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xploring Determinants of Smartwatch Diffusion Using a Value Adoption Model

        송근혜,박종현,이승민,Song, Geunhye,Park, Jong-Hyun,Lee, Seungmin Korea Technology Innovation Society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스마트워치의 확산이 예상과는 달리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공급업체들은 현재의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어떠한 속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확산을 이루어야 하는가를 타당하게 수행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가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되는 혜택과 이를 위해 치러야 할 비용을 소비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시장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23개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여 구조 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치의 두 가지 혜택(utilitarian and hedonic)과 세 가지 비용(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이 가치인식을 통해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가치인식과 사용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목할 점은, 소비자들이 스마트워치가 사회적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다는 점이다. 즉, 스마트워치 사용이 소비자에게 이미지 향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전략은 스마트워치 확산에 큰 기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스마트워치의 시장 확산을 이루기 위해서는 혁신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혜택을 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Contrary to predictions, the market diffusion of smartwatch is proceeding slowly. Smartwatch companies should pursue new strategies to overcome this so-called chas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smartwatch attributes valuable for target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s beneficial and sacrificial features influencing overall perceived value of smartwatch, which in turn affects usage intention, and considers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A total of 323 usable data were analys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The results show that two benefits (utilitarian and hedonic) and three sacrifices (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 significantly impact on usage intention via perceived value. A significant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as a moderator is also observed. Interestingly, the influence of social benefits on perceived value is not supported, which means strengthening image improvement strategies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the diffu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hasm, suitable strategies should be used, and focusing on consumers who are highly innovative are strongly recommended.

      • 정신건강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과 유망 서비스

        송근혜,김문구,박안선,Song, G.H.,Kim, M.K.,Park, A.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6

        Because of economic polarization and difficulties, extreme personalization, and the complexity of social relationships, modern people are experiencing various mental disorders or pathologies. Accordingly, there is an urgent need to prepare more active countermeasures and support those with mental health difficulties to improve mental health and prevent abnormal pathologies.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expected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individuals through emotional enhancement beyond affective computing. We investigated how to use AI to prevent and diagnose mental diseases or disorders, support treatment, and manage followup. In particular, promising services that can be used in daily life or medical clinics were discovered and active directions for realizing these services are suggested.

      • 미래 스마트시티 비전과 과제: 도시문제 대응을 중심으로

        송근혜,박안선,Song, G.H.,Park, A.S.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20 전자통신동향분석 Vol.35 No.6

        The smart city agenda aims to solve various problems arising in cities and promote the welfare and happiness of citizens by utilizing the new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Smart city policies have been promoted at the national level, but until now, policy implementations have not been effective enough to fundamentally affect citizens. To realize a more realistic and practical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the problems occurring in the city in depth and set the direction and tasks of the smart city accordingly. Therefore, this study specifies the issues and problems faced in 12 sectors, including manufacturing, logistics, medical care, and safety. Next, by referring to the existing literature, a future smart city integration model is proposed that can respond to these problems. That is, future smart cities should create detailed services with enhanced efficiency, sustainability, strong risk management, safety, and satisfaction as the main goal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a vision and tasks of smart cities that can solve problems in various sectors in a form that can be felt by the citizens.

      • 기술진화로 인한 인간과 기계의 사회적 관계 연구

        송근혜(Geunhye Song),이승민(Seungmin Lee) 한국기술혁신학회 2017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Vol.2017 No.11

        기술혁신으로 인간과 로봇의 문자·음성형 대화가 가능한 사회가 도래하고 있다. 인간이 로봇에 정서적 반응을 나타낸다는 선행연구 결과는 로봇이 도구적 장치에서 벗어나 친밀감을 맺을 수 있는 대상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흐름을 반영하여 본 연구는 심리학에서 연구되어온 애착이론이 인간과 로봇의 관계에도 적용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먼저 인간이 기계를 의인화한다는 기존의 인간-로봇 상호작용 연구를 검토하고,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에 대한 애착이론을 고찰하였다. 또한 인간이 기계와 정서적 관계를 맺을 수 있으나 타인과는 다른 방식으로 형성함을 선행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그런 다음, 애착이론을 토대로 인간과 로봇의 가능한 사회적 관계양상을 그려보았다. 마지막으로 로봇과의 소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질 가까운 미래사회에 인간과 로봇의 건전한 관계형성을 위한 후속연구 주제들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최신 기술흐름을 반영하여 대화가 가능한 로봇을 대상으로 연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인간이 타인과 관계를 맺는 방식을 바탕으로 인간이 로봇의 관계양상을 심층적으로 모색해 보았다는 점에서 함의를 지닌다.

