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복구 가능한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 설계 및 성능 평가
지상묵(SangMoog Ji),송영근(YoungKeun S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본 논문은 분산 공유 메모리 환경에서 시스템의 결함에 대해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본적인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으며, 제안하는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 알고리즘은 메모리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타 블럭이 손실 되었을 경우에 복구가 가능하면서, 오버 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데이타 블록을 중복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데 드는 비용을 통신 비용으로 산출하였으며, 기본적인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 알고리즘들과 비교 평가하여 네트워크 통신량이 감소됨을 보였다.
이경표(Kyungpyo Lee),송영근(Youngkeun Song),한우리(Woori Han),이성주(Sungjoo Lee) 한국통신학회 201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8 No.1C
최근 효율적인 R&D와 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미래기술을 예측하고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하는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 분야는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고 적용영역이 광범위하여 유망기술 발굴이 더욱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관련연구나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선통신 분야의 미래유망기술 발굴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2020년 무선통신 분야 10대 유망기술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STEEP 관점에서 미래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둘째, 주요 이슈 별 사용자 니즈를 도출하였다. 셋째, 사용자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들로 유망기술 후보군을 구성한 뒤 기술성과 경제성 평가를 통해 이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0대 유망기술을 선정하고 선정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활용하던 기술주도(technology-push) 접근법 아닌 시장주도(market-pull) 접근법을 활용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을 것이며, 연구결과는 무선통신 산업 내 전략적,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t becomes essential for firms or nations to forecast the future and identify emerging technologies in order to improve R&D efficiency and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Particularly, the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rapid advance and wide application of its technology and thus identifying emerging technologies is more important in the industry than in others. Nevertheles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lore its emerging technologi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identify the future and emerging technologies especially for the industry and applied it to list top ten emerging technologies for 2020 in the industry. For this purpose, firstly, we focused the key issues in the future targeting 2020 and identified user needs relating to them. Then, candidates of emerging technologies were defined from a set of technologies to meet the needs, for which technolog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is assessed to determine their priorities. Finally, the top ten most important technologies were selected and verified. This research is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takes a market-pull approach instead of a technology-push approach.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support strategy- and policy-makings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김태식(TaeSig Kim),송영근(YoungKeun S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는 포인터 데이타의 전달이 용이하며 데이타 블럭의 지역성(locality)을 이용하여 통신량을 줄일 수 있는 분산 공유메모리 모델을 구축키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 커널과 응용프로그램 입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지역성을 최대로 이용 할 수 있는 DSMS(Distributed Shared Memory Server)를 제안하고, 성능 분석을 통해 메세지 통신량이 감소됨을 보였다.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외부 메모리 관리자 설계 및 구현
지병준(ByoungJun Ji),송영근(YoungKeun S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기존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는 대부분 커널내에서 실행되어 사용자 계층에서 직접 특정 메모리의 접근, 할당 및 회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사용자 계층에서 보다 융통성 있는 자료 관리와 다양한 데이타 형태의 표현및 접근하는데 제약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커널에서 관리하던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간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계층으로의 이동과 분산 시스템 내의 메모리들을 사용자 계층에서 관리하는 외부 메모리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기술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