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본 서브컬처와 동아시아 대중문화의 지형 그리고 글로컬리즘: 라이트 노벨을 중심으로

        송민수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1 No.-

        This study centered on the Japanese Light Novels <“Bibria Koshodo case” series> and <“Literary Girl” series> as the focusing on Light Novels and the universality as the popular culture of East Asia. The two works were said to be the work that embo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ght Novels that is currently evolving in the emerging genre Light Novels. The “Biblia Koshodo case” series specialized the character and the “Literature Girl” series was borrowed from a western literary work. The “Biblia Koshodo case” series was created by the reorganization and the extension of the characters. “Literature Girl” series succeeded in making the conflict as a pure literary expression and expanding the scope of Light Novels. However, at the social and cultural perspective of looking at the work, two works have a different vision. The “Bibria Koshodo case” series looks at literary works in a bibliographical manner. The “Literature Girl” series pays attention to the internal conflict of life and death that is common to any cultural heritage. The emergence of many eastern and western literary works upgraded the Japanese popular literary arts to the East Asian popular literary arts. From the perspective of glocalism, Light Novels is showing universality as an East Asian popular literary while extending the sub-culture extension. 본고는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과 <“문학소녀” 시리즈>를 중심으로 일본 라이트 노벨의 서브컬처로서의 확장성과 동아시아 대중문화로서의 보 편성을 살펴보았다. 두 작품은 현재 진행형으로 진화하고 있는 라이트 노벨의 서브컬처로서 의 확장성과 동아시아 대중문화로서의 보편성을 구체화한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은 캐릭터의 특화로, <“문학소녀” 시리 즈>는 문학작품의 차용을 통하여 서브컬처로서의 라이트 노벨의 외연을 확 장하였다. 두 작품의 공통점은 추리라는 서사 기법을 활용한 다수의 문학작품이 등장 한다는 점이다. 『비블리아 고서당 사건수첩』은 상품화된 서지적 가치의 보편 성에 주목하였고, <“문학소녀” 시리즈>는 삶의 갈등이라고 하는 것은 인간의 내면이라는 보편적 공간에 동일하게 존재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지점들은 글로컬리즘적 시좌에서 본다면 서브컬처로서의 외연을 확장시키면서 동아시아 대중문학으로서의 보편성을 보여주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이양지(李良枝)와 양이(楊逸) 작품의 비교 연구 - 「유희」와 「시간이 스며드는 아침」을 중심으로 -

        송민수 한국일본학회 2015 日本學報 Vol.104 No.-

        이 논문의 목적은 이양지의 「유희」와 양이의 「시간이 스며드는 아침」을 중심으로 두 작가의 소설을 비교 연구하여 변모하는 재일의 특성을 포착함에 있다. 재일한국인으로서의 재일과 재일중국인으로서의 재일을 비교 연구하면서 새로운 재일을 모색하고자 하는 제 각각의 노력을 드러냄에 있다. 조국체험을 통하여 ‘상상 속의 조국체험이라는 관념’이 분쇄되면서 발생하는 아이덴티티의 혼란, 일본에 정주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현재성으로 인하여 요동치는 기존의 조국과 국적의식, 재일성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언어체험과 문화충격을 통한 차이를 내재화하면서 현재화 되는 재일을 고찰한다. 이러한 재일은 과거의 재일과는 다르며 또한 앞으로의 재일과도 다를 수 있고 제 각각의 재일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아이덴티티의 혼란, 조국과 국적의식, 언어체험과 문화충격의 배경에는 월경이 주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본이라는 한 국가에만 통용되는 재일이 아닌 국경을 초월하는 재일이 있음을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studying the new concept of living in Japan by comparing Korean-Japanese and Chinese-Japanese. The different elements of the two identities will be investigated by following observations: identity crisis as imaginary experience of mother nation falls apart in actual experience, awareness of mother nation and nationality under the current condition that requires settlement in Japan, language experience and culture shock based on the concept of living in Japan. Such concept of living in Japan may differ from that of past or future, and there may be a variety of them, because crossing the border lies beneath the identity crisis, awareness of mother nation and nationality, and language experience and culture shock. This indicates that there is a concept of living in Japan which transcends the national borders.