      • KCI등재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및 도덕적 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송근혜(Song, Geun-Hea),조규판(Cho, Gyu-P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이 도덕적 행동에 미치는 구조적인 인과관계와 직․간접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 연구대상은 B시 소재 4개 대학교 748명을 대상으로 도덕적 자아, 자기통제력, 공감, 도덕적 행동 척도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최종적으로 전체 723명의 자료가 분석에 포함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20.0을 이용한 구조방정식모형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의 공감은 도덕적 행동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둘째,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 및 자기통제력은 공감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다. 셋째, 대학생의 도덕적 자아는 공감을 매개로 도덕적 행동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넷째, 대학생의 자기통제력은 공감을 매개로 도덕적 행동에 간접적인 효과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공감이 도덕적 행동에 직접적인 효과가 있으며, 이는 대학생의 도덕적 행동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타인에 대한 이해 및 관심을 내포하는 공감이 중요한 작용을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들에게 바람직한 도덕적 가치 선택을 할 수 있도록 도덕적 자아에 대한 정체감 형성과 자기를 통제할 수 있는 의지력이 도덕적 수행을 도울 수 있으며, 대학생들의 도덕적 행동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변인들 모두를 포함하여 이들 간의 인과관계를 고려한 체계적인 도덕성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moral self, self-control, empathy and moral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723 students were selected from 4 universities in Busan. Moral Self Scale, Self-Control Scale, Empathy Scale, and Moral Behavior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And data have been analyzed using AMOS 20.0. Model fit indices had been estimated to examine the model identification using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had been analyzed using the structural regression model.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university students self⎽control and empathy affect moral behavior directly. Second, university students moral self and self⎽control affect empathy directly. Third, university students moral self affects moral behavior through empathy indirectly. Fourth, university students self⎽control affects moral behavior through empathy indirectly. The conclusions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s empathy affects moral behavior directly, and university students s moral self or self⎽control affect moral behavior through empathy indirectly. Thus the main conclusion is that moral self and self⎽control are linked to positive moral value choice, for this it need to develop morality program to improve the moral understanding and much interest in others.

      • KCI등재

        Exploring Determinants of Smartwatch Diffusion Using a Value Adoption Model

        Geunhye Song(송근혜),Jong-Hyun Park(박종현),Seungmin Lee(이승민) 한국기술혁신학회 2018 기술혁신학회지 Vol.21 No.2

        스마트워치의 확산이 예상과는 달리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스마트워치 공급업체들은 현재의 캐즘을 극복하기 위해 새로운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스마트워치의 어떠한 속성을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시장 확산을 이루어야 하는가를 타당하게 수행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스마트워치가 가져다줄 것으로 예상되는 혜택과 이를 위해 치러야 할 비용을 소비자 관점에서 분석하고,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시장 확산에 기여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23개의 유효데이터를 확보하여 구조방정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스마트워치의 두 가지 혜택(utilitarian and hedonic)과 세 가지 비용(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이 가치인식을 통해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혁신성향이 가치인식과 사용의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주목할 점은, 소비자들이 스마트워치가 사회적 혜택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할 것이라는 가설이 기각되었다는 점이다. 즉, 스마트워치 사용이 소비자에게 이미지 향상을 가져다 줄 것이라는 전략은 스마트워치 확산에 큰 기여를 하지 않을 수 있다. 스마트워치의 시장 확산을 이루기 위해서는 혁신성향이 높은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소비자들이 기대하는 혜택을 활용하는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Contrary to predictions, the market diffusion of smartwatch is proceeding slowly. Smartwatch companies should pursue new strategies to overcome this so-called chasm; however, little is known about smartwatch attributes valuable for target consumers. This study investigates beneficial and sacrificial features influencing overall perceived value of smartwatch, which in turn affects usage intention, and considers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A total of 323 usable data were analysed using partial least squares. The results show that two benefits (utilitarian and hedonic) and three sacrifices (usability, performance, and finance) significantly impact on usage intention via perceived value. A significant effect of personal innovativeness as a moderator is also observed. Interestingly, the influence of social benefits on perceived value is not supported, which means strengthening image improvement strategies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the diffusion. In order to overcome the chasm, suitable strategies should be used, and focusing on consumers who are highly innovative are strongly recommended.

