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 가능성 - 경기도 민물고기생태학습관 중심으로 -

        김가우 ( Gawoo Kim ),송영근 ( Youngkeun Song )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2021 환경영향평가 Vol.30 No.1

        본 연구는 환경DNA 기술을 이용한 국내 담수어류종 탐지방법 도입 및 적용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환경DNA를 이용한 모니터링 기술은 기존의 현장조사 모니터링 방식에 비하여 교란이 적고 편의성이 높으며 조사에 대한 감도가 높아 급변하는 하천 생태계 모니터링을 위한 효율적인 방법으로 주목 받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경기도 민물고기 생태학습관으로 수족관 내 수조, 생태연못, 양식장에 서식하는 국내 대표적 담수어류종에 대해 7월부터 10월까지 3차례의 물 환경시료를 수집하여 환경DNA 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담수생태계의 다양한 서식환경을 고려하여 선정된 종에 대해 기 구축된 유전자생물종 DNA 염기서열 특성을 검토하고, 종 검출 여부 확인을 위해 채수된 16개의 환경시료를 Miya et al(2015)에서 제시된 환경DNA 분석 프로토콜에 준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상 어종 총 7목 11과 50종 중 7목 11과 45종(90%)이 검출되었다. 이는 환경DNA 기술과 기 구축된 어류종 DNA DB를 활용하여 다양한 환경 조건에서도 단순한 채수 샘플링으로부터 국내 서식하고 있는 주요 민물고기 어종이 검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나아가 실험 중 발생된 수족관 내 시료 오염, 불균질한 DNA 채집, 생물종 유전자정보 누락 등의 오차요인들을 분석하여 자연환경에서 적용 시 앞으로의 보완 방향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This study focused on verifying the identification of freshwater fish species in Korea using Environmental DNA (eDNA) technique. The research of DNA is increasing in the field of ecology, since this is more sensitive of identify rather than traditional investigation method. Which is difficult to detect species hidden in water and be easily influenced by diverse factors (sites, bad weather, researchers and so on). We applied the pilot test in aquarium (Freshwater Fish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Yangpyeong, Gyeonggi Do), where freshwater fish species are inhabits. We conducted to sampling and analyzing the sixteen water samples (50 species from 7 orders and 13 families) using MiFish primer set. The results showed that 45 species (90%) was investigated by eDNA. It highlight that eDNA with universal primer is possible to detect freshwater fish species of Korean. However, the errors on species identification seems to be caused by the primer that be not suited perfectly and the pollution such as aquarium, sampling collectors.

      • 복구 가능한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 설계 및 성능 평가

        지상묵(SangMoog Ji),송영근(YoungKeun S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2

        본 논문은 분산 공유 메모리 환경에서 시스템의 결함에 대해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기본적인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으며, 제안하는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 알고리즘은 메모리 일관성을 유지하면서 데이타 블럭이 손실 되었을 경우에 복구가 가능하면서, 오버 헤드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데이타 블록을 중복시키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복구가 가능하도록 지원하는데 드는 비용을 통신 비용으로 산출하였으며, 기본적인 분산 공유 메모리 서버 알고리즘들과 비교 평가하여 네트워크 통신량이 감소됨을 보였다.

      • KCI등재

        2020년 미래 무선통신 유망기술 발굴

        이경표(Kyungpyo Lee),송영근(Youngkeun Song),한우리(Woori Han),이성주(Sungjoo Lee) 한국통신학회 2013 韓國通信學會論文誌 Vol.38 No.1C

        최근 효율적인 R&D와 경쟁력 확보를 목적으로, 미래기술을 예측하고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하는 활동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무선통신 분야는 기술발전 속도가 빠르고 적용영역이 광범위하여 유망기술 발굴이 더욱 중요함에도 불구하고, 국내에는 관련연구나 사례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무선통신 분야의 미래유망기술 발굴 방법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여 2020년 무선통신 분야 10대 유망기술을 도출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STEEP 관점에서 미래 주요 이슈들을 도출하고, 둘째, 주요 이슈 별 사용자 니즈를 도출하였다. 셋째, 사용자 니즈를 만족시키기 위한 기술들로 유망기술 후보군을 구성한 뒤 기술성과 경제성 평가를 통해 이들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으며, 마지막으로 10대 유망기술을 선정하고 선정결과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주로 활용하던 기술주도(technology-push) 접근법 아닌 시장주도(market-pull) 접근법을 활용하여 유망기술을 발굴하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방법론적 의의가 있을 것이며, 연구결과는 무선통신 산업 내 전략적, 정책적 의사결정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Recently, it becomes essential for firms or nations to forecast the future and identify emerging technologies in order to improve R&D efficiency and gain a competitive advantage. Particularly, the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is characterized by rapid advance and wide application of its technology and thus identifying emerging technologies is more important in the industry than in others. Nevertheless, few attempts have been made to explore its emerging technologies. Therefore,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 methodology to identify the future and emerging technologies especially for the industry and applied it to list top ten emerging technologies for 2020 in the industry. For this purpose, firstly, we focused the key issues in the future targeting 2020 and identified user needs relating to them. Then, candidates of emerging technologies were defined from a set of technologies to meet the needs, for which technological and economic feasibility is assessed to determine their priorities. Finally, the top ten most important technologies were selected and verified. This research is distinct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that it takes a market-pull approach instead of a technology-push approach.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to support strategy- and policy-makings in the mobile communications industry.

