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철학자의 외투’를 입은 그리스도교 -순교자 유스티누스의 그리스도교 철학 관념-

        송유레 한국가톨릭철학회 2023 가톨릭철학 Vol.- No.40

        Can there be a Christian philosophy? The answer to this question depends on what we mean by ‘Christianity’ and ‘philosophy’ respectively. So far as faith and reason are opposed and philosophy is understood as a rational enterprise, there seems to be no room for Christianity to be involved in philosophy. However, debates over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hilosophy have continued within the scholastic dichotomy of faith and reason, theology and philosophy. In this paper, I tr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hristian philosophy from an alternative perspective, outside the scholastic framework of the debate. For this purpose, I draw attention to Justin Martyr, who presented Christianity as a philosophy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early Christianity. First of all, I briefly introduce the apologetic background to Christianity in the 2nd century in the Roman Empire and situate Justin’s position. Unlike the position that presented Christianity and philosophy as mutually exclusive options and demanded one to choose either one or the other, Justin chose Christianity as philosophy. To understand his choice, I investigate the narrative of conversion provided in his Dialogue with Trypho the Jew. It is shown that conversion to Christianity for Justin was not a complete break with philosophy, but a conversion from one philosophy to another, which is a ‘philosophical conversion’. It is argued that Greek philosophy, being a pursuit of wisdom for happiness, was the driving force that led him to Christianity. Next, I turn to Justin’s apologetic strategy in Apologies I-II, a central aspect of which is the appeal to reason. In this connection, Christianity is defined as ‘a way of living according to reason’, following the conception of philosophy in antiquity. Here, Christianity is understood as ‘philosophy as a way of life’, as Pierre Hadot pointed out. In fact, Justin presented Christianity as a philosophy according to divine reason. However, he did not think that human reason and divine reason were disconnected. For all humans share God’s universal reason, which is reason itself. Furthermore, he claimed that Christ is the incarnated divine reason. In short, Justin’s Christian philosophy is a way of living according to the truth revealed by reason itself, incarnated in Christ. In philosophy thus understood, revelation and argument, faith and reason are not incompatible, but interrelated. In this way, Justin left an example of Christian philosophy, which is worth referring to.

      • KCI등재

        갈레노스의 영혼삼분설과 ‘의학적 플라톤주의’

        송유레 한국의철학회 2022 의철학연구 Vol.34 No.-

        본 논문은 갈레노스가 어떻게 플라톤 철학을 수용했는지를 고찰한다. 특히,『히포크라테스와 플라톤의 학설에 관하여』에서 의술과 철학의 합류점으로 나타나는 영혼삼분설에 주목한다. 갈레노스는 플라톤의 『국가』와『티마이오스』에서 개진된 영혼삼분설을 최신 의학 연구 성과에 비추어 갱신했다. 그에 따르면, 영혼의 이성적 부분은 뇌에, 기개적 부분은 심장에, 욕구적 부분은 간에 자리한다. 특기할 사항은 갈레노스가 이처럼 ‘갱신된’ 영혼삼분설을 해부학적 관찰과 실험을 통해 증명하려고 시도했다는 것이다. 그는 무엇보다도 신경의 원천이 뇌라는 해부학적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영혼의 지휘부가 위치한 신체의 중심 기관을 둘러싼 철학계의 오랜 논쟁에 참여했고, 아리스토텔레스와 스토아의 심주설(心主說)에 반대하여 플라톤의 뇌주설(腦主說)을 옹호했다. 본 연구에서는 갈레노스의 옹호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 그것의 전제와 한계를 드러내고자 한다. 또한, 갈레노스가 플라톤 철학을 신체와 영혼의 건강을 증진하고 병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한에서 수용했음을 보일 것이다. 이런 의학적 관심에서 플라톤의 이론 철학 가운데 사변적 쟁점들은 갈레노스의 논의에서 제외되었다. 이런 식으로 갈레노스에게 플라톤 수용은 ‘의학적 플라톤주의’로 귀결되었고, 이것은 다시금 사변적 이론 없는 과학적, 실용적, 실천적 플라톤주의로 특징지어질 수 있다.

