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그룹홈 시설장의 청소년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김수지,김민정,조인영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a qualitative analysis of group home directors' parenting experiences with adolesc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4 group home directors including two times group interviews and a personal interview about their parenting experiences and difficulties with adolescents in group home and analyzed using the phenomenological method. The results were 6 theme categories, 16 lower categories, and 52 meaning units. Theme categories were (1) a border line between substitutive parent and professional relationship with adolescents, (2) going through a stormy period of puberty with adolescents, (3) prohibited corporal punishment, (4) the rearing of adolescents and burn out, (5) conflicts with group home adolescents's biological families, (6) a group home mother as a role model of adolescents Discussions highlighted implications and further suggestions based on the results. 본 연구는 그룹홈을 운영하는 시설장들이 그룹홈의 청소년을 양육하는 경험과 어려움을 현상학적 방법으로 분석하여 시설장들의 주관적 시각에서의 경험의 본질에 대해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4명의 그룹홈 시설장들을 대상으로 그룹홈에서의 청소년 양육경험에 대하여 2회의 집단면담과 1회의 개별면담을 실시하여 면담 전사본과 관찰노트를 심리학적 현상학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52개의 의미단위로 묶여 16개의 주제를 범주화하였고, 이를 토대로 최종적으로 6개의 본질적 주제를 도출하였다.: (1) 대리 부모와 직업적 관계의 경계선, (2) 질풍노도의 청소년기를 함께 보내기, (3) 금지된 체벌, (4) 청소년 양육과 소진, (5) 그룹홈 청소년들의 원 가족으로 인한 갈등, (6) 그룹홈 청소년들의 롤 모델,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지식구조 분석

        송승민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18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1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rends and knowledge structur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Method: For the purpose of study, 289 articles were selected with the key words ‘severe disability’, ‘multiple disability’, and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y’. Big data analysis programs such as R, UCINET 6.0 and Netdraw were analyzed. Results: First, the number of articles i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has increased steadily. And the types of key words derived were related to ‘individual level of support’, ‘type of disability’. Second, 'physical disability' and 'intellectual disability' were highly centrality in the study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In the case of multiple disability, blindness and hearing impairment were found to be overlapping. Conclusion: It is meaningful that all articles of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conducted from various perspectives on semantic network analysis. Using various studies, including this study, Researcher look forward to legislative enactment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미 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이제까지 실시된 국내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동향 및 특성을 살펴보고 지식구조를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중도장애’, ‘중증장애’, ‘중복장애’, ‘중도·중복장애’를 키워드로 289편의 논문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인 R, UCINET 6.0, Netdraw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분석을 통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의 논문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도출된 주요 단어의 유형은 ‘개별 차원의 지원’, ‘장애 유형’과 관련된 단어로 나타났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과 관련한 연구에서 지체장애, 지적장애가 중심성이 높고 중복장애에서는 시각장애와 청각장애가 중복인 경우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중도·중복장애학생 연구를 연도에 제한을 두지 않고 모든 논문을 대상으로 의미 연결망 분석을 다양한 관점에서 실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를 활용하여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교육적 차원의 법적 제정을 기대해 본다.

      • KCI등재

        Pricing CO₂ Emissions: An Application to the European Countries Compared with Asian Pacific Countries

        송승민 한국EU학회 2009 EU학연구 Vol.14 No.1

        This paper focuses on the estimation of pricing CO₂ emission right for European countries with respect to themselves and Asian Pacific countries by employing nonparametric input and output distance functions. For the estimation of distance functions, technical efficiency scores have been calculated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result of pricing shows that there exists a substantial heterogeneity in the potential value of right of extra CO₂ emission across European countries and they are willing to pay more for the right of extra CO₂ emission than Asian Pacific countrie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참가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접근

        송승민,도현심,김민정,김수지,윤기봉,김정은 한국보육지원학회 2014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참가한 경험을 분석하여 참가과정에서의 의미, 반응 및 변화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어머니들의 체험의 본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어머니들을 대상으로 총 8회기의 부모존경-자녀존중 부모교육을 실시한 후, 현상학적 이론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실시 전후의 면담내용과 프로그램 진행 중에 작성된 저널, 관찰노트의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264개의 의미단위로 묶여 16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여 분석하였고, 이 가운데 최종 7개의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1) 부모교육 참가의 내재적 동기, (2) 변화의 시작: 어머니, (3) 변화의 시작: 자녀, (4) 지속되는 갈등, (5) 긍정적인 부모역할모델의 부재와 양육행동의 세대 간 전이, (6) 죄책감에서 벗어나 양육효능감 높이기, (7) 부모교육을 통한 정서적 지원 경험 및 지속적인 교육과정에 대한 기대. 마지막으로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차연과 시차

