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윤희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10

        Teaching and learning is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addition to instructor’s verbal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s, non-verbal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here is growing concerned about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ing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student’s emotional presence and rapport were used variables of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used as a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to see the relationship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78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K university in Daeje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presence and rapport. Emotion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apport and learning satisfaction positively, and ra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structor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classes as well as be able to use it appropriate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onto the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university classrooms.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더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연계된 학습자의 학습과정 변인으로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경기지역 A대학교 및 대전지역 K대학교의 재학생 37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감성적 실재감은 라포와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라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중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경험에 따른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비교

        송윤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17 융합정보논문지 Vol.7 No.3

        최근 현장실습교육은 대학생의 직무경험과 경력개발을 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현장실습교육 참여가 기업에서 필요한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을 향상시키는지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도권 A대학교의 재학생 1,887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을 통해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실습교육 참여 빈도에 따라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수준 차이가 유의미하게 있었다. 이는 현장실습교육 참여 빈도가 높을수록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및 융합역량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대학에서는 학생들이 현장을 경험하고 직무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현장실습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서 증대되는 현장실습교육의 효과를 검증하는 기초자료로 향후 현장실습교육 설계 및 운영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colleges and universities provide programs of field experience for students to improve career development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participating field experience on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e. Data were collected from 1,887 college students, and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As a result, students who participated field experience program improved their communication 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and convergence competenc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basic references to promote field experience program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 KCI등재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진로 동기 분석 ― A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사례를 중심으로

        송윤희,장화선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17 기독교교육논총 Vol.51 No.-

        This article examines career guidance strategies for students of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through a statistical study on students’ career motivation. Elements of career motivation are regarded as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This article analyzes the difference of career motivation between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and other college of A University, gender and grade difference of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differences among participation experience of non subject curriculum, practice experience, social service experience. Within the analysis results,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have higher level of career motivation than other college students of A University. Male students of the Christian education department have higher of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than female students. Students who were experienced in the non-subject matter program have higher level of career identity that those who were not experienced in the non-subject matter program.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practice have higher level of career resilience, career insight and career identity.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social service have higher level of career resilience and career identity. Career guidance strategy of this study is as followings: specialized career guidance of the department of Christian education, reinforcement of participation of the non-subject matter program, reinforcement of experience of practical affairs, reinforcement of experience in social service, establishment of career education direction with Christian view. 본 연구는 수도권 소재 A대학교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진로 동기’를 분석하기 위하여 ‘진로 탄력성’, ‘진로 통찰력’, ‘진로 정체성’에 관한 문항을계량적으로 탐색하고 진로 지도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연구는 A대학교 기독교교육과 재학생 109명과 단과대학 재학생 1,893 명을 대상으로 기독교교육과 학생들과 단과대학 학생들 간의 ‘진로 동기’ 차이,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의 성별 및 학년 간 ‘진로 동기’ 차이,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경험 ․ 실무 경험 ․ 사회봉사 경험의 유무에 따른 ‘진로 동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기독교교육과 학생들은 예술대학 학생들과 비슷한 ‘진로 동기’ 수준을 가졌으며, 단과대학 학생들보다 ‘진로 동기’ 수준이높았다. 기독교교육과의 남학생들은 여학생들보다 ‘진로 탄력성’, ‘진로통찰력’, ‘진로 정체감’이 높았으며, 학년 간 차이는 없었다.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들보다 ‘진로 정체감’이 높았으며 실무 경험이 있는 학생들은 실무 경험이 없는 학생보다 ‘진로 탄력성’, ‘진로 통찰력’, ‘진로 정체감’이 높았다. 사회봉사 경험이 있는 학생은 사회봉사 경험이 없는 학생들에 비해 ‘진로탄력성’과 ‘진로 정체감’이 높았다. 본 연구는 기독교교육과의 특성화된진로 지도,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의 강화, 실무 경험의 강화, 사회봉사경험의 강화, 기독교적 진로 교육 방향 수립 등을 제시한다.

      • KCI등재

        죽음과 삶의 변증법: 잉에보르크 바하만의 시에 나타난 모티프 분석

        송윤희 한국독일어문학회 2012 독일어문학 Vol.59 No.-

        Die vorliegende Arbeit geht von der Analyse und der Wirkung der lyrischen Texte aus Ingeborg Bachmanns Nachlass『Ich weiss keine bessere Welt』aus und setzt sich zum Ziel, das Problem der Erfassbarkeit des Todes und des Lebens durch Motivanalyse am konkreten Beispiel der Gedichte Bachmanns zu untersuchen. Die Gedichte handeln von “Lebenshunger und Todessehnsucht”, von “Bewegung aus Leiderfahrung und Trauer uber die verlorene Welt”. Somit zeigt die Dichterin selbst die folgenden Motive fur das obengenannte Problem auf, die zunachst als Ausgangspunkt ihres Schmerzes erscheinen. Dementsprechend ist in dieser Arbeit das Hauptmotiv des Nachlasses in drei Teile geteilt: 1. Erinnerung und Schmerz, 2. Erinnerung und Leben, 3. Asthetik des Todes. Diese Teile stehen in enger Beziehung zu Bachmanns Gedanken uber die literarische Forschung. Im Hinblick auf das Motiv fordert sie zwei Dimensionen der Existenz - Tod und Leben - als eine personliche Grenzerfahrung von erlittenem Untergang und wieder gesichtetem “Land”, von “Vernichtung und Rettung”. Letzten Endes sehnt sie sich nicht nach dem Tode an sich, die Endstation des Lebens, sondern nach dem Tode, der gerettet werden soll und in den Ursprung zuruckgeht. Bachmann selbst betont diesen Weg in den Gedichten: Wer den Ausgang erreicht, hat nicht den Tod sondern den Tag im Herzen. (KBW. S. 163)

      • KCI등재
      • KCI등재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감성지능,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간의 구조적 관계

        송윤희 중소기업융합학회 2020 융합정보논문지 Vol.1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협력학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을 살펴보기 위해 학습자 변인으로 감성지능, 학습과정 변인으로 의사소통능력과 집단지성,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선정하 여 각 변인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다. 수도권 소재 A대학교 3,475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자료는 구조방정 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감성지능은 의사소통능력, 집단지성,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 을 미쳤으며, 의사소통능력은 집단지성과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집단지성은 학습만족도와 학습지속 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학습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협력학 습에서 학습성과를 향상시키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밝힘으로써 협력학습의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related variables that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Based on literature reviews, emotional intelligence was used as a variable of personal character, communication ability and collective intelligence were used as variables in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were used as variables of learning outcomes. Data were collected from 3,475 students at A university, and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communication ability, collective intelligence,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Second, communication ability influenced collective intelligence and persistence positively. Third, collective intelligence influenced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positively. Fourth, learning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persistence. These findings offer basic data for collaborative learning by reveal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lated variables that improve learning outcomes in collaborative learning of college stude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