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송선주(Song S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6 한국어교육연구 Vol.- No.4
본 연구는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가 시 문학 수업에 있어 좀 더 쉽게 이해하고 감상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시노래를 실제적 수업에 적용하여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 문학에 대한 흥미를 이끌 수 있게 하였으며, 어렵다고 느끼는 시 문학 수업에 동기유발을 가져올 수 있도록 시와 시노래의 상호 보완 작용으로 수업을 진행 하였다. 제2장에서는 시가 노래로 불리는 시노래를 살펴보았고, 시와 노래의 상호 관련성을 알아보았으며, 시노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의의와 그 목표를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시 문학 교육에 활용할 시와 시노래의 구성 및 음악적 특징의 관련성을 알아보았다. 한국어 교육에서 시 문학 교육의 내용으로 활용할 시와 시노래는 현재 한국어 교재에 자주 등장하는 김광섭의 ‘저녁에’를 선택하여,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실제 수업에 적용하는 교수-학습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시노래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의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하여,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한국의 정서와 문화를 더 넓고, 더 깊이 이해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시노래를 실제적 수업에 적용한 결과물로써, 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들이 느낌을 글로 작성함을 통해, 문학적 의사소통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고, 시 문학에 대한 이해력 및 감상능력 향상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었음을 확인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help intermediate learners understand and appreciate better Korean poetry. It encouraged intermediate learners to have an interest in Korean literature through applying 'Songs of poem' to a class, and it complementary work between poetry and 'Songs of poem' was used to motivate learners on learning poetry. In chapter 2, this paper studied 'Songs of poem', interrelations of poetry and songs, and presented the meaning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aim. chapter 3, components of poetry and 'Songs of poem', which will be used for teaching poetry in Korean language teaching, and interrelations of 'Songs of poem' and musical feature was studied. This study applied 'Jeonyeogge' by Kim Gwang-Seop from a Korean textbook, and proposed a teaching method for teaching poetry to intermediate learners Furthermore, it induced learners to comprehend and better appreciate Korean emotion and culture through diverse methods of approach to 'where and what would I become and meet you again'. Through writing a review of the lesson, learners were more confident on literary communication and confirmed understanding and appreciative competence.
유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성발달 및 혼합연령 경험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
송선주(Song, Sun-Joo),황혜신(Hwang, Hae-Shin)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1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2
본 연구는 유아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인성발달 및 혼합연령 경험이 유아의 인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 소재 어린이집 두 곳의 만 3~5세 유아 12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 유아들에게는 자유선택활동 중 혼합연령 경험 놀이를 8주 동안 매일 1시간씩 제공하고, 비교집단 유아들에게는 동일연령 환경에서 놀이를 제공하였다. 먼저 실험 전 전체 유아를 대상으로 인성발달에 관해 살펴본 결과, 남아에 비해 여아가 전체 인성에서와 나눔, 배려, 질서, 정직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연령에 따른 유아의 인성은 만 5세가 가장 높고, 만 3세가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으며, 형제가 있는 유아가 형제가 없는 유아보다 인내의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실험 후 혼합연령을 경험한 실험집단 유아의 인성이 비교집단 유아의 인성보다 나눔, 배려, 예절, 인내, 존중, 질서, 책임, 협력, 정직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혼합연령 환경에서의 자유선택활동 놀이 경험으로도 유아의 인성이 발달한 것을 의미하며, 이로써 유아의 인성은 체험적으로 습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seeks to find personality development according to preschooler’s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the effect of mixed-age experience to the preschooler’s personal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125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in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had been studied. Som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given the mixed-age experience play among children’s free choice play activities for an hour daily during the period of 8 weeks, whereas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are given the same age experience play. The result of personality development in the entire preschoolers before experiment is as follows. First, the scores of female preschoolers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preschoolers in share, consideration, order and honesty as well as whole personality. The personality depending on age is highest at five years old and lowest at three years old, and children with siblings show higher patience than those without siblings. Later, after 8 weeks of experiments, the children with mixed-age experience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share, consideration, courtesy, patience, respect, order, responsibility, cooperation and honesty compared to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Thus, preschooler’s persona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free choice play activity in a mixed-age environment. In other words, preschooler’s personality can be acquired through experience.