      • 공공기관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작성 문제점 및 개선방안

        송민수,이재후,김정곤 한국재난정보학회 2017 한국재난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11

        정부(행정안전부)에서는 국가적인 재난관리체계를 갖추기 위해 재난관리책임기관을 대상으로 “공공기관 재난관리 평가”를 통해 재난관리체계를 갖추도록 유도하고 있고, 국가적으로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대한 표준화를 제시하여 해당 지자체들이 지역특성을 반영하여 재난유형별 행동매뉴얼과 이를 통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지자체와는 그 특성에 차이가 있는 공공기관이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작성함에 있어 아직 정부 의 표준화 방안을 제시하고 있지 않아 단순 양식과 작성방법만을 개정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공공기관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을 작성함에 있어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공공기관의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의 작성을 위해 연계성과 통일성을 확보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사내하청 노동조합 설립 결정요인 패널분석

        송민수 한국기업경영학회 2018 기업경영연구 Vol.25 No.5

        사내하청 노조 설립 조건의 규명은 노사 모두에게 중요한 과제이지만 관련 연구는 드문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따라 본 연구는 불만 가설과 유효성 가설을 토대로 원청 사업장의 특성과 사내하청 노조 설립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국노동연구원의 사업체패널조사 3~5차년도(2009~2013년) 자료를 활용하여 사내하청 노동조합 설립 영향요인을 횡단면 로짓(pooled logit)과 확률효과(random effect) 모형으로 추정한 결과, 산재인정 근로자 수, 다수사업장, 공공부문, 재무성과, 간접고용 비정규직 비율은 사내하청 노조 설립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접고용근로자 대상 복지 정책은 부(-), 우호적 노사관계는 정(+)의 방향성이 나타났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이론적으로 사업체와 노사관계 특성이 사내하청 노동조합 설립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보다 선명한 틀을 제공할 것이며, 현장에서 상급단체와 정규직 노조, 사내하청 노조 전략수립을 위한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측의 인적자원관리와 노사관계 전략 선택과 실행에 다양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dentification of conditions for establishing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 is an important issue for both labor and management, yet related research is extremely rare. Using Korea Labor Institute's Workplace Panel Survey data for the 3rd ~ 5th year (2009 ~ 2013), this paper examines the determinants of the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 establishment by pooled logit and random effects model.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workers in the workplace recognized as industrial accidents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establishing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s. Second, the welfare policy for indirectly-employed nonstandard worker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the probability of establishing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 was higher in multiple establishments. Fourth, the probability of establishing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s in the public sector is higher than in the private sector. Fifth, the higher the financial performance and the older the business,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 establishing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s. Sixth, there wa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ratio of indirectly employed nonstandard workers and establishment of in-house subcontracted unions. Seventh, the favorable labor-management relatio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robability of establishing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s, but they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provide a clearer framework on how workplace and labor relations characteristics affect the establishment of in-house subcontract labor unions, and can be used as reference material for the related stakeholders. In addition, it can give various implications to the selection and implementation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labor relations strategy of the company.

      • KCI등재

        소비자정책 평가체계의 법적정비에 관한 연구

        송민수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硏究 Vol.28 No.2

        In this study, the government considered ways to improve the assessment system for consumers, and proposed ways to improve the legal system and to improve the laws and regulation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inspection and assessment of consumer policies. Since 2008, after the function of supervising and coordinating the polici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concerned was transferred to the process, basic consumer policy plans were established in three years, and the comprehensive implementation plans were established and implemented annually. As the fourth basic plan for consumers is set to be established, it will be necessary to improve the consumers’ policies through readjustment and supplementation of the current system. To that end, the legal basis for the establishment and assessment of the current consumer policy basic plans and implementation plans were first analyzed, and the assessment system and implementation system of the current consumer policies were analyzed. Concerning evaluation of consumer policies, the related central government agencies should carry out a policy review and evaluation by raising interest in the policies of each department, and performing a policy review and mediation from the planning and results. As a measure to establish an evaluation system for consumer policies, the scope and subject of the assessment, and, secondly, the subject and method of assessment of consumer policies, and third, the utilization of the assessment of consumer policies, and Fourth, readjustment of consumer policies. The current consumer policy implementation system includes matters concerning the assessment of the consumer policies, bu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details and procedures of the policies as specified in the review by the Act. In addition, matters concerning the opera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and its utilization, including matters concerning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umer policy assessment system, were included in the improvement measures. In the future, assessment indicators of consumers’ policies, methods for measuring indicators, and criteria for measuring their performance should be prepared with regard to implementation of the assessment system, and ways to improve the assessment outcome table for their application will need to be explored. As the government service assessment system is implemented to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ccording to the Framework Act on Government Service Evaluation, it is allowed to assess the assessment system of government service use in connection with establishment of the assessment system of government consumer policies, and assessment of utilization of government service index.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