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

        송승민,윤지석,고정민,전종근,최진호,유한욱,Song, Seung-Min,Youn, Ji-Seok,Ko, Jung-Min,Cheon, Chong-Kun,Choi, Jin-Ho,Yoo, Han-Wook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10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3 No.4

        목 적: Graves병은 소아 및 청소년의 갑상선 기능항진증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한국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자연 경과 및 예후 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1년 11월부터 2006년 7월까지 15년간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에서 Graves병으로 진단 받고 2년 이상 추적관찰이 가능하였던 환자 113명(여자 88명, 남자 2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성별, 진단 시 연령, 치료 기간, 혈액 검사, 임상 증상, 가족력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모든 환자들은 항갑상선제 투여로 치료를 시작하였고 7명(6.2%)에서 PTU, 106명(93.8%)에서 MZ을 투여하였다. 전체 환자 113명 중 75명(66.4%)은 첫 번째 관해가 되었으며, 이 중 23명(전체의 20.4%)은 약물 치료를 중단한지 평균 $25.5{\pm}33.7$개월 후 재발하였다. 재발한 23명 중 13명(전체의 11.5%)은 두 번째 관해가 되었으나 이 중 2명은 다시 재발하였다. 1명은 4년간의 약물 치료에도 정상 갑상선 기능이 되지 않아 방사선 요오드 요법을 시행하였다. 완전 관해군의 진단 시 연령이 질병 지속 상태군에 비해 의미 있게 높았다(12.7세 vs. 11.7세, $P$=0.034). 즉, 연령이 높은 경우 관해율이 높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진단 시 연령을 소아 및 청소년 Graves병의 예후 인자로 고려할 수 있으며 이는 Graves병의 치료 방법 및 기간을 결정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Graves' disease is the most common cause of hyperthyroidism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natural course and the prognostic factors of Graves' disease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Methods : One-hundred thirteen (88 girls and 25 boys)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made of all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Graves' disease. The following parameters were recorded and analyzed: patient's sex, age at diagnosis, duration of disease, laboratory findings, symptoms and signs, and family history of autoimmune thyroid disease. Results : All patients were initially treated with antithyroid drugs, either methimazole (93.8%) or propylthiouracil (6.2%). Antithyroid drugs had been discontinued in 75 (66.4%) of 113 patients. Of these 75 patients, 23 (20.4%) relapsed after $25.5{\pm}33.7$ months. Thirteen (11.5%) of 23 patients, who experienced the first relapse, showed a second remission. However, 2 (1.8%) of 13 patients relapsed again. Euthyroid state could not be achieved by antithyroid drugs in 1 patient, and radioactive iodine therapy was performed. The older the patient at diagnosis,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remission ($P$=0.034). Conclusion : Age at diagnosis seems to be a prognostic factor in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Graves' disease, and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in treatment plan determination.

      • KCI등재

        고령 지체장애인의 스마트 토이 이용 만족도와 사용 경험 분석

        송승민(S. M. Song),김은하(E. H. Kim),곽정란(J. R. Kwak),김영미 (Y. M. Kim) 한국재활복지공학회 2020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Vol.14 No.3

        본 연구는 고령 지체장애인의 스마트 토이에 대한 이용 만족도와 사용 경험을 탐색하여 스마트 토이에 대한 효용성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고령의 지체장애인, 뇌병변장애인 12명을 대상으로 스마트 토이를 두 달간 사용하게 한 후 이용 만족도와 사용 경험을 알아보았다. 이용 만족도는 전체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고, 사용 경험은 2명을 선정한 후 가정에서 반구조화된 면담 질문지를 활용하여 면담을 실시하였다. 영역별 이용 만족도 분석결과 ‘재이용 의도(4.75)’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불쾌감(1.46)’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성별에 따른 집단 간 중심 비교 분석 결과는 여성이용자의 재이용 의도(4.79) 가장 높았고, 남성 이용자의 불쾌감(1.20)이 가장 낮았다. 또한, 독거하는 고령 지체장애인이 가족과 동거하는 고령 지체장애인에 비해 스마트 토이에 더 친숙하게 인식하였다. 사용 경험의 분석결과는 주로 사용한 기능들과 스마트 토이의 사용과 조작에 대한 만족도와 개선 요구를 파악할 수 있었고, 스마트 토이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보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스마트 토이에 대한 고령 지체장애인의 일상생활 지원을 위한 도구적 역할을 확인 하였으며, 고령 지체장애인으로 스마트 토이 적용과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satisfaction of using smart toys and their experience in using them for the elderly retarded people to find out the utility of smart toys. After having 12 people with cerebral palsy use smart toys for two months, we looked at their satisfaction and experience. The satisfaction level of use was surveyed for the entire group, and the experience of using two people was selected and the interview was conducted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 questions at hom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satisfaction level by area, ‘intention to reuse(4.75)’ was the highest, and ‘discomfort(1.46)’ was the lowest. The results of the cross-group comparative analysis by gender showed that female users had the highest ‘intention to reuse(4.79)’, while male users had the lowest ‘discomfort(1.20)’. In addition, the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ere more familiar with smart toys than the elderly people living with their families. The analysis results of the use experience were able to identify the main functions used, satisfaction with the use and operation of smart toys, and the need for improvement, and the emotional response to smart toys. This study confirmed the role of tools for supporting daily life of the elderly retarded on smart toys, and suggested suggestions for the application of smart toys and the expansion of research.