      • KCI등재

        행동의 자발성 —아리스토텔레스의 에우데모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송유레 한국서양고전학회 2019 西洋古典學硏究 Vol.58 No.2

        Aristotle’s concept of voluntariness (to hekousion) has been discussed mainly in connection with a theory of moral responsibility, focusing on the Nicomachean Ethics. In this paper, I approach the discussion of voluntariness in the Eudemian Ethics in terms of the generation or production of virtue. In view of Aristotle’s theory that the virtue of character is not given by nature or chance, but made through voluntary actions of the agent, voluntariness emerges as a condition for the possibility of moral maturity before it becomes a precondition for moral evaluation. In particular, I attempt to elucidate the concept of voluntariness by means of the concept of efficient cause based on the claim that the agent is the controlling principle or cause for the generation of voluntary action. An individual man as the agent turns out to be an efficient cause of voluntary action, to which is attributed a sort of causal responsibility, whereby ‘action’ (praxis) as a technical term means action based on rational thinking. Against the interpretation that in Aristotle’s theory of action causal responsibility has nothing to do with moral responsibility, I argue that in the case of voluntary action according to choice (prohairesis) moral or ethical responsibility is a theoretical consequence of causal responsibility. Besides, I oppose the claim that the concept of voluntariness in the Eudemian Ethics is the same as the one in the Nicomachean Ethics by pointing out some significant differences concerning the definitions of voluntariness and involuntariness and the analysis of the so-called mixed action between the two sister works of Aristotle’s ethics. In the light of Aristotle’s concept of voluntariness, I finally address the question of what it means to become a mature moral subject, that is, an adult in the moral sense. 아리스토텔레스의 자발성 개념은 주로 니코마코스 윤리학 을 중심으로 도덕적 책임 이론과 연관되어 논의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에우데모스 윤리학 에 제시된 자발성 논의를 덕의 생성 내지 산출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덕론에서 덕이 본성이나 우연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행위자 자신의 자발적인 행동을 통해 만들어진다는 점에 주목하여 자발성이 도덕적 평가의 전제 조건이기 이전에 도덕적 내지 윤리적 성숙의 가능 조건임을 주장할 것이다. 특히, 자발적인 행동에 있어 행위자가 행동의 성립 여부를 결정하는 원리이자 원인이라는 주장을 바탕으로 자발성 개념을 작용인(causa efficiens) 개념을 사용하여 규명하길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행위자는 자신의 자발적인 행동에 대해 인과적 책임이 귀속되는 작용인으로 드러날 것이다. 또한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행동 이론에서 인과적 책임이 도덕적 책임과 무관하다는 주장에 반대하여 선택에 따른 자발적 행동의 경우 도덕적 책임은 인과적 책임의 이론적 귀결임을 주장할 것이다. 나아가, 에우데모스 윤리학 의 자발성 개념이 니코마코스 윤리학 의 그것과 다르지 않다는 해석에 반대하여 아리스토텔레스의 자발성과 비자발성의 개념 규정 및 소위 ‘혼합 행동’에 대한 분석에서 나타나는 몇 가지 유의미한 차이점을 지적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아리스토텔레스의 자발성 개념에 비추어 성숙한 도덕적 주체가 된다는 것, 즉 도덕적 의미에서 어른이 된다는 것의 의미를 반성하고자 한다.