        송승민 慶熙大學校 大學院 2009 高凰論集 Vol.45 No.-

        지젝은 자신이나 데리다를 유대인 음모나 전체주의 같은 추상적 보편성을 옹호하는 부류로 인식하는 집단에 맞서 초기 데리다적 차연 개념으로 돌아갈 것을 적극적으로 호소한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초기 데리다로의 단순한 복귀, 즉 데리다의 어휘를 단 순히 반복하는 진부한 시도가 아니다. 그는 데리다의 차연 개념을 대체하는 새로운 어 휘를 끌어낸 뒤 이를 독일 관념론과 정신분석의 어휘를 통해 세분화, 구체화하여 자신 의 독특한 사유 체계를 정립해 나간다. 여러 체계들 내의 통일한 원리를 파악한 뒤 이 들을 연결하고 새로운 체계를 구성해내는 지젝의 작업은 오늘날 지식인들이 필요로 하는 창의적 작업의 전형으로 비춰질 지도 모른다. 그러나 데리다를 대립구조 속에 가두어 후기 데리다와 초기 데리다를 구분 지으려 는 지젝의 시도는 데리다의 사상을 오해한 것이 아니냐는 비판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초기 데리다의 차연과 마찬가지로 후기 데리다의 “도래할 민주주의” 개념은 절대적 타 자성이라는 형식에 집착하기보다 절대적 타자성이라는 바로 그 형식을 내파해야 한다 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데리다의 정의, 코라, 탈구의 위상 은 라캉의 충동의 대상-상실로서의 오브제 a나 지젝의 시차가 차지하는 위상에 더 가 깝다. 이러한 근접성은 데리다와 정신분석의 차별성을 해체시켜버려, 라캉이나 지젝의 개념들이 결국 데리다의 연구 범주 내에 종속돼 있다는 인상을 남긴다. 물론 지젝은 헤겔의 절대적 보편성 개념을 끌어들임으로써 데리다의 연구가 헤겔의 그것을 다르게 반복한 것임을 암시한다. 그러나 그러한 사실조차도 정신분석이 해체주의의 범주 내에 서 작동하고 있다는 인상을 뒤바꾸지는 못한다. 지젝이 데리다의 “도래할 민주주의” 개념을 충동이 아닌 욕망의 구조 속에 가두어두려는 시도는 정신분석의 해체주의 극 복이라는 대의(cause) 와 연관돼 있는 듯 보인다. 아마도 지젝은 헤겔과 라캉의 이론을 강조해야 할 전략적 필요성 때문에 데리다의 작업을 일정부분 퇴색시키려 하는 것이 아닐까?

      • KCI등재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의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과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 분석

        송승민,박혜영,이미영,김원호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2023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Vol.66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future revision directions by analyzing the perception of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Metho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IPA)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2015 career and vocation subject achievement standards for 123 career teachers in special schools. Results: First of all, a future-oriented self-exploration process based on strength-centered self-awareness and linkage between subjects is needed. Second, in order to design futureoriented careers, various vocations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based on students' interests should be reflected on. Third, field-oriented vocational education is necessary for the vocational suc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urth, student-centered career decision-making should be strengthened through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linked curriculum. Finally, it should be expanded to work life for an independent life in the commun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each area were suggested for the revision of the career and vocation subject.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진로와 직업과 성취기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진로와 직업과 개정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특수학교 진로전담교사 123명을 대상으로 2015 진로와 직업과 성취기준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IPA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장점 중심의 자기 인식과 교과 간 연계에 기반한 미래 지향적인 자기 탐색 과정이 요구된다. 둘째, 미래 지향적인 진로설계를 위해 학생의 흥미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다양한 직업을 반영하여야 한다. 셋째, 장애 학생들의 직업적 성공을 위해서는 현장 중심의 직업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초·중·고 연계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 중심의 진로 의사결정을 강화하여야 한다. 다섯째, 진로와 직업과에서 진로의 범위를 확대하여 개인 맞춤형 진로 준비가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사회에서의 주체적인 삶을 위한 직업 생활로 내용이 확대 편성되어야 한다. 결론: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진로와 직업과 개정을 위한 영역별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Geo-Indistinguishability를 활용한 위치 기반 서비스에서의 프라이버시 보존 사용자 분포도 예측

        송승민,김종욱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7 No.12

        With the development of mobile device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s, various location-based services can be utilized, which collects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provides services based on it. In this process, there is a risk of personal sensitive information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us Geo-indistinguishability (Geo-Ind), which protect location privacy of LBS users by perturbing their true location, is widely used. However, owing to the data perturbation mechanism of Geo-Ind, it is hard to accurately obtain the density distribution of LBS users from the collection of perturbed location data. Thus, in this paper, we aim to develop a novel method which enables to effectively compute the user density distribution from perturbed location dataset collected under Geo-Ind. In particular, the proposed method leverages Expectation-Maximization(EM) algorithm to precisely estimate the density disribution of LBS users from perturbed location dataset. Experimental results on real world datasets show that our proposed method achieves significantly better performance than a baseline approach. 최근 들어 모바일 디바이스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의 발전으로 다양한 위치 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ses, LBS)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LBS 사용자는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자신의 위치 정보를 서비스 제공자에게 노출한다. 이 과정에서 개인의 민감한 정보를 침해할가능성이 있으므로 사용자의 위치 데이터를 변조하여 프라이버시를 보존할 수 있는Geo-indistinguishability(Geo-Ind) 기법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Geo-Ind 기법으로 인하여 사용자로부터 변조된 데이터를 수집하는 경우, LBS 제공자는 사용자 분포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얻을수 없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Geo-Ind 기법을 이용하여 사용자로부터 수집한 변조된 위치 데이터로부터 사용자 분포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특히, Expectation-Maximization(EM) 기법을 이용하여 변조된 데이터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분포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또한 실제 데이터를 이용해 제안 기법의 우수성을 입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