      • KCI등재

        직무연수에 대한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인식과 요구조사

        송승민(Seung-Min Song),정승미(Seung-Mi Jung),나경은(Kyong-Eun Na)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3

        본 연구는 특수교육 보조인력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과 연수의 목표를 설정하고 교육과정을 구성하기 위해 특수교육 보조인력이 인식하는 직무에 대해 중요도와 실행도, 그리고 직무연수 방향에 대해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G도교육청 소속 특수교육 보조인력 1,094명이 응답한 결과를 토대로 먼저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연수 경험과 운영방법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개인욕구 지원, 학습 지원, 문제행동 지원, 학교활동 지원, 협력 및 의사소통의 5개 영역, 26개 직무에 대한 중요도, 실행도,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를 분석하는 IPA분석을 통해 특수교육 보조인력의 직무에 대한 요구분석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추후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t the goals of education and on-the-job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and investigate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execution, and then suggest the direction of on-the-job training for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in order to configure the curriculum. To this end, a survey was conducted on 1,094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belonging to the G-o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1,094 respondents, the perception of the job training experience and operation method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as first analyzed. Next, through IPA analysis, which analyzes the importance, performance, and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execution for 26 jobs, 5 areas of individual needs support, learning support, problem behavior support, school activity support,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e results of the needs analysis of the work of special education paraeducators were deriv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보육서비스 품질 개선을 위한 어린이집 운영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송승민 ( Seung Min Song ),김태호 ( Tae Ho Kim ) 한국품질경영학회 2013 품질경영학회지 Vol.41 No.3

        Purpose: This study analyzes the optimal operation scheme of childcare centers in Korea to maximiz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by determining the number of children and number of teachers. Methods: This study employs a mathematical programming methodology called ``nonlinear integer programming (NLIP)`` to solve the optimization problems and compar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of optimal solutions with those of present operation scheme. Results: It is very successful in obtaining the optimal solutions for alternative capacities and they guarantee the substantial improvement in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Conclusion: Though more variables should be adapted for defining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robustly. it is possible to conclude that childcare centers should modify their operation scheme to improve the quality of childcare service.

      • SCOPUSKCI등재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Quercetin이 Matrix Metalloproteinases 억제에 의한 지방세포 분화에 미치는 영향

        송승민(Seung Min Song),정수민(Soo Min Jung),최수진(Su Jin Choi),김우경(Woo Kyoung Kim)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2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51 No.4

