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생의 교우관계 변화와 영향요인에 대한 종단적 분석

        송영명 ( Young Myung Song ),이현철 ( Hyun Chul Lee ),오세희 ( Se Hee Oh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e on peer relationship and its longitudinal change in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using a sample from KYPS(Korea Youth Panel Survey)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peer relationship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 quadratic curve. Also,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intercept and slope of peer relationship is -.637 bu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nalysis of Latent Growth Models shows that self-esteem, parental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relationship are found to b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 on the intercept of peer relationship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eer relationship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 a quadratic curve and various factors such as self-esteem, parental relationship, academic achievement, and teacher relationship are much more influential on it.

      • KCI등재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업소진이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송영명(Young-Myung SONG),정성수(Sung-Soo JUNG)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13 水産海洋敎育硏究 Vol.25 No.1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 the differences of th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happiness between gifted and general students, and also to explore the effects on school happiness of their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burnout. To resolve the above research questions,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 method to 256 1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nd 84 gifted students enroll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All data were analyzed by SPSS WIN 19.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astery goal, performance-approach goal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Second, all sub-variables of academic burnout except hostility and total score of academic burnout of the gifted students were lower than the general students. On the other hand, all sub-variables of school happiness except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emotional stability and total score school happiness of the gifted students were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Thir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achievement goal and academic burnout explain considerable amount of students’ school happiness. In other words, the disfavor and skeptical attitude of general students for the study hinder school happiness. Lastly, this study suggest that some program or consulting need to be administerd to change the affective attitude of students into positively. And also variety of counselling program or some instructions dealing with stress for gifted students since the exhaustion of gifted students affects considerably their school happiness.

      • KCI등재

        대학생의 대학 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전공 및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송영명(Youngmyung Song),유신복(Yu Shin-bok),김명주(Kim. Myeongj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대학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 활동이 전공 수업만족도와 교양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차별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한 교수-학습역량 진단도구(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를 통해 2016년 5월 26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수집된 D대학의 4차년도(2016년) 자료를 활용하여, 전공 수업만족도와 교양 수업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2개의 중다회귀모형을 분석하였다. 먼저 분석결과 대학생의 전공 수업 만족도와 교양 수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차별적임을 확인하였다. 즉 대학생의 전공 수업만족도에는 대학몰입, 교수-학생 상호작용, 능동적・협력적 학습활동이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교양 수업만족도에는 대학몰입과 교수-학생 상호작용만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university students institution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s, and posi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on the satisfaction of major classes and liberal arts classes differentially. For the above purpose, 3rd year data of D university collected through the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NASEL) provid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actors that affect the satisfaction level of university students major classes and liberal arts classes are discriminatory. In other words, institutional commitment,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and positive and collaborative learning activities all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college students major classes, but only institutional commitment and professor-student interaction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 KCI등재

        대학생의 온라인 수업만족도 및 학습성과 영향 요인 분석

        송영명(Youngmyung S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4

        목적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들의 온라인 수업 구조요인과 과정요인이 성과요인(온라인 수업만족도,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상북도 소재 대학생 3,26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수업의 구조요인과 과정요인이 성과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구조요인(효과적인 수업전략, 온라인 시스템 구조화)과 과정요인(자기주도학습, 유의미학습, 학업동기)이 성과요인(온라인 수업만족도, 학습성과: 지식 및 기술 습득, 미디어 역량,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차별적 영향력을 탐색하기 위하여 각 모형의 중다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결과 구조요인 및 과정요인은 온라인 수업만족도 총변화량의 55%를 설명하였다. 구조요인 및 과정요인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각각 전공⋅직업 관련 지식 및 기술 습득 총변화량의 40%, 미디어 역량 총변화량의 19%, 비판적⋅분석적 사고력 총변화량의 33%, 문제해결력 총변화량의 35%를 설명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논의와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와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색하여 향후 대학의 온라인 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college students' online class structure factors and process factors on on outcome factors(online class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Methods For the above purpose, the data of D university collected through 2021 Korea-National Survey of Student Engagement(K-NSSE) was used. Structure factors and process factors were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effects on outcome factors(online class satisfaction, learning outcomes) were analyzed using multiple regression models. Results Structural and process factors explained 55% of the total change in online class satisfaction. In the case of the effect of structural factors and process factors on learning outcomes, 40% of the total change in knowledge and skills related to major and job, 19% of the total change in media competency, 33% of the total change in critical and analytic thinking skills, and total change in problem-solving competency.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rovement directions were discussed and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And this study was to provide empirical inform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online classes in universities in the future by exploring factors that affect online class satisfaction and learning outcomes.