      • KCI등재

        플로티누스의 휘포스타시스 개념

        송유레 한국중세철학회 2019 중세철학 Vol.0 No.2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Plotinus’ concept of hypostasis. ‘Hypostasis’ is known as a technical term indicating three metaphysical principles, the One, Intellect and Soul in the so-called ‘Theory of Three Hypostases’ attributed to Plotinus. The three principles, regarded as divine, have been compared to the Christian Trinity. Indeed, the word ‘hypostasis’ is employed in the Trinitarian doctrine to indicate three persons. In the following, I first argue that Plotinus never claimed the so-called ‘Theory of Three Hypostases.’ It follows that Plotinus’ concept of hypostasis cannot be clarified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concept of person. Next, I present a brief history of the term ‘hypostasis’ before Plotinus, focused on the philosophical usages in Posidonius and Alexander of Aphrodisias. I then turn to Plotinus’ texts and attempt to discern the meanings of ‘hypostasis’. It is argued that Plotinus uses ‘hypostasis’ to mean existence in contrast to essence, while trying to differentiate meanings of ‘ousia’. In addition, Plotinus links the concept of existence to the concept of reality, ruling out fictional or mental beings. In short, Plotinus’ hypostasis means ‘real existence’ or ‘real existent.’ Finally, I conclude with a brief reflection on Plotinus’ first principle, which is said to be ‘beyond Being’ and ‘before existence or reality. 본 논문의 목적은 플로티누스의 휘포스타시스 개념을 규명하는 것이다. ‘휘포스타시스’는 플로티누스의 소위 ‘세 가지 휘포스타시스 이론’에서 세 가지 형이상학적원리들인 하나, 정신, 영혼을 지시하는 전문 용어로 알려져 있다. 이 세 원리들은신성으로 간주된 점에서 그리스도교의 성삼위(Trinty)에 비교되었다. 실제로, ‘휘포스타시스’는 성삼위의 ‘위격’( )을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아래에서 우리는우선 플로티누스가 ‘세 가지 휘포스타시스 이론’을 제시한 적이 없음을 보일 것이다. 다음으로 우리는 플로티누스 이전까지 ‘휘포스타시스’ 용어의 역사를 간략히 소개할 것이다. 특히, 포세이도니오스와 아프로디시아스의 알렉산드로스의 용법에주목할 것이다. 이어서 플로티누스의 원문에 나타난 어휘 분석을 통해 휘포스타시스개념을 규명하길 시도할 것이다. 이를 통해, 플로티누스의 ‘휘포스타시스’는 존재의의미 가운데 본질(esentia)이 아니라, 그와 대비되는 의미에서 존재 내지 실존(existenia)에 해당하며, 관념상의 존재에 대비되는 실재(reality)로 드러날 것이다. 요컨대, 플로티누스의 ‘휘포스타시스’는 실제로 있음 또는 실제로 있는 것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존재의 저 너머에’ 자리하고 ‘실재에 앞서는’ 것으로 제시된플로티누스의 최고신에 대한 반성과 함께 글을 맺을 것이다.

      • KCI등재

        악(惡)의 기원에 관한 플로티누스의 이론

        송유레 한국중세철학회 2012 중세철학 Vol.0 No.18

        It is well known that the Neoplatonic notion of evil as privation of the good had important effects on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medieval theory of evil. However, it has been often overlooked that the Neoplatonic theory of evil in its medieval reception is different from the theory of Plotinus, the founder of Neoplatonism. As a side-effect, anachronistic attempts to interpret Plotinus’theory in the light of the Christian conception have triggered misunderstandings and misrepresentations of it. In fact, the origin of the Neoplatonic theory of evil in the Middle Age is to be taken as a critical reaction to Plotinus’ theory within the Neoplatonic tradition. This paper tries to reconstruct Plotinus’ theory of evil on the basis of his own writings. Particular attention is paid to the issue of the origin of evil, which makes it clear how Plotinus’ position differs from that of his followers, for example Augustine and Proclus. It is shown that Plotinus is a dualist in so far as he posits a principle of evil besides the principle of good, but nonetheless a monist in so far as his principle of evil comes ultimately from the principle of good. His monistic theory of emanation amounts to a paradoxical claim that the Good produces evil, which is rejected by most of his Neoplatonic followers. This paper seeks to elucidate the theoretical grounds for such a paradox in Plotinus. 선의 결여로서의 악이라는 신플라톤주의적 관념이 중세 철학의 악 이론의 형성과전개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하지만 신플라톤주의의 주창자인 플로티누스의 악 이론이 중세에 계승된 신플라톤주의적 악 이론과 상이하다는점은 자주 간과되었다. 사실, 중세의 신플라톤주의적 악 이론의 연원은 플로티누스의 이론이 아니라, 그것에 대한 그의 후예들의 비판적 대안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있지 않다. 그 결과, 기독교적 관념에 비추어 플로티누스의 이론에 접근하려는 ‘현대적’ 시도가 오히려 그것에 대한 오해와 왜곡을 초래하기도 했다. 본 논문은 그러한 시대착오적인 접근법에 반하여, 플로티누스의 악 이론을 그가 직접 남긴 논의 자체로부터 재구성하고자 한다. 특히, 악의 기원에 대한 논의에 주목함으로써 플로티누스의 입장과 프로클로스와 아우구스티누스를 비롯한 다른 신플라톤주의자들의 입장간의 차이를 드러내고자 한다. 플로티누스는 선의 원리 외에 악의 원리를 상정한다는 점에서 선악이원론자이지만, 악의 원리를 포함한 만물이 궁극적으로 선의 원리에서 산출되었다는 점에서 일원론자이다. 그의 일원론적 유출설은 결국 선이 악을 산출한다는 역설적인 주장을 낳았고, 이 주장은 그의 후예들에 의해 거부되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역설적인 주장의 이론적 근거를 규명하고자 시도할 것이다.

