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 모델을 활용한 국내 사이버안보 정책 의제 도출 연구

        송민경,배선하,김소정,Song, Minkyoung,Bae, Sunha,Kim, So-Jeong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21 디지털융복합연구 Vol.19 No.8

        The National Cyber Capability Assessment(NCCA) could be used as meaningful information for improving national cyber security policy because it provides information on the elements necessary for strengthening national cyber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each country. However, there were few studies on improving cyber capabilities using the NCCA result in Korea. Therefore, we analyzed the result of National Cyber Power Index(NCPI) conducted by Belfer Center of Harvard Univ. by applying modified-IPA method to derive cybersecurity policy agendas for Korea. As a result, the need to set agendas on surveillance and offensive cyber capability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policy implementation for intelligence and defense was drawn. Moreover, we suggested need for in-depth study of each policy agenda deduced from preceding research data as a future tasks. And it is expected to increase practical use of NCCA for domestic policy analysis by developing and using our own NCCA model which considered analysis framework proposed in this study.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는 국가 차원의 사이버역량 강화를 위해 필요한 요소와 그에 대한 국가별 수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때문에 국가 사이버안보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그간 우리나라를 평가대상국으로 포함하여 평가를 진행한 다양한 평가결과로부터 국내 사이버역량 개선을 위한 정책적 분석은 다소 부족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미국 하버드 대학의 벨퍼센터에서 수행한 국가 사이버 추진력 지수(NCPI)의 평가결과에 대해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변형·적용해봄으로써 우리나라 사이버안보 정책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우리나라는 공격과 감시 목적의 사이버 기능 활용에 관한 정책 의제 형성이 필요하고, 인텔리전스와 방어에 관한 정책의 실효성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관련 정책 의제를 다루는 국내외 연구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정책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각 정책개선 방향에 관한 심층 연구를 추진할 것을 향후 과제로 제안하였다. 나아가 국가 사이버 역량평가 모델의 정책 분석적 활용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국내 실정을 반영하는 자체 모델 개발·활용이 필요하며, 이때 본 연구에서 제안한 평가결과 분석 방안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출연(연)의 중소기업 지원 세분화 전략에 관한 연구

        송민경(Minkyoung Song),길운규(Wun-Gyu Gil),심용호(Yong-Ho Sim),김서균(Seo-kyun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3

        본 연구는 현재까지 수행된 출연(연)의 중소기업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중소기업의 인식을 분석하여 그룹화하고 세분화전략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수행을 위하여 2016년도 국가과학기술연구회에서 수행한 시장 수요기반 출연(연) 중소기업 협력사업 고도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기반으로 212개의 중소기업의 설문결과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출연(연)과의 협력경험 및 협력유형에 따라 지원프로그램에 대한 수요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패밀리기업제도 정착 및 중소기업과의 지속적인 협력을 위해서는 협력강도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전략이 요구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군집별 지원전략을 토대로 향후 출연(연)의 개방형 협력 생태계 조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으며, 효과적인 맞춤화 지원을 통해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지원의 효율성 제고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egmentation strategies by analyzing SMEs’ perceptions of SME support program. That’s why we used the research report of the NST(National Research Council of Science & Technology), which is advanced cooperation way between GRIs and SMEs based on market demand.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demand for the SME support program depending on the type of cooperation and the cooperation experience with GRIs. This implies that a differentiated suppor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establishment of successful partnership between GRIs and SMEs.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e direction of open collaborative ecosystem formation in the future based on the support strategies of each cluster. And it is expected to help SMEs improve the competitiveness and efficiency of support through effective customization support do.

      • KCI등재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장기적 협력을 위한 영향요인 분석

        송민경(Minkyoung Song),박범수(Beom Soo Park )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3