송선주(Song S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4 한국어교육연구 Vol.1 No.-
외국인 학습자가 한국어를 배울 때 그 사회의 언어를 많이 배울 수 있는 것이 문학작품이다. 본고에서는 문학작품중 시작품을 택하여 외국인 학습자로 하여금 한국의 문학작품을 더 빨리, 더 쉽게 이해하고 익혀서 더 많은 한국어를 알고 실생활에 활용할 수 있음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학습자는 문학작품이 고차원적인 언어의 산물이라는 점에서 한국어의 특수성을 이해하는 좋은 계기가 될 것이며, 또한 한국 문학을 학습하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어 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은 그 의의를 가질 수 있다. 문학 작품, 특히 시작품은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 일부 활용되고 있다. 시 작품은 그 나라의 사상과 정서를 담고 있고, 운율적인 언어의 정제된 학습 자료로써 다양한 활동을 통해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교육 등을 골고루 발달시킬 수 있는 교육적 가치가 높은 텍스트이다. 학습자가 시 텍스트를 쉬운 것부터 접근해서 언어를 익히고, 감상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서를 충분히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시를 매개로 한 한국어 언어 문학의 중요한 의의가 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목표인 한국어교육을 살펴보고, 시를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다양한 한국어 획득의 가능성과 실제 생활에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도록 한다. 그래서 실제 한국어 교육 현장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 수업 목표와 학습자들의 상황에 맞는 적절한 시 텍스트를 선정하고, 그 방법을 마련한다면 학습자들에게 더 많은 흥미를 부여하고 학습 동기를 유발하여 문학작품을 쉽게 이해하고, 한국의 정서와 관련된 언어교육에 효과를 가져 오는 학습을 하게 될 것이다. 또한 다양한 한국어 사용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줄 수 있으리라 본다. 연구 방법은 이론교육과 실제 현장교육에서의 한국어교육방법을 찾아 이론과 실제의 조화를 이루고자 한다. This has resulted in the number of students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expanding. Therefore, focusing on communication methods has come up with for teaching Korean to foreigners beyond the fact that we stressed teaching grammar for years in the past. To develop communication competency, importance shouldn't only be set on linguistic structure or morphology but also practicality in language. I have chosen a poetic genre of a literary work, which is very helpful for studying foreign language, to make foreigners study Korean easier. This thesis is aimed at helping foreigners learn Korean sufficiently and use it practically in daily life through the studying of poetry as well as how to make use of it to teaching foreigners. This will lead to learners understanding, the profound distinctiveness of Korean due to poetry being a highly difficult product of language. Also, usage of literary works on teaching Korean will be another great key. Poetry has been partially used on teaching Korean. Since it is based on the nation's thoughts and emotions, poetry has the value of education as a refined learning material, to develop linguistic skills such as listening, reading, writing and through various activities. It is a consequent significance of teaching Korean, through literary work. Therefore, studying with language education on a theoretical basis, this thesis will follow by finding the way to use Korean practically in daily life as well as the capability of gaining various skills by learning poems. It would motivate learners and bring more interest to them if the appropriate purposes and text were given in the field. Also, it would produce sufficient opportunities to use Korean in a diverse manner. This study aims find theories on education and thereby instructional methods in the field, and harmonize theory and reality.
송선주(Song Sun Ju) 한국어교육연구학회 2015 한국어교육연구 Vol.- No.3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가 시의 잘 다듬어진 세련된 어휘와 다양한 표현의 풍부한 문맥 안에서 한국어와 한국의 정서·문화를 쉽게 이해하고 감상하게 한다. 그래서 실제로 한국 사회와 문화를 접하여 한국 문학적 담론을 나눌 때, 시에 대한 친근감과 자신감을 가지고 언어적, 문화적, 문학적 의사소통을 쉽게 할 수 있게 하며, 더 많은 시의 이해와 감상을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시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선행 연구와 한국어를 교육하는 주요 대학의 한국어 교재를 통해 초·중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교수·학습 할 수 있는 방안 제시가 매우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 했다. 본고는 초·중급단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도 세련되고 잘 다듬어진 한국어와 한국의 정서, 한국의 문화가 담긴 시를 보여주기 위해, 한국어 교재의 고급단계에 수록된 시작품‘저녁에’를 선택한다. 그래서 이를 번역하고, 재귀번역 한 시를 초·중급 단계의 한국어 학습자에게 적용하여 언어적 난이도를 낮추어 시를 쉽게 이해하고 더 깊게 감상하여 친근감과 자신감을 가지고 한국 문학 작품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게 한다. 또한 여기에서 재귀번역 된 시는 장르적 특성에서 오는 언어적, 문화적 차이를 재귀번역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난이도가 낮아진 시를 적용하여 학습의 곤란 도를 낮추어 주고, 시를 보다 더 쉽게 이해하고 감상하여 더 많은 한국어 학습자들을 시의 독자로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한다. This study aims to help learners understand and better appreciate Korean, Korean sentiment, and culture in rich context, which consists of refined words and diverse expressions. Learners will be able to enjoy opportunities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poetry, once they engaged in confident and feeling closeness towards poetry. So it should help learners to communicate easily verbally, culturally and literally when they are on Korean literary discourse. The shortage of teaching methods for beginning·intermediate level students in the Korean textbooks, as well as preceding research on teaching Korean is verified. In this paper, 'Jeonyeoge', which is contained in the advanced level textbooks, is chosen to present a poem that has refined Korean, Korean sentiment and culture. Through applying the poem, translated reflexively, to beginning·intermediate level students, it will make students approach Korean literature work easily with confidence and closeness. The difficulty of the poem, translated reflexively, in this paper, was lowered through the process of reflexive translation, so that the level of verbal, cultural study also will be lowered naturally. As a result, more foreign learners will be able to read and understand Korean poetry.