      • 스타트업의 네트워크 다양성이 기회인식에 미치는 영향

        민수진(Sujin Min),송근혜(Geunhye Song),이민화(Minhwa Lee) 한국경영학회 2015 한국경영학회 통합학술발표논문집 Vol.2015 No.08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네트워크 다양성이 창업자의 기회발현믿음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창업초기 기업들의 네트워크 다양성이 창업지식의 획득을 증진하여 궁극적으로 기회발현에 대한 믿음을 강하게 할 것이라는 가정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네트워크 다양성이 스타트업의 기회발현믿음에 미치는 영향력과 더불어, 지식획득의 매개효과와 기업가 지향성의 조절효과를 함께 검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더불어, 위험을 감수하고 진취적이며 혁신적인 행동을 취하려는 기업가 지향성이 기회발현믿음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이를 위해 총 54문항으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창업 5년이하의 스타트업 대표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79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스타트업의 네트워크 다양성이 창업과정에서 필요한 지식획득과, 기회발현믿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지식획득과 기회발현믿음의 관계 역시 정적인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 다양성이 지식획득의 완전매개과정을 거쳐 기업가들의 기회발현믿음을 높이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조절효과 분석결과, 지식획득에 대한 네트워크 다양성과 기업가 지향성의 주효과는 발생하였으나,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즉, 기업가 지향성의 수준과 상관없이 네트워크 다양성은 지식획득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업가 지향성과 기회발현믿음은 정적인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함의를 도출한 후 향후 연구방향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cribe and examine the effects of network diversity on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In particular, it is intended to verify whether knowledge acquisition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diversity and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and whether entrepreneurial orientation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diversity and knowledge acquisition. In addition, we propose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which is including risk taking, proactiveness, and innovativenes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to entrepreneur’s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Using survey data from 79 startup CEOs less than five years in Kore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bootstrapping have been used to investigate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a) network diversity is positively related to knowledge acquisition and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respectively, and that (b) knowledge acquisition has positive connection with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Also, (c) it is found that there is a mediation effect of knowledge acquisi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diversity and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However, the moderation effect of entrepreneurial orientation is not effective. Finally, empirical evidence suggest that entrepreneurial orientation positively affect opportunity-recognition belief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limitations and th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KCI등재

        중학생의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조규판(Cho Gyu Pan),송근혜(Song Geun He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대상으로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 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중학생들에게 기질, 원가족의 정서 적 건강성, 그리고 자아분화 검사를 실시하여, 이들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 고,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 았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질과 자아분화와의 상관관계에서 기질의 정서성과 자아분화 간에는 유 의미한 부적상관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가족의 정서성과 자아분화 간에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셋째, 기질 및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 아본 결과 기질의 하위요인인 정서성, 활동성과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의 하위요 인인 자율성이 중학생의 자아분화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독립변인으로 나타났으 며, 이들 세 변인이 자아분화의 약 50%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선천적인 경향을 가지는 기질의 하위요인들은 정서적 감정과 지적인 사고의 조화로운 성숙 을 내포하는 자아분화 수준에 부적 관계를 가지며, 자신의 행동에 대한 책임감 및 타인에 대한 이해심과 신뢰감을 내포하고 있는 원가족의 정서적 건강성이 중학생 의 자아분화 수준에 정적 관계를 나타냄으로써, 중학생의 자아분화 성숙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질에 따른 개인차를 고려한 가족 프로그램 및 가족의 정서적 건강성 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temperament and the emotional health of the family of origin on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135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of Emotionality, Activity, and Sociability(EAS), Family-of-Origin Scale(FOS), and the Scale of Self-Differentiation. The conclusions based on result and discussion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ity of temperament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self-differentiation. We have to consider the individual differences of temperament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emotionality of the family of origi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self-differentiati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need to develop and keep balance of the spirit of cooperation and independence to increase the level of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the sub-factors of the emotionality and activity from temperament and autonomy and intimacy from the healthiness of the family of origin significantly explain the self-differenti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factors of temperament that have an inborn tendency had negative relations with the self-differentiation that implies a harmonized maturity between emotional feelings and intellectual thinking, while the emotional healthiness of the family of origin that implies the responsibility for one s own behavior and the understanding and trust toward others had a positive relation with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fferentiation level. Conclus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dividual differences based on middle school students temperament nee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family programs and other approaches customized for th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