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r:YAG 레이저 조사가 Streptococcus mutans의 증식억제에 미치는 효과

        송광철,이창섭,이상호,이난영,Song, Gwang-Chul,Lee, Chang-Seop,Lee, Sang-Ho,Lee, Nan-Young 대한소아치과학회 2003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30 No.1

        Er:YAG 레이저의 구강내 산 생성 세균인 S. mutans에 대한 살균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S. mutans KCTC 3065가 포함된 세균배양액에 $650{\mu}m$ 직경의 조사 beam을 갖는 Er:YAG 레이저를 비접촉식 방법으로, 조사세기(50mJ, 100mJ, 150mJ)와 pulse repetition rate(5Hz, 10Hz, 20hz) 그리고 조사시간(1초, 3초, 5초)을 달리하여 조사하고 이때의 세균 배양액의 온도변화, 세균 군락수, 산 생성능, 불용성 세포외다당류의 양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한 군이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세균의 군락수가 감소되었으며 조사세기와 pulse repetition rate가 클수록, 그리고 조사시간이 길어질수록 세균 군락수가 비례하여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러나 $10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세균 군락수의 변화가 적었다. $1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S. mutans의 산 생성능이 일정시간 동안 억제되었으나 $10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를 조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산 생성능의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1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레이저 조사에 의해 S. mutans의 불용성 세포외다당류의 합성이 부분적으로 감소되었으나 $100{\mu}l$ 세균 배양액에서는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이와 같은 사실에 근거해 볼 때 레이저는 S. mutans에 대한 증식억제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그 기전은 초음파 등에 의한 기계적 작용이 아닌 열작용에 의한 것임을 추정해 볼 수 있다.ation angle check 등 기존의 기계적 점검을 디지털 영상을 이용하여 실행할 수 있었다. 결 론: 기존의 Flat 또는 정육면체 형태의 기계적 점검 장치로는 쉽게 하기 힘든 non-coplanar field에 적용되는 Gantry와 Couch가 동시에 rotation 되었을 때 그 isocenter의 일치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R)}$를 도포한 후 중합한 군이 산소억제층의 두께가 평균 49%의 감소되었으며(p<0.05), 이들 산소를 차단한 군 간의 유의차는 없었다.며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영향은 관찰할 수 없었다. CYP1A2유전자형에 따른 생체내 대사능을 관찰하는 실험이 향후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san film보다 큰 수증기 투과도를 보였다.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y tissue layer thinning은 3 군모두에서 관찰되었고 항암 3 일군이 가장 심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술전 항암제투여가 초기에 시행한 경우에는 조직의 치유에 초기 5 일정도까지는 영향을 미치나 7 일이 지나면 정상범주로 회복함을 알수 있었고 실험결과 항암제 투여후 3 일째 피판 형성한 군에서 피판치유가 늦어진 것으로 관찰되어 인체에서 항암 투여후 수술시기는 인체면역계가 회복하는 시기를 3주이상 경과후 적어도 4주째 수술시기를 정하는 것이 유리하리라 생각되었다.한 복합레진은 개발의 초기단계이며, 물성의 증가를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또 다른 약물인 glycyrrhetinic acid($100{\mu}M$)도 CCh 자극으로 인한 타액분비를 억제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gap junction은 흰쥐 악하선 세포로부터의 타액분비 조절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는 gap junction이 세포막 $Ca^{2+}$ 통로를 조절함으로써 수용체 자극으로 유발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sterilization effect of Er:YAG laser against the intraoral acid producing bacterium, S. mutans, by irradiating the culture solution containing S. mutans KCTC 3065 with Er:YAG laser having a $650{\mu}m$ diameter beam through the non-contact method.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after examining the temperature changes of the culture solution, numbers of bacterial colonies, and acid-producing ability and attaching ability on teeth by measuring the amou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produced by S. mutans. The number of bacterial colony was decreased in $10{\mu}l$ culture solution irradiated with laser in overall compared to the control solution. The number decreased as the irradiation intensity and pulse repetition rate were larger and as the exposure time was increased. However, it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in $100{\mu}l$ culture solution compared to the control solution. Although the acid-producing ability of S. mutans was inhibited for a certain duration after laser irradiation in 10r1 bacterial culture solution, it did not change in $100{\mu}m$ solution compared with the control solution. The amount of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synthesized by S. mutans was partially decreased through laser irradiation in $10{\mu}m$ culture solution but did not change in $100{\mu}m$ culture solution.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ncluded that Er:YAG laser has an sterilization effect on S. mutans in which we presume that the mechanism is through the heat effect rather than the mechanical effect from development of ultrasound.