      • KCI우수등재

        악덕의 자발성 ‒아리스토텔레스의 반-소크라테스적 논증‒

        송유레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4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Aristotle’s argument for the voluntariness of vice as presented at the beginning of Nicomachean Ethics iii 5. This argument has been criticized not only for involving a conceptual confusion between action and character, but also for being inconsistent with his position as advanced elsewhere. The argument follows an opening argument for the voluntariness of virtue, which is also accused of deriving the voluntariness of virtue of character as a conclusion of the argument for the voluntariness of virtuous action. In response to these criticisms, I first suggest that the opening argument uses a kind of enthymeme, whose missing premise is to be found in the subsequent discussion of EN iii 5, a premise which is supposed to be known to everybody except an utterly insensible man. I then try to reconstruct the argument for the voluntariness of vice as an ad-hominem argument targeting Socrates. Particularly, I draw attention to the pseudo-Platonic dialogue On Justice, where Socrates defends the involuntariness of vice, while treating acting virtuously as equivalent to being virtuous. I suggest that Aristotle exploits this point in his ad-hominem argument, a point, to which he does not need to commit himself and cannot, insofar as he wants to be consistent with his own position as advocated in EN iii 5 and elsewhere. 본 논문의 목적은 아리스토텔레스가 니코마코스 윤리학 3권 5장에서 초반부에 제시한 악덕의 자발성 논증을 고찰하는 것이다. 이 논증은 성격과행동을 개념적으로 혼동했을 뿐만 아니라, 다른 곳에서 제시된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과 상충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이 논증에 선행하는 덕의 자발성 논증또한 덕행의 자발성을 입증할 뿐인데 덕의 자발성을 결론으로 도출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우리는 이러한 비판에 맞서 우선 선행 논증에서 일종의 생략추론(enthymeme)이 사용되었고, 논증에서 생략된 전제는 3권 5장의 후속 논의에서완전히 몰지각한 사람 외에 누구나 아는 것으로 간주된 것이라는 해석을 제안한다. 다음으로 우리는 악덕의 자발성 논증을 소크라테스를 겨냥한 대인 논증(ad-hominem argument)으로 재구성하길 시도한다. 특히, 위(僞)-플라톤의 대화편 정의에 관하여 에서 소크라테스가 악덕의 비자발성을 옹호하면서 유덕하게행동하는 것과 유덕한 것을 등치시킨 점에 주목할 것이다. 우리는 아리스토텔레스가 이 점을 자신의 대인 논증에서 이용했지만, 이 점을 스스로 인정할 필요가 없었고, 자신의 입장을 일관적으로 유지하길 바라는 이상, 그럴 수도 없었다고 주장한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에토스에 관한 철학: 윤리학의 기원과 교육의 문제