송선주 ( Song Seon Ju ),조경은 ( Cho Kyung Eun ),신종칠 ( Shin Jong Chil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20 부동산학연구 Vol.26 No.2
As sharing economy spreads around the world, coworking spaces have caused many changes in the Korean office market. Several coworking space providers such as WeWork and FastFive, have achieved rapid growth over the past five years. In addition, small and medium companies in leasing business have changed their business model into coworking space provider, and large companies have decided to enter the coworking space market as an asset management metho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uniqu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have effects on its rent. Th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s are classified into regional characteristics, location characteristics, building characteristics, and coworking space characteristics. The coworking space characteristics are sub-categorized into space characteristics, contract characteristics, common space and amenity characteristics, service characteristics, and company characteristics. The effect of each characteristic on rent is analyzed using the Hedonic pricing model. The empirical study discovers that unique characteristics of coworking space such as space characteristics, contract characteristics, common space and amenity characteristics, service characteristics, and company characteristics and so on, have significant influences on coworking space rent. This study shows that each characteristic has its own influence on coworking space rent and provides meaningful implications for market participants.
송선주(Song Seon Ju),정유석(Chung You Seok),오세준(Oh Sae Joon) 한국부동산학회 2018 不動産學報 Vol.73 No.-
본 연구에서는 베트남의 경제중심도시인 호치민시의 서비스드 레지던스를 대상으로 객실 운영성과의 영향요인에 대해서 실증분석을 진행하였다. 호치민시에서 운영 중인 서비스드 레지던스에 대한 평균 객실요금(Average Daily Rate)과 객실 점유율(Occupancy Rate)의 자료를 토대로 하여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여 확률효과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시장특성의 경우 GDP와 외국인관광객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객실당 평균숙박료와 객실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지던스 특성의 분석결과는 레지던스의 위치가 중심상업지역에 위치하는 경우, 운영사가 브랜드가 있는 경우, 경과연수가 짧을수록 객실당 평균숙박료와 객실점유율 모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객실특성과 관련하여 총 객실수가 많을수록 객실당 평균숙박료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객실점유율은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객실규모가 클수록 객실당 평균숙박료와 객실점유율 모두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객실점유율과 객실당 평균숙박료는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객실의 수요인 객실점유율은 객실가격과 상충관계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분양시장의 부동산시장특성과 분양계약 특성이 분양권 전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송선주(Song, Seon Ju),강승우(Kang, Seungwoo),신종칠(Shin, Jong Chil) 한국도시행정학회 2018 도시 행정 학보 Vol.31 No.2
The Korean apartment market uses a pre-sales of ownership when developer starts to construct its own apartment complex. Because there is time difference between ownership sales and apartment completion, people often transfer their apartment ownership during construction period. This research analyzes resales likelihood of ownership during apartment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nationwide 60,900 apartment units in 192 apartment complexes supplied from 2001 to 2016. This study analyze influences of local real estate market characteristics, sales contract characteristics, apartment characteristics on whether a apartment unit is transacted during construction period by using logistic regression. The empirical research confirms real estate market conditions and real estate policies of apartment sales market, has a significant effect on resale likelihood of apartment ownership. Also this research finds sales contract characteristics including sales price, contract condition, buyer characteristics, also have influence on resale likelihood. This study shows the apartment characteristics including location, apartment complex and unit characteristics, are important for resale likelihood.
송선주 ( Song Seonju ),신종칠 ( Shin Jong Chil )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017 부동산분석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7 No.-
본 연구는 2006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의 서울시 및 6대 광역시의 아파트 전매량(분양권·입주권) 패널데이터를 토대로 주택시장이 전매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하였다. 자료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정보시스템을 통해 지역별 전매량 자료를 수집하여 패널데이터를 구축하였다. 변수군은 거시·부동산시장특성, 정책특성, 수요·공급특성으로 구분하여 전매량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수요 연구결과는 첫째, 거시특성으로 금리가 낮을소루고 전매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가격지수상승률이 높을수록, 아파트매매량이 많을 수록 전매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정책특성으로 전매제한기간이 길어질수록,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된 경우에 전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면 향후 기대가격상승으로 인해 전매량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요·공급특서에서는 인구유입이 증가할수록, 분양물량이 많을수록 전매량은 증가하고, 미분양물량이 많아지면 대체효과로 인해 전매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