      • KCI등재후보

        성장기 아동에서 Activator-Headgear를 이용한 II급 부정교합의 치험례

        조영준,이창섭,송광철,정현구,이상호,Cho, Young-Jun,Lee, Chang-Seop,Song, Gwang-Chul,Jung, Hyun-Ku,Lee, Sang-Ho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3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을 가지는 아동에서 상악골의 과도한 성장은 흔히 전후방적 요소 뿐 아니라 수직적 요소도 가지고 있는데, 그 이유는 상악골이 전하방으로 성장, 이동할 경우 하악골이 후하방 회전하기 때문이며, 하악골의 성장이 전방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치료목표는 하악골이 더욱 돌출 되어 상악골과 정상적인 관계를 가지도록 성장하는 동안 상악골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구외력을 적용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으로 보고되고 있다. 조선대학교 소아치과에 내원한 골격성 II급 1류 부정교합 환자에서 C II activator와 headgear를 이용한 구외력을 적용후 양호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axilla overgrowth who diagnosis with skeletal Class II division 1 have transverse and also sagittal problem. If maxillary growth vector is direction to anterior inferior, mandible is rotation to clockwise pattern and it disturbance it's anterior growth. At this time, treatment goal is restrict of maxillary growth to accomplish ideal intermaxillary relation and one of treatment choice is the application of extraoral force. This report is 3 case treated by activator and headgear combination therapy, who diagnosed with skeletal Class II div. 1 malocclusion.

      • KCI등재후보

        Pendulum 장치의 상악대구치의 원심이동에 대한 효과

        이창섭,김재광,강덕일,송광철,정현구,이상호 대한소아치과학회 2001 大韓小兒齒科學會誌 Vol.28 No.3

        Ⅱ급 치성교합을 가진 환자에서는 I급 구치부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pendulum장치를 이용한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시 대구치의 이동양상과 고정원의 전방이동 및 정출정도 등 치아와 골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상악 제1대구치를 원심이동시켜 1급 구치관계가 형성된 19명의 환자 (남: 8명. 여: 11명, 평균연령 11.68±1.52세)에서 장치 장착 전과 장치제거 직후에 얻어진 측면두부방사선사진을 비교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I급 교합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서 제 1대구치는 평균 2.94± 1.54mm 원심이동하였으며 . 1.17±0.97mm 함입되었고, 소요기간은 평균 18.13±7.95일이었다. 2.고정 원으로 사용된 치아는 1.34± 1.40mm로 유의하게 전방 이동하였으며, 0.48±0.99mm 정출되었다. 또한 절치는 유의한 전방이동 및 순측경사가 발생하였다(P<0.05) . 3.구개평면과 하악평면이 이루는 각은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P(0.05). 4.제1소구치 또는 제1유구치가 고정 원으로 이용된 경우 제2소구치 또는 제2유구치가 이용된 경우 보다 전방이동이 증가하였다(P<0.005). 5. 제2대구치의 발육단계에 따른 제1대구치 및 제2대구치의 이동양상은 어떤 항목과도 유의성이 없었다(P<0.05). 6.얻어진 총 공간 중 74%는 제1대구치의 원심이동이,26%는 소구치의 전방이동에 의하여 얻어졌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pendulum appliance는 상악 대구치의 원심이동에 매우 효과적이었으며. 고정원의 소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2유구치 또는 제 2소구치가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제1대구치의 원심경사는 필연적으로 일어나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Treatment of class Ⅱ malocclusions require distalization of maxillary molars into class I relationship. Intra-arch distal molar movement techniques have recently assumed an important role in young patients. In this study, the dental and skeletal effects of the pendulum appliance were evaluated by means of cephalometric radi-ographs. The samples were consisted of 19 patients: 11 females and 8 males, mean age 11.68± 1.52 years. Measurements were obtained from cephalometric prior to and the day of removal of the pendulum appliance. Treatment changes were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 : 1. The pendulum appliance produced 2.94±1.54mm distal molar movement with a mean intrusion of 1 17± 0.97mm, mean period 18.13±7.95 weeks. 2. The anchor tooth was 1.34± 1.40mm forward movement and 0.48±0.99mm extrusion, and labial tilting of incisors. 3. The angle between palatal plane and mandibular plane increased significantly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ing to 2nd molar position. 5. Total movement was consisted of 74% distal movement of 1st molar and 26% forward movement of the an-chor toot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