      • KCI등재

        한국과 미국의 대학 내 창업교육 분석 연구

        송영명(Young-Myung SONG),김예슬(Ye-Seul KIM)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2020 水産海洋敎育硏究 Vol.32 No.4

        This study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n and American universities, and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development method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Methods such as literature analysis and university information disclosure data analysis were used as research method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number of universities that opened entrepreneurship courses in Korean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e number of courses in entrepreneurship courses, the number of students completed, and the number of entrepreneurs and entrepreneurs showed steady quantitative growth. Compared to the external quantitative growth, there are very few entrepreneurship training experts and support personnel. In addition, in the case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rganized in regular curriculum, there are more theoretical subjects compared to practical subjects. Therefore, in order to revitalize entrepreneurship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ompetence required for experts in entrepreneurship and to make more long-term and systematic efforts to construct and operate the curriculum based on thi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rganize and organize th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organized as regular subjects and entrepreneurship-related comparisons and programs consisting of practice or participation, so that complementary support is possible.

      • KCI등재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대한 학습과정 변인 분석

        송영명(Song, Youngmy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8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에 학습참여활동(수업에서 다른 학생과의 협력 및 상호작용, 수업 중 사고력 증진활동, 수업태도, 학습 스터디 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대학의 학습지원 만족도 등 학 습과정 요인들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교육개발 원에서 제공한 교수-학습역량 진단도구(NASEL: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 Engagement)를 통해 수집된 D대학의 3차년도(2015년) 자료를 활용하여, 인지적 학습성과와 비인지적 학습성과를 종속변인하고, 종속변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독립변인으로 하여 2개의 중다회귀모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수업에서 다른 학생과의 협력 및 상호작용을 제외한, 수업 중 사고력 증진활동, 수업태도, 학습 스터디 활동, 교수와의 상호작용, 수업만족도, 대학의 학습지원 만족도가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교수와의 상호작용은 다른 독립변인에 비하여 인지적․비인지적 학습성과에 미치는 상대적 기여도가 가장 높았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향에 대하여 논의하였으며,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Cognitive Learning Outcomes and Non-cognitive Learning Outcomes of university education. The factors inserted analysis were Student-Student Collaborative Learning and Interaction, Thinking skill activities in-class, Active Participation, Group Study, Student-Faculty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Student Support. To achieve the above goals, this study analyzed the D university data using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collected and provided by KEDI NASEL(a survey of National Assessment of Students’ Engagement in Learning) in 2015.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inking skill activities in-class, Active participation, Group study, Student-faculty interac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and Satisfaction with student support were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cognitive learning outcomes and non-cognitive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results, this paper discussed academic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 KCI등재

        수업개선보고서(CQI) 시스템 개선방안 연구

        송영명(Song, Youngmyung)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3

        연구목적: 학부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체계 구축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교수의 수업 역량을 제고하고 학생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인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목적은 A대학교의 CQI 구조 및 원리를 소개하고, CQI에 대한 교원들의 인식과 요구조사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운영되고 있는 A대학교 CQI 사례와 관련 지침 및 규정을 탐색함으로써 CQI를 도입·운영하고자 하는 대학들에게 그 적용 방안에 대한 접근법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연구결과: 첫째, A대학교의 CQI 구조 및 시스템을 파악, 둘째, 2017학년도 2학기에 교수자가 작성한 강의계획서의 CQI(전년도 강의에 대한 평가 및 분석과 금년도 강의에 반영)의 작성 현황을 분석, 마지막으로 CQI 시스템에 관련하여 A대학교에서 최근 5년에 베스트티칭프로페서상을 수상한 교원 72명을 대상으로 CQI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40명의 결과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A대학교의 수업계획서 작성시 포함되어 있는 이전강의에 대한 자기평가와 이번학기 강의개선사항을 포함한 수업개선보고서(CQI)를 학생의 핵심역량 기반의 평가항목을 포함하여 체계적으로 개선하는 시스템 구축이 필요함을 도출하였으며, 둘째, 2017학년도 2학기 CQI 작성현황을 분석한 결과, CQI 작성비율이 20.1%로 나타났으며, 셋째, 인식 및 요구조사의 결과를 토대로 시스템 변경과 제도적 개선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CQI 시스템 개선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Purpose: Recently, the need for CQI(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has emerged as the importance of supporting teaching and learning to improve undergraduate education and establishing a quality management system for education has increased.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grasp the problem of teaching and learning by identifying the CQI system of ’A university’ and ultimately to effectively achieve learning outcomes of learners. Resul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to accomplish the purposed described above were as follows. First, grasping the CQI structure and system of ’A university’, and second, analyz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CQI of the syllabus prepared by the instructor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7, and finally, CQI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was conducted on the 72 Best Teaching Professor Award in the last 5 year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nalyzing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 systematic system such as including the core competency evaluation items of students in the lecture improvement plan(CQI).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tatus of CQI preparation for the second semester of 2017, the ratio of CQI preparation was 20.1%, and finally, suggested improvements for the system change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cognition and demand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suggest implications to improve the CQI system, and provide basic data for strengthening support in related departments within the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학습부진학생의 부모관련 변인 및 개인의 심리적 변인이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영향