        기술이 복잡해지고 기술수명이 짧아지면서 기업의 개방형 협력이 기술경영의 주요 전략으로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중소기업에 대한 기술공급처로 대두되고 있는 출연(연)의 경우 기술개발과 기업에 대한 일회적 지원에 익숙하다보니 제대로 된 협력을 수행하는 게 쉽지 않다. 게다가 기존의 많은 연구들은 주로 성과 결정요인이 무엇인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추어 왔을 뿐, 협력 파트너간의 장기적 관계형성에 필요한 특성이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출연(연)과 중소기업의 협력이 장기적으로 지속될 수 있도록 유인하는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검증하기 위해 이전 받은 기술의 상용화를 목적으로 개발인력을 중소기업에 파견하는 사업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업은 출연(연)과의 협력을 통해 획득한 기술적, 경제적 성과보다 오히려 지원받은 내용의 질과 관계된 인력 및 행정절차의 만족도가 높을 때 장기적 관계지속을 위한 관계의도가 높아지며, 지원성과는 지원요소가 장기적 협력관계 형성사이의 매개요인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향후 출연(연)이 중소기업과 보다 효과적으로 협력하기 위해서는 일회적 관계에 기반을 둔 단순 지원의 확대보다는 지원프로세스 및 지원내용의 질적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개편해 나가야 함을 시사해 준다. It is major strategy for SMEs to cooperate with other companies or Public Research Institutes(PRIs) as the essential technology is getting more complicated and technological life cycle is getting short. However, It is not easy to perform a proper cooperation with SMEs for PRIs, because they are accustomed to support SMEs in the short run. In addition, previous studies also have mainly focussed on finding determinants of performance as a consequence of temporary cooperation instead of long-term relationships among companie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which satisfaction is more effective to maintain the long-term cooperative relationship between PRIs and SMEs. As a result, it has found that when SMEs satisfy from quality of input like manpower supports R&D and context of the support program over the output like technological or economical performance, they intend to continue cooperation with PRIs. And this paper shows that the performance has mediated effect rather direct effect on long-term cooperation intention. In light of all the above, to cooperate with SMEs effectively, it will be suggested that PRIs enhance quality of support process and contents instead of quantity of support based on one-time cooperation.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입국 전·후 삶에 대한 연구

        송민경(Song, MinKyoung),김진원(Kim, JinWon) 한국아동복지학회 2017 한국아동복지학 Vol.- No.58

        본 연구의 목적은 중도입국청소년의 한국사회 입국 전·후 삶의 맥락에 대하여 깊이 있게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때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도입국청소년의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조선족 청소년이었다. 이들은 중국에서 아주 이른 시기에 친모와 이별을 경험했고, 양쪽 부모의 양육 부재 속에 친인척 등에 의해 대리양육 되기도 했다. 이때 심리적인 외로움과 공허함은 삶을 무기력하게 만들기에 충분했고, 반신반의 기대를 가지고 택한 한국행은 그들의 삶에 커다란 도전이 되었다. 한국에 온 후에는 안 좋은 행동들을 하면서 스스로의 안전을 저해하기도 했고, 무기력한 시간들을 보내기도 했다. 또 친부모와 다시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가족관계, 계부모와 이복 혹은 동복동생과의 관계로 인해 힘듦을 경험하기도 했다. 하지만 그들의 내면에는 스스로에 대한 긍정성과 앞으로 나아지지 않을까라는 기대감이 존재했고, 이들을 지원하는 가족 및 사회적 지지체계가 존재함으로 인해 발전 가능성을 가질 수 있었다. 결과 분석에는 조선족 청소년 7명의 구술 자료가 사용되었고, 이를 토대로 관련 프로그램에 반영될 수 있는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in depth the life of Korean-Chinese adolescents before and after entering Korean society. These adolescents experienced early separation from their biological mothers in China and were raised by relatives due to the absence of parents. The adolescents’ childhoods were filled with a sense of loneliness and emptiness, which made them feel hopeless in life, and traveling to Korea in hope and fear was a major challenge in their lives. After coming to Korea, they harmed themselves by engaging in toxic behavior and found themselves hopeless. They also experienced difficulties due to the relationships that needed to be rebuilt with their biological parents, as well as the relationships with their stepparents and half-siblings. However, they reported feeling self-confident and hopeful that their life would improve in the future. In addition, family support and social-support systems have given them a potential avenue for development. Verbal data collected from seven Korean-Chinese adolesc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recommendations to be reflected in related programs were provided.