      • 분산 공유메모리 서버 설계

        김태식(TaeSig Kim),송영근(YoungKeun S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1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8 No.1

        본 연구는 포인터 데이타의 전달이 용이하며 데이타 블럭의 지역성(locality)을 이용하여 통신량을 줄일 수 있는 분산 공유메모리 모델을 구축키 위한 연구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서 커널과 응용프로그램 입장에서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지역성을 최대로 이용 할 수 있는 DSMS(Distributed Shared Memory Server)를 제안하고, 성능 분석을 통해 메세지 통신량이 감소됨을 보였다.

      • 분산 시스템 환경에서 외부 메모리 관리자 설계 및 구현

        지병준(ByoungJun Ji),송영근(YoungKeun Song),김영찬(YoungChan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2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9 No.1

        기존 운영체제의 메모리 관리는 대부분 커널내에서 실행되어 사용자 계층에서 직접 특정 메모리의 접근, 할당 및 회수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이것은 사용자 계층에서 보다 융통성 있는 자료 관리와 다양한 데이타 형태의 표현및 접근하는데 제약을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운영체제의 커널에서 관리하던 주기억장치와 보조기억장치간의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계층으로의 이동과 분산 시스템 내의 메모리들을 사용자 계층에서 관리하는 외부 메모리 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에 대해서 기술한다.

      • KCI등재

        도시정원 도입을 위한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 네트워크 구축 가능성 평가

        최희준 ( Heejoon Choi ),이정아 ( Junga Lee ),손희정 ( Heejung Sohn ),조동길 ( Donggil Cho ),송영근 ( Youngkeun Song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들의 경관생태학적 특성과 연결성을 분석함으로써 잠재적인 녹지패치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고, 이를 통해 생활권 내 녹지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도시정원의 도입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서 공원 서비스 소외지역 및 중점녹화지구로 분류된 역삼동 일대를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우선, 대상지 일대 고밀 시가화지역 내 녹지의 현황을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5개 항목으로 분류하여 파악하고, 녹지 네트워크 분석 및 잠재적 녹지의 가치를 평가하기 위하여 FRAGSTATS를 통한 경관지수 분석 및 다중버퍼생성분석을 통한 연결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지 내 녹지면적은 가로녹지, 개인정원, 자투리공지, 공원, 옥상정원의 순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녹지의 유형별 특징으로는 가로녹지의 경우 핵심지역면적 (TCA)이 1,618㎡로 가장 높은 값을 보여 선형 연결 녹지임에도 공원(1,128㎡)에 상응하는 크기를 보였고, 개인정원의 경우 패치의 모양이 불규칙하면서도(ED=78.1m/㏊), 최근린 평균거리가 33.9m로 낮아 사유지내에서의 자유로운 정원 조성을 통해 고밀 시가화지역의 녹지군을 형성할 수 있음을 나타내었다. 자투리공지의 경우 대상지 내 가장 고루 분포하는(LPI=5.7%, SHEI=0.9) 녹지유형이나 외부교란에 노출되어 있어(TCA=66㎡), 이를 고려한 정원으로의 활용 방안을 시사하였다. 대상지 내 녹지네트워크 형성에 있어서도 50m의 버퍼 범위를 연결녹지로 상정한 경우 전체 대상지의 84%가 소규모 녹지네트워크에 의해 커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자투리공지의 연결만으로도(27%) 가로녹지(26%) 조성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구축효과가 기대되었다. 이에, 주택지역을 중심으로 다양한 활동이 가능한 자투리 공공녹지에 지역기반의 커뮤니티 가든 등 도시정원 조성을 장려하고, 가로녹지, 개인정원, 옥상정원도 동시에 적극 활용함으로써 고밀 시가화지역 내에 녹지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구축할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een spaces with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and evalu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green patches, thereby introducing urban garden for generating green networks in residence areas. To this end, Yeoksam-Dong was selected as the site area since it is classified as both green initiative zone and alienated area of park service in Seoul. First, the current condition of green spaces in Yeoksam-Dong was identified by five categories: Street trees,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rooftop garden, and park. Then, the landscape index analysis through FRAGSTATS and connectivity assessment via multi-buffer zone analysis were carried out for analyzing the green networks and evaluating the potential value of green spa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gree to which green areas in the site were distributed is arranged in the order of street tree, private garden, public pocket garden, park, and rooftop garden. In case of the street trees whose total core area (TCA, 1,618㎡) is as high as the park`s (1,128㎡). Private garden has potential for green network in built up area of high density by gardening since the shape of the patches are irregular (ED = 78.1m/㏊) and the average distance among the patches is close (ENN=33.9m). Public pocket garden has also potential for gardening according to the result that it was found to be distributed evenly (LPI=5.7%, SHEI=0.9) with exposing external disturbance (TCA = 66㎡). For the green network, 84% of all the study site is covered by small green network in 50m butter range of connected green area. The effect of green network was expected through gardening in public pocket garden (27%) and street tree (26%). Accordingly, it is encouraged to actively utilize street tree, private gardens, and rooftop gardens and to establish the urban gardens like local-based community gardens in public pocket garden where a variety of activities can be carried out near residential areas. By doing so, green networks can effectively be established in built up area with high dens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positively to fostering the creation of various types of urban garde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