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식된 문자의 강한 특징점을 활용하는 측위시스템

        송도훈(Do-hoon Song),박종일(Jong-il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에서는 시각-관성 측위시스템(Visual-Inertial Odometry, VIO)에서 광학 문자 인식(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OCR)을 활용해 문자의 영역을 찾아내고, 그 위치를 기억해 측위시스템에서 다시 인식되었을 때 비교하기 위해 위치와 특징점을 저장하고자 한다. 먼저, 실시간으로 움직이는 카메라의 영상에서 문자를 찾아내고, 카메라의 상대적인 위치를 이용하여 문자가 인식된 위치와 특징점을 저장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저장된 문자가 다시 탐색되었을 때, 문자가 재인식되었는 지 판별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인공적인 마커나 미리 학습된 객체를 사용하지 않고 상황에 따른 문자를 사용하는 이 방법은 문자가 존재하는 범용적인 공간에서 사용이 가능하다.

      • KCI등재

        다차원적 구호서비스 제공이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 구호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

        박형주,송도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3 保健社會硏究 Vol.43 No.4

        본 연구는 다차원적 구호서비스가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구호서비스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재난피해자 삶의 변화 추적조사(2018)’를 활용하였으며, 주요 변수에 응답한 19세 이상 재난 피해자 1,046명을 분석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Stata/MP 17.0을 활용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첫째, 제공받은 구호서비스 수가 많아질수록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호서비스 만족도가 재난 피해자의 다차원적 구호서비스와 사회적응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서비스의 질이 충분히 보장되지 못한 상태에서 서비스가 제공되는 것이 재난 피해자의 사화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침을 보여주는 것이며 재난 피해자가 만족할 수 있는 서비스가 보장되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이를 바탕으로 재난 피해자의 사회적응 증진을 위한 구호서비스 개선의 정책적・실천적 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은둔 청년의 사회신뢰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전예빈,송도훈,박선희 사단법인 대한보건협회 2024 대한보건연구 Vol.50 No.1

        -Purpose:The recent increase in youth seclusion is not an individual problem. It is a social problem that affects the entire society.  In this context, the level of trust in society experienced by secluded young adults should be of interest to their mental health.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effect of social trust on depression among secluded young adults and to suggest ways to recover mental health among secluded young adults. -Methods:This study utilised data from the 2022 Youth Life Survey conducted by the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and th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We categorised 257 secluded young adults according to the definition of seclusion defined by the Cabinet Office of Japan and used their responses for analysis. We used STATA 18.0 to analyse the effects of social trust on depression among secluded young adults. -Results:The results showed that higher levels of trust in society were associated with lower levels of depression among secluded young adults. In addition, longer periods of seclusion, lower gross household income, and living in non-metropolitan area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Conclusion: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restoring trust in society through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isolation and depression experienced by secluded young adults.

      • AMDF를 이용한 화자위치 추정에 관한 연구

        차경환,박수홍,송도훈,이채봉 東西大學校 1999 동서논문집 Vol.5 No.-

        본 연구에서는 원격 화상회의 시스템 등에서 Camera를 자동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화자의 음성신호를 4개의 마이크폰 배열(Microphone Array)로 수음하여 그 신호에 의해 화자의 위치를 추정한다. 마이크로폰으로 수음한 음성신호의 TDE(Time Delay Estimation)를 계산할때 그 연산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AMDF알고리즘을 사용한다. 각 마이크로폰 출력신호에 대해 amdf 알고리즘으로 시가니연을 구하고 DOA(Direction of Arrival)를 계산한다. 다양한 조건하에서 음성신호로 실험한 결과, AMDF 알고리즘을 이용한 화자위치 추정의 정확도가 기존의 cross-correlation 방법에 비해서 우수한 성능을 나타내었다. This paper decribes the estimation of speech source using four microphones array singnal for the automatic control caramera position in the teleconference system. To reduce the calculation rate, AMDF algorithm is empoloyed for the TDE(Time delay Estimation) of the speech signal with microphone. The time delay is calculated using AMDF algorithm of each microphone output signal and DOA is obatained. According to the estimation of speech source in speech signal/아/under various conditions. AMDF-technique-based method yields superier performance to the one with cross-correlation method.

      • KCI등재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 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오지원,유현경,송도훈 한국사례관리학회 2023 사례관리연구 Vol.1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whether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responding to this social phenomenon have different effects on job satisfac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well-being.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244 social service wage workers under the age of 90 who responded to the 6th working environment survey (2020). As for the method, the moderating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ignificance of the moderating effect was presented through a simple slope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job characteristics that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service workers were task feedback, task identity, task significance and skill variety and well-being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input variables. Second, among the job characteristics of social service workers, the effect of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was moderated by well-be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measures to increase job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well-being of social service workers were presented at the institutional, local government, and national level. 본 연구는 돌봄의 탈가족화가 가속화되어 사회 각 영역에서 돌봄의 수요가 높아지는 지금 이와 같은 사회현상에 대응하는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안녕감의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제6차 근로환경조사(2020)에 응답한 만 90세 미만 사회서비스 임금근로자 1,244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활용해 조절회귀분석을 하고 단순기울기검증으로 조절효과의 유의성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은 피드백, 과업중요성, 과업정체성, 기술다양성이었으며, 안녕감은 투입한 변수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나타냈다. 둘째, 사회서비스 근로자의 직무특성 중 자율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안녕감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었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사회서비스 근로자 안녕감의 차이에 따른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한 실천 및 정책적 방안을 기관 및 지자체 그리고 국가 차원에서 제시하였다.

      • 실시간 영상 기반 신경망을 이용한 마스크 착용 감지 시스템

        고건혁,최성진,송도훈,박종일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1 No.11

        본 논문에서는 합성곱 신경망을 활용하여 영상에서 마스크 착용 및 미착용 상태를 탐지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의 유행에 따라 감염 및 확산방지를 위해 마스크 정상적 착용이 요구되는데 몇몇 사람들은 이를 지키지 않고 있으며 현재의 감시 시스템은 입구에서 마스크 착용 여부를 검사하는 방식으로 작동될 뿐 공간에 입장한 다음 착용 여부를 알 수 없다. 제안하는 방법은 합성곱 신경망을 통해 영상에서 얼굴을 탐지하여 얻은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수사람들의 마스크 착용 및 미착용 상태를 판별하는 방법으로 설계하였다.

      • 이벤트 기반으로 복원한 영상에서의 노이즈 제거 방법

        백승한(Seunghan Paek),송도훈(Dohoon Song),박종일(Jong-Il Park)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0 한국방송공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20 No.11

        본 논문에서는 이벤트 데이터를 프레임으로 복원한 영상에서 이벤트 카메라의 특성을 고려한 노이즈 제거 방법을 제안한다. 이벤트 카메라는 프레임 기반 카메라보다 급격한 움직임이나 밝기 차이가 존재하는 환경에서 강인하게 동작한다. 그러나 이벤트 카메라의 특성 상 다수의 노이즈가 포함되게 된다. 이러한 노이즈들은 컴퓨터 비전 기반 특징점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는 과정에서 주변 화소들과 급격한 차이를 보여 특징점으로 오인될 가능성이 높다. 제안하는 방법은 추출된 특징점들을 보간(interpolation)하고 이를 반복하여 노이즈를 제거하였다. 또한 기존의 노이즈 제거 방법들과 비교한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이 이벤트 카메라의 특성을 잘 반영하였음을 보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