      • KCI등재

        종중 법리의 딜레마

        송민경(Song, Minkyoung) 한국법학원 2013 저스티스 Vol.- No.137

        대법원 2005. 7. 21. 선고 2002다1178 판결을 계기로 종중의 구성원이 공동선조의 후손 중 성년 남자에서 성년 여자로까지 확대되었다. 이러한 판결의 취지는 그 결론의 정당성에 있어서 별다른 이의가 없지만, ‘종중이 자연발생적으로 성립한다’는 기존의 판시를 그대로 되풀이하고 있다는 점에서 학계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고 있다. 즉, 대법원이 종중을 둘러싼 법률관계의 기초로 삼고 있는 ‘종중의 자연발생론’이라는 특수한 법리가 우리나라 고유의 재래의 관습과 일치하지 아니하며, 비법인사단의 성립에 있어 구성원들 사이의 자발적인 조직행위를 요구하는 단체 법리와의 관계에서도 모순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종중의 자연발생론은 종중의 성립시기에 관한 사실명제의 차원의 진술을 내포함은 물론, 종중의 구성과 정체성에 관한 규범명제의 차원의 진술로까지 이해되어야 하기 때문에 학계의 비판은 다소 성급한 면이 없지 않다. 진정한 문제는 이러한 규범명제적 진술이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 과연 그것이 현행 법체계에서 타당한지 여부가 될 것이며, 이는 결국 종중 관습의 고유성과 근대법의 이상 사이의 딜레마의 문제로 환원하여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대법원은 이러한 딜레마에 직면하여, 종중의 구성과 법적 운명에 관하여는 종중 관습의 고유성을 강하게 관철하는 한편, 종중의 일상적인 운영과 재산처분행위에 관하여는 단체의 자율성을 크게 존중하는 양면전략적 해석을 구사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는데, 이러한 태도는 어느 한쪽의 논리나 요구에 치우치지 않은 채 구체적 타당성을 도모하며 사안을 해결하고자 하는 최고 법원 특유의 현실적인 정의감을 반영한다. 그러나 이러한 추상적인 법리가 소송내적으로 전개되는 과정을 따라가다 보면, 양면전략적 법리에 예기치 못한 틈새가 발생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법리적 패러독스를 어떻게 해소하여 나갈지가 향후 종중이 주체가 된 각종의 법률관계에서 중대한 법 해석 과제로 부상할 전망이다. The membership of Jongjung(the families of the same clan) has been expanded to adult women since the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2002Da1178. Although the decision cannot be objectionable in its final analysis, it has been confronted with severe criticism from many commentators in that it repeated the sentence from the earlier decision that “Jongjung spontaneously comes into existence when an ancestor dies.” They criticize it because it does not sit well with our old tradition on Jongjung and produces contradiction with the general principle that unincorporated association needs voluntary organization by its members. Yet the above mentioned criticisms seem to make hasty decisions without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nomogenesis thesis concerning Jongjung connotes a normative proposition as well as a factual proposition. The issues are the meaning of the normative preposition and its validity under our law and order, which can be translated into the dilemmatic problem between the originality of Jongjung tradition and the idea of modern civil law. The Supreme Court of Korea, confronted by the dilemma, has introduced two frontal positions which strongly support the originality of Jongjung on the matter of its membership and identity and at the same time respect the autonomy of Jongjung with regards to its ordinary operation and disposition. This interpretative strategy reflects a realistic sense of justice that tries to settle the dilemma emphasizing concrete validity without leaning toward either of the two. Nevertheless, if we follow the development of the strategy in a lawsuit, the two frontal interpretation would encounter an unexpected gap. Henceforth, to alleviate this interpretative paradox is expected to be a major task in responding to legal questions relating to Jongjung.