        송영명 ( Young Myung Song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1

        본 연구는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손상전략에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 특성(부모의 성취압력과 통제) 및 심리적 특성(수행회피지향성 및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 변인을 선행연구를 통해 탐색하고, 이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자료를 기반으로 연구하였으며, 이 자료는 층화군집무선추출법으로 추출된 우리나라 150개 중학교에 재학 중인 6,908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3차년도 데이터(중학교 3학년)를 바탕으로 ``학생 평가지(교사가 대상학생을 평가)`` 의 국어, 수학, 영어 주요과목 중 한 과목이라도 교과부진학생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다고 선택된 학생 573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결과 부모통제는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β=.124, p<.05)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은 수행회피목표(β=.369, p<.001)와 자기손상전략(β=.261, p<.001)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리고 수행회피목표가 자기손상전략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β=.212, p<.001) 역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부모통제변인의 경우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지능에 대한 고정신념의 경우 자기손상전략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수행회피목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use of the underachievement by analyzing the structural relations among parental performance pressure, parents` control, performance-avoidance goal, beliefs about intelligence entity, self-handicapping strategies. Using the 3rd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this study selected 573 students experienced instruction for underachiever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is study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control and beliefs about intelligence entity(β=.124, p<.05). Secondly, the belief about intelligence entity is affecting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β=.369, p<.001) and self-handicapping strategies(β=.261, p<.001). Thirdly, parents` control variable is affecting indirectly through beliefs. Fourthly, the beliefs about intelligence entity affect directly self-handicapping strategies, and also indirectly affect through the performance-avoidance goal.

      • KCI등재

        특목고 학생의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교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송영명(Young Myung Song) 한국교육심리학회 2011 敎育心理硏究 Vol.25 No.3

        본 연구는 특목고 학생들의 성별과 학생이 지각한 가정형편에 따른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 및 학교행복감의 집단 간 차이를 분석하고, 부모-자녀 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이 학교행복감의 하위변인인 친구관계, 교사관계, 학습의 즐거움, 심리적 안정과 학교행복감 전체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특목고(과학고와 외국어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1.427명으로 측정도구는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 학교행복감 검사를 활용하였다. 성별과 학생이 지각한 가정형편에 따른 집단 간 차이 분석은 독립표본 t 검정과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인의 학교행복감에 대한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학교행복감의 경우 학교행복감 전체점수와 학교행복감 하위요인 중 교사관계, 학습의 즐거움, 심리적 안정 등에 있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또 학생이 지각한 가정형편에 따라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 학교행복감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부모-자녀관계, 자아탄력성, 학업적 유능감은 학교행복감 전체 및 학교행복감 하위요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행복감 하위요인별로는 친구관계와 심리적 안정과 같은 대인관계와 같은 인성 요인 및 긍정적 정서유지는 자아탄력성의 상대적 영향력이 컸으며, 학업을 통하여 인정을 받는 교사관계와 학업에 관련된 학습의 즐거움의 경우 학업적 유능감의 상대적 영향력이 컸다.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differences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tudy competence of the special purpose high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sex and household economical status, and also see the impacts of academically talented students`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tudy competence on school happiness. The measurement of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study competence and school happiness survey were used to 1,427 students of science and foreign high schools. And two-independent samples t-test, one-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nalyze the group differenc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ego-resilience of female students were higher than male students but male students showed higher in total score of school happiness, and in relationship with teacher, pleasure of academic activity and emotional stability of school happiness. Secondly,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study competence and school happiness were different in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household economical status. Lastly, parent-child relationship, ego-resilience and study competence had impact on the total score of school happiness and also the sub-variables of school happiness. Specifically, relationship with friendship, emotional stability and emotional maintaining were influential to the ego-resilience relatively, and relationship with teacher and pleasure of academic activity were influential to the study competence rela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