 기대하기 위한 요소를 탐색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strong theoretical basis of arts-based education that influence organizations and the society by identifying meanings of exchange and interaction between art and business that become more active in the age of vagueness and uncertainty and inquiring recent overseas studies on effects and functions of educationally connecting corporate and art. Nowadays, in the reality of knowledge economy, fragmental and reactive corporate education is facing the controversy of being no use, and new progressive ideas were suggested to achieve high standard innovation and accomplishment. Also, in order to complement existing methods, arts-based education gained attention. Even with increased interest and field cases, relating theory is not completely constructed. Therefore, it is appropriate and timely to define educational connection between corporate and art and to expect the future of such education through overall understanding of recent study trend. In this study, previous studies on benefits from arts-based leaning were analyzed in 3 categories: function to improve work capabilities of members, function to contribute to improving creative power of the organization with innovative ideas, and function for members to share values and to make senses to accomplish their purposes. These functions do not mutually exclude others, and they play cyclical roles to step closer to the fundamental goal of the organization. Also, in this study, an arts-based education model that shows individual capability improvement extending out inside the organization is analyzed to identify elements that lead to `spill-over effect` and cumulative evolution of the whole organization.

      • KCI등재
      • 근린공원의 활성화를 위한 범죄예방 환경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송은주(Song Eun-Joo),송정화(Song Jeong-Hwa),오건수(Oh Kun-Soo)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계획계/구조계 Vol.29 No.1(계획계)

        Neighborhood parks are the local residents’ physical, mental, and emotional health recreation area, and are installed and improved for this purpose. However, recently, due to crimes that occur in nearby parks i.e. juvenile and violent crimes, theft, sexual threats, including various types of social problems, people do not actively use the neighborhood parks. Study analyses have shown that security facilities for crime prevention in these neighboring parks are insufficient. Therefore, environmental design research for crime prevention in these parks is essential. General and specific guidelines or check lists should be implemented in order to improve the crime problems in the neighborhood parks. In view of this, the following alternative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convenience and physical safety of the neighborhood citizens. First, Neighborhood parks is required that the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presented in detail for Visibility scure .and Strengthening the Natural surveillance and Natural Access Control and alternative is needed to prevent crime. Second, Neighborhood park spaces create hierarchy to identify problems of environmental design. Also the facilities of the park in the region by the segmentation result of the cooperation between the area of facilities issues and more specifically in the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have been derived. This research, the problems of the current design of the park, identify and analyze the neighborhoo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and specific techniques for the systematic cleanup of the proposal. The Crime prevention environment of the park as the basis for design is expected to be useful.

      • KCI등재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주 중등학교 체육과 핵심교육과정과 시사점

        송은주(Eun Joo Song) 한국여성체육학회 2012 한국여성체육학회지 Vol.26 No.3

        This study aims to draw implications to develop th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course and to apply to the field in Korea by examining the core curriculum of physical education course of German secondary schools. The literature study method was used for the study, and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core curriculum of Germany was introduced aiming to practice the competence-based classes focusing on learners escaping the existing curriculum centering on teachers in the extension of German educational reformation. The core curriculum of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of Germany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inclusive behavior competence, and the areas of competence are made of the movement and perception competence, which is the center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 and the method and judgment competence of the major`s own. The core curriculum of the course of physical education of Germany distinguishes the competence area from the contents area and integrates the competence area and the contets area into the competence expectations, and thereby realizes the connection between competence and knowledge. The core curriculum of Germany provides the implications including reformation of curriculum focusing on the field, connection between academic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integration of core competence and special subject of physical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