      • KCI등재

        난해한 사안에서의 법적 판단에 관한 연구 - 법의 공간적 재현과 반성적 추론의 시론(試論) -

        송민경(Song, MinKyoung) 한국법학원 2020 저스티스 Vol.- No.178

        그간 법 해석학에서 난해한 사안(hard case)의 원인과 그에 대한 해결 방안에 대해 여러 논의가 이루어졌다. 법실증주의, 드워킨, 법해석방법론, 법적 논증 이론, 하버마스의 담론이론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진단과 처방이 제시되었지만, 이론적 논쟁의 전선은 난해한 사안에서 법은 발견되는 것인가, 아니면 정당화되는 것인가, 라는 이율배반적 물음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본고는 이러한 대립적 논의가 함축하고 있는 공통의 전제를 탈구성하여 법 해석이라는 과업을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조망을 제시하고자 한다. 그 공통의 전제란, 법 해석 과정은 법의 보편적 의미가 미리 주어진 상태에서 그 의미가 개별 사안에 적용되는 것이며, 따라서 칸트가 말하는 규정적 판단력이 작용하는 전형적 국면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본고는 ‘사안과 규범 사이의 시선 왕래’라는 칼 엥기쉬의 오래된 통찰을 되살려, 법 해석이란 개별 사안이 놓인 구체적 지점에서, 해석자의 구체적이고 상대적 시각으로부터, 그에게 개방된 여러 차원을 통해 법규범을 바라보고 또 이를 재현하는 문제라고 제안하는 바이다. 법 해석에서 개별 사안의 우선성은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사안은 법 해석자에게 칸트적 의미의 반성적 판단을 강요하는데, 해석자는 법의 규정적 의미를 발견하거나 법의 사후적 의미를 정당화하는 것이 아니라 사안이라는 계기를 통해 법의 반성적 의미를 일깨움 받는다. 난해한 사안에서 법에 관한 반성적 추론은 무엇이 입법 목적인지에 관한, 나아가, 전체로서의 법의 통일성에 관한 반성적 귀속의 과정이며, 선취된 법개념에 따라 어떤 대상을 재인식하여 개념에 포섭하는 것이 아니라, 미의 개념 없이 무엇인가 아름답다는 것을 깨닫는 과정처럼 그 대상에 합당한 개념을 되찾아주는 일에 가깝다. 따라서 본고는 사안을 중심으로 한 지점에서 다차원적으로 목격되고 반성적으로 추론된 법의 의미를 되물어가는, 코페르니쿠스적 인식 전환을 제시한다. 사안과 논리 사이의 진정한 맞부딪힘이 없는 법적 사고는, 단지 개념에서 선취한 바를 대상에서 재인식하는 법적 사고는, ‘죽음에 이르는 독단의 잠’에 빠져들 것이다. 마지막으로, 법 해석을 ‘법-회화’라는 공간적 사유를 빌어 이해하는 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법의 시간이 지닌 의미를 되돌아볼 것이다. 우리는 법의 무수한 회화들이 누적되고 종합되는 가운데 이루는 법의 발전과 성숙을, 법의 (정합적) 진리에 내주하는 법의 시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Many discussions have been made about the causes and solutions to difficult problems in forensic analysis. A variety of diagnoses and prescriptions have been proposed, ranging from legal positivism, Dworkin, law interpretation methodology, legal argument theory, and Habermas discourse theory. The front line of the theoretical debate centered on the betrayal question of whether a law is found or justified in a difficult issue. This paper attempts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task of legal interpretation by deconstructing the common premise implied by these opposing discussions. The common premise is that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law is applied to the individual case, given the universal meaning of the law in advance, and thus the typical phase in which Kant’s regulatory judgment works. However, this paper revived Karl Engish"s long-standing insight into the ‘communication between matter and norm’,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is a specific point in which the individual case lies, from the concrete and relative perspectives of the interpreter, through various dimensions open to him. It is suggested to look at and to reproduce this problem. The priority of individual issue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law does not end there. The issue compels the interpreter to reflect on the Kant"s meaning, and the interpreter is awakened to the reflective meaning of the law through an occasion rather than discovering the legal meaning of the law or justifying the ex post meaning of the law. Reflective reasoning on law in difficult matters is a process of reflective attribution as to what is the purpose of legislation and further as to the unity of law as a whole. Rather than recognizing and subscribing to an object in accordance with a pre-existing law concept, it is more like retrieving a concept that is appropriate to the object, such as the process of realizing something beautiful without the concept of beauty. Thus, this paper proposes a Copernicus perception shift, reflecting on the meaning of law that is multidimensionally observed and reflectively inferred at one point around the issue. Legal thinking without a real conflict between case and logic, will only fall into the “sleep of dogma that leads to death.” Finally, we will go one step further in understanding the interpretation of law based on the spatial reason of “law-painting” and look back at the meaning of the time of law. We can understand the time of law indwelling the law"s (consistent) truth in the development and maturity of the law, which is achieved by the accumulation and synthesis of countless paintings of law.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의 직업훈련에 관한 참여 실행연구

        김진원(Kim, Jinwon),송민경(Song, Minkyoung),이슬아(Lee, Seula),유멍(Yu, Meng)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7 한국청소년연구 Vol.28 No.2