        본 연구는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 quercetin이 MMPs를 억제하여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축적, 신혈관생성을 억제한다는 기전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PMA를 처리하면 MMP-2와 MMP-9의 mRNA 발현과 활성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MA와 함께 quercetin을 처리하면 quercetin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MMP-2와 MMP-9의 mRNA 발현과 활성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그리고 PMA를 처리하면 3T3-L1 세포에서 세포 내 지방축적과 GPDH 활성, 지방세포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인 C/EBPβ, C/EBPα, PPARγ 및 FABP4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MA와 quercetin을 함께 처리하면 세포 내 지방축적과 GPDH 활성, 지방세포분화와 관련된 전사인자들의 mRNA 발현이 quercetin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3T3-L1 지방전구세포에 PMA를 처리하면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인 VEGF-A와 그 수용체인 VEGFR-2의 mRNA 발현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MA와 함께 quercetin을 처리하면 quercetin의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VEGF-A와 그 수용체인 VEGFR-2의 mRNA 발현이 감소하였다. 그러므로 본 실험 조건에서 quercetin은 MMPs를 억제해 지방세포의 분화와 지방축적, 신혈관생성을 저해한다는 작용기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quercetin on differentiation and angiogenesis via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in 3T3-L1 preadipocytes. The adipocytes were treated with quercetin (0, 5, 10, and 20 μM) for 24 h and the activation of the MMPs was induced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PMA) (100 ng/mL) (PMA+) for 2 h. The mRNA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2 and MMP-9 were measured using a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and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kit, respectively. Oil-Red-O (ORO) staining and glycerol-3-phosphate dehydrogenase (GPDH) activity were measured. Also, the mRNA expressions of CCAAT/enhancer-binding protein (C/EBP) β, C/EBPα,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PPAR) γ, fatty acid-binding protein (FABP) 4,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A, and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receptor (VEGFR)-2 were measured using a real-time PCR. The mRNA expression and activity of MMP-2 and MMP-9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quercetin 0 μM (PMA+) group compared to the quercetin 0 μM (PMA−) group,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quercetin treatment (P<0.05). ORO staining and GPDH activ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quercetin 0 μM (PMA+) group compared to the quercetin 0 μM (PMA−) group,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quercetin treatment (P<0.05). The mRNA expressions of C/EBPβ, C/EBPα, PPARγ, FABP4, VEGF-A, and VEGFR-2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quercetin 0 μM (PMA+) group compared to the quercetin 0 μM (PMA−) group, and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quercetin treatment (P<0.05). In conclusion, quercetin can inhibit differentiation and angi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through the suppression of MMPs.

      • KCI등재후보

        전국 보육정보센터 사업 실적 분석

        송승민(Song, Seung Min)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2011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2004년 영유아보육법 개정 이후 보육정보센터의 사업실적을 분석하여 보육정보센터 사업의 활성화를 위하여 연간 발행되는 전국보육정보센터사업안내서에 보고된 내용을 토대로 지난 5년간 전국 보육정보센터의 사업실적을 연도별·센터별로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보육정보센터들이 수행하는 사업들의 연도별 추이와 집중하고 있는 사업들의 내용을 보고 향후 사업 방향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보육정보센터 홈페이지 접속 수, 교육 참여자수, 상담건수가 센터의 기능을 평가하는 양적 준거가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반면 구인구직 서비스와 자료발간 사업은 지역의 보육시설 수 및 교직원 인구와 관계가 있고 원활한 보육관련 인력 수급을 위해 필요하므로 지속적인 시행이 필요하고, 해당 지역 보육서비스 이용자들의 만족도 조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present study compared and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projects implemented by child educare information centers for past 5 years based on the annual guidebook on national child educare center projects. It will be possible to examine the yearly trend of projects and main projects of centers and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projects. The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number of connections to webpage of child educare center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and the number of counsels can be quantitative criteria used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child educare centers. Meanwhile, human resource services and publication services are needed to be evaluated by implementing survey of users’ satisfaction.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조부모의 학령 초기 손자녀 대리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송승민(Seung-Min Song),이운경(Woon Kyung Lee),이윤형(Yoon Hyung Lee),강현아(Hyunah Kang),김은혜(Eun Hye Kim),강하라(Hyunah Kang) 한국아동학회 2017 아동학회지 Vol.38 No.1

        Objective: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perspectives of grandparents raising their grandchildren in an attempt to better understand grandparents’ child-rearing experience while providing kinship foster care to their primary-grade grandchildre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eight grandparents who have raised one or two primary-grade (ages 8—10) grandchildren using a qualitative approach. Results: First, the participants viewed the reason for their kinship foster care as a failure for caring for their own children and accepted the present grandparent-care provision as their responsibility. Second, the participants communicated constant struggles with their own health and grandchild-care as well as positive/negative emotions associated with the care provision. Third, most of the participants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developmental needs of their primarygrade grandchildren. Fourth, the participants articulated concerns for their primary-grade grandchildrens learning, peer interactions, school adjustment,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Lastly, the participants all agreed on hoping to raise grandchildren with good personality traits as members of a society and to have them fill the gap from the loss of their parents. Conclusion: Although most participants accepted the current circumstances as their obligation, they still noted difficulties in child-care provision. Given the developmental needs of grandchildren and the resource needs of grandparents, proper and continuous intervention approaches should be developed/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