        송유레 한국서양고전학회 2021 西洋古典學硏究 Vol.60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origin of ethics. To this end, I pay attention to the etymology of ‘ethics’, which is traced back to the Greek word ‘êthikos’, the adjective cognate with ‘êthos.’ In fact, ethics has appeared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as a philosophy about êthos. In this regard, two questions arise: First, what is êthos? Second, why there was a need for a philosophy dealing with êthos? Concerning the first question, I attempt to establish the thesis that ‘êthos’, regarded as the object of ethics, means character, although the term can refer to customs or habits etc. From this perspective, ancient ethics emerges as a philosophy about character or personality, not as a philosophy about customs, as has been claimed. As to the second question, I claim that education was the main concern at the beginning of ethics. In support of this, I link the concept of character to the concept of virtue, and shed a light on discussions about virtue by referring to the context of the debate over the ideal and method of education in the Greek classical period.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ethics started as a philosophy about character, but developed as a more comprehensive discipline which studies also habits and customs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Finally, I conclude by briefly assessing the bearing of the search for the origin of ethics on the contemporary discussion about what ethics is and does. 본 논문의 목적은 윤리학의 기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윤리학’(倫理學)으로 번역된 영어 ‘ethics’의 어원에 주목하고자 한다. ‘ethics’는 희랍어 ‘êthikos’로 거슬러 올라가며, 이것은 명사 ‘êthos’에서 파생한 형용사이다. 사실상, 윤리학은 ‘에토스’(êthos)에 관한 철학으로 서양 철학사에 등장했다. 이와 관련해서 다음 두 가지 질문이 제기된다. 첫째, 에토스란 무엇인가? 둘째, 왜 에토스를 다루는 철학이 필요했는가? 첫 번째 질문과 관련해서 우리는 윤리학의 대상으로 지목된 에토스는 관습이나 습관이 아니라, 성격을 의미한다는 주장을 확립하길 시도할 것이다. 이런 시각에서 고대 윤리학이 성격 내지 사람됨에 관한 철학이었음이 드러날 것이다. 두 번째 질문과 관련해서 우리는 윤리학의 발단에 있어 교육이 주된 관심사였음을 주장할 것이다. 이 주장을 지지하기 위해 우리는 성격 내지 사람됨의 개념과 덕 개념을 연결시키고, 덕에 대한 논의를 희랍 고전기의 교육 이상과 방법을 둘러싼 논쟁의 맥락에서 조명할 것이다. 나아가, 우리는 윤리학이 성격에 관한 철학으로 시작했지만, 교육적 관점에서 습관과 관습의 문제를 포괄하는 철학으로 전개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윤리학의 기원에 대한 탐색이 덕 윤리를 둘러싼 현대 논의에 어떤 의미를 지닐 수 있을지 짧게 가늠하고자 한다.

      • KCI등재

        갈레노스의 인간애(philanthrôpia) 관념과 의술의 목적

        송유레 인제대학교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022 인간 · 환경 · 미래 Vol.- No.29

        Galen introduces love for humans (philanthrôpia) as a pivotal motive for medical practice and attempts to establish medicine as a ‘philanthropic’ ar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First, I make clear that while health is the specific goal of medicine, what is beneficial for humans is the general goal of the art of caring for humans. Next, it is shown that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has the basic meaning of a disposition to benefit and help fellow humans in adversity, and includes the related meanings of generosity and kindness, but is distinct from feelings of compassion or pity. In addition, it is argued that the key elements constituting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are to be found already in the literature of the Greek classical period. This suggests that Galen, who was active in the Roman Imperial period, established a model of the ‘philanthropic’ philosopher-doctor by appealing to the ideas of the Greek classical period. Based on this, I suggest that Galen’s conception of love for humans crystalizes classical thoughts about the goal and function of art (technê) in general. I conclude that it is not simply an anachronistic error on his part to attribute this love for humans to classical doctors including Hippocrates. 갈레노스는 인간애philanthrôpia를 의료 행위의 중추적인 동기로 도입하고, 의술을 ‘인간애적 기술’technê philanthrôpos로 확립하길 시도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을 규명하는 것이다. 우선, 우리는 건강이 의술 고유의 목적인 데 비해, 인간에게 이로운 것이 인간을 돌보는 기술 일반의 목적임을 밝힐 것이다. 이어서, 우리는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이 역경에 처한 인간들에게 이로움을 주려는 마음 자세, 즉 선행의 성향을 기본 의미로 하며, 이에 더해 관후와 친화의 의미를 포함하지만, 동정이나 연민의 감정과는 구분됨을 보일 것이다. 이와 더불어,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들이 이미 고전기 문헌에서 발견된다는 사실이 드러날 것이다. 이는 로마 제정기에 활동한 갈레노스가 철인 의사哲人 醫師의 모범을 정립하기 위해 인간애 관념을 구성하면서 무엇보다도 그리스 고전기 관념들에 호소했음을 암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갈레노스의 인간애 관념이 기술 일반의 목적과 기능에 대한 고전기 사유들이 집약된 결정체라는 해석과 더불어, 갈레노스가 이러한 인간애를 히포크라테스를 비롯한 고전기 의사들에게 귀속시킨 것이 단순히 시대착오적인 오류가 아니라는 결론을 제안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