        본 연구는 중도입국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직업훈련 과정에 참여 실행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청소년의 변화 과정과 실천가 및 연구자의 개입과정 등을 깊이 있게 탐색해보았다. 나선형 실행연구모델을 토대로 총 3번의 자기반성적 실행과정이 이루어졌으며, 총 12명이 참여하였다. 직업 훈련과정(인턴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청소년들의 기술적 직업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반복적 실행과정 동안 점진적으로 역할을 부여하고 확장함으로써 그들의 긍정적인 변화가 역동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참여청소년들에게는 미숙한 언어 문제와 그들을 둘러싼 외부사건 및 생활시간 관리에 대한 어려움 등도 존재하였다. 실천가는 실행과정에서 참여청소년들의 생활시간 관리에 매몰되어 본연의 역할을 고민하였으며, 점차 다양한 역할수행으로 인한 정체성 혼란을 경험하였다. 이를 통해 실천가는 다중역할의 부담 완화를 위해서 참여청소년들이 처한 고유한 상황에 대한 사례관리 측면의 개입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연구자들은 연구초기에 실행연구에 대한 모호성과 역할 혼란을 느꼈으나 실행과정 동안 연구자의 모습에서 벗어나 참여자의 모습으로 함께 어울릴 때 내적 성장을 경험했다. 일련의 경험을 근간으로 참여 실행연구를 통한 긍정적 성장을 위해서는 모든 참여자들의 능동적 참여가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실천개입과 연구의 중간자적인 맥락으로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적 실행과정을 시도해보고 각 참여자 측면의 변화를 살펴보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연구결과를 통한 실천적·정책적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plored the changes in the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ng youth, a practitioner, and researchers by means of a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ject on the vocational experiences immigrant youth. Based on the action research spiral model, self-reflection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here were 12 participants in this study. During the implementation process, the technical proficiency of the immigrant youth clearly improved. However, they were confronted by persistent language problems, time management issues, and problems with external events. The practitioner experienced identity confusion due to the varied roles undertaken. The researchers recognized the issues of ambiguity and role confusion inherent in this kind of participatory action research project. In add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active participation is important for the positive growth of all participa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work in this area we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토피 아동 대상 산림치유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인숙(Lee, Insook),방경숙(Bang, Kyung-Sook),김성재(Kim, Sungjae),최희승(Choi, Heeseung),이부현(Lee, Buhyun),송민경(Song, Minkyoung) 한국산림휴양복지학회 2016 한국산림휴양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는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통해 아토피피부염을 가진 아동을 대상으로 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해 종합적인 고찰을 하고자 시행되었다. 검색엔진은 Pubmed, CINAHL, EMbase, Riss4u, DBpia를 사용하였으며 검색기간은 2015년 9월 20일부터 11월 17일 까지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아토피피부염 아동이며, 중재방법은 산림 및 숲에서 이루어진 중재, 대조군은 산림 및 숲 관련 중재를 받지 않은 군이다. 결과는 산림치유 관련 중재에 대한 아토피의 효과로 설정하여 문헌을 검색하였다. 연구 설계는 무작위 실험설계, 유사실험설계 및 원시실험설계를 모두 포함하였다. 확정된 검색식을 이용하여 검색한 결과 총 5개의 논문을 도출하였다. 5개 논문들의 연구설계는 모두 단일군 전후비교연구였으며, 연구대상의 연령 분포는 5세에서 12세 사이로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받은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윤리 측면에서 5개 연구 모두 동의서를 받았다는 언급과 임상시험 윤리 위원회의 허가를 받았다는 언급이 없었다. 연구들의 중재 프로그램은 산림경험 체험, 교육, 운동 등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캠프 기간은 당일 또는 2-3박이었다. 가장 많이 사용된 결과변수는 SCORAD index였으며, 그 외에 TARC/CCL17, MDC/CCL22: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가 생리적 지표로 사용되었고 교육효과 평가로 질환에 대한 인식도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단일군 전후설계라는 제한점은 있지만 5개의 연구 중 4개의 연구에서 SCORAD 점수가 사전에 비해 사후에 유의하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 기초하여, 산림치유가 아토피 질환 아동에게 미치는 효과를 보다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서는 향후 대조군 설정을 포함하여 무작위 대조군 전후실험연구가 이루어질 것을 제언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reviewing the literature to determine the effects of forest program for atopic dermatitis children. Literature search was performed using Pubmed, CINAHL, EMbase, Riss4u, DBpia, for literature published until November 17, 2015. Search participants were children of atopic dermatitis, intervention of forest program conducted in the forest, comparators of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the treatment, and study outcome was the effect of atopic dermatitis. Experimental trials examining effect of forest program for children’s atopic dermatitis were selected. A total of 5 studie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The scale of the studies was small. All studies were pretest-posttest one group design, participant’s age ranged from 5 to 12 years old. There were no description for obtaining informed consent and being reviewed by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and some problems for statistical method were found in the studies. The program contents were forest experiencing, education, activities, one to 3 day camp. The mostly used outcome measure was SCORAD index, followed by TARC/CCL17, MDC/CCL22: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TARC)/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 and perception of disease.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fact that each studies had the significant effect of the interventions. There is some studies for forest program is effective for children of atopic dermatitis. Further systematic and methodological study and well-designed clinical trial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