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어+하다’류 외래어 형용사의 국어 내 정착 양상 연구 - 한자어, 고유어와의 유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손혜옥,이수미 한국어의미학회 2011 한국어 의미학 Vol.35 No.-

        As research on the settlement of loan words from a lexical view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synonymic relation of loan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with their corresponding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sampled from the entries of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Yonsei Korean Dictionary>, and corpus materials and Naver newspaper articles were used. Through this process, we defined the semantic domain occupied by this type of adjectiv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their synonymic relation with existing adjectives in three categories: those synonymous with existing words; those similar to existing words, and those without any synonymic relation with existing words. This study overcame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ltered people’s attention from nouns, which have been the focus of previous studies on loan words, to adjectives and reilluminated loan words that have been considered redundant with existing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or harmful to the purity of our language. Loan words will be imported and coined continuously as long as the speech community’s desire to create new words is not fully gratified. Our duty is continuity research on loan words, regarding them not simply as objects of cleanup but as our assets that enrich our language life along with existing words.

      • KCI등재

        ‘첨가’ 계열 연결어미들의 의미 분석과 구문 해석 -관련성 이론에 기반하여-

        손혜옥 한국어의미학회 2023 한국어 의미학 Vol.82 No.-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sentences containing ‘additive’ Korean connective endings that evoke ‘strengthening’ cognitive effects and their procedural meanings. The Korean connective endings that analyzed in this study are ‘-geoniwa’, ‘-eulppundeoleo’, ‘-ji’.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oniwa’ and ‘-eulppundeoleo’ lead a hearer to understand that both preceding and subsequent propositions support the same assumption and to infer that same assumption. As propositions that function as evidence for the same assumption appear sequentially, the strengthening occurs. ‘-Geoniwa’ tends to be used with expressions such as ‘to’, ‘kkaji’, ‘yeoksi’, ‘tto’. This usage tendency of ‘-geoniwa’ is due to its diachronic change of function. ‘-ji’ leads a hearer to understand a subsequent proposition as a negation of a proposition that is incompatible with a preceding clause, thereby correcting a hearer’s misconception and affirming the truth of a preceding proposition.

      • KCI등재

        ‘못’ 부정 표현과 ‘-을 수 없-’ 구성의 의미 비교

        손혜옥,유현경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red component meanings and non-shared component meanings of the similar expressions, ‘mos’ negative expressions and ‘-ul swu eps-’ periphrastic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ared component meaning of ‘mos’ negative expressions and ‘-ul swu eps-’ is ‘impossibility’. However, the component meaning of ‘mos’ negative expressions is ‘impossible of the actualization of an event’, which is more narrowly defined than ‘-ul swu eps’. Because the ‘mos’ negative expressions are limited in their use in adjectives or ‘-i-’ phrases. ‘Incapability’, ‘forbiddennes’, ‘willingness to non-actualization’, ‘prohibition’ mentioned as meanings of ‘mos negative expression and ‘-ul swu eps-’ can be judged as the conetxt meanings. ‘Epistemic meaning’ also cannot be the component mean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from ‘impossible’ and to find it’s own context of the use that is distinct from ‘impossible’ Second, ‘mos’ negative expressions have ‘non-actualization’ and ‘not reached to the state that a speaker prefers’ as their component meanings unlike ‘-ul swu eps’ periphrastic construction. ‘Non-actualization’ always appears with ‘impossibility’ and ‘not reached to the state that a speaker prefers’ appears in the different context of these. ‘Impossibility’ of ‘mos’ expressions is the cause of ‘non-actualization’, which leads to somewhat contradictory restrictions on the use of ‘mos’ negative expressions. ‘Not reached to the state that a speaker prefers’ can be found in some adjective phrases and ‘-i-’ phrase, in the same context ‘-ul swu eps-’ can be interpreted as ‘impossible’

      • KCI우수등재

        '-지만'의 절차적 의미와 영역

        손혜옥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만’ 구문에서의 ‘-지만’의 의미론적 기여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절차적 의미 요소로서 ‘-지만’의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 ‘-지만’이 사용될 수 있는 영역과 ‘-지만’의 절차적 의미가 타 영역에서도 유효한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만’의 절차적 의미는 청자로 하여금 선후행 명제가 특정 속성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는 화자의 현저한 인식을 이해하는 데로 이끄는 것이며, 이는 ‘대조’라 할 수 있다. 비대칭 ‘-지만’ 구문에서 '-지만'은 청자로 하여금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상식에 기반한 전제의 확인, 전제를 기반으로 한 가정의 도출, 그리고 후행 명제에 의한 가정의 취소라는 구체적이고 일관된 해석의 절차로 안내한다. 이것은 소위 ‘기대 부정’의 해석이다. 그러나 ‘기대 부정’의 해석에서 가정은 선행 명제에 해당되고 이 선행 명제가 후행 명제와 부정 혹은 반의 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므로 ‘기대 부정’은 ‘대조’의 해석에 수렴될 수 있다. 또한 ‘기대 부정’과 일반적인 ‘대조’의 해석이 변별되지 않고 모호한 ‘-지만’ 구문도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만’의 절차적 의미는 ‘대조’라고 보고, ‘기대 부정’은 ‘대조’에 속하는 특수하면서 꽤 관습화된 의미로 보았다. 둘째, ‘-지만’이 사용되는 영역은 인식 영역과 화행 영역이다. ‘대조’는 논리적이거나 객관적 의미 관계로 확인될 수 없는 것이며 화자의 인식과 관련한 것이므로 ‘-지만’은 실제 세계와 관련된 내용 영역에서가 아닌 인식 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지만’의 영역별 사용은 화행 영역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외에 엄격히 변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동일 문장이라도 맥락에 따라 두 가지 영역에서의 사용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동일 문장 동일 맥락이라도 두 영역이 구분되지 않고 모두 해석되기도 한다.

      • KCI우수등재

        한국어에서 내면화 의미의 존재 양상

        손혜옥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emantic type of assimilation meaning in Korean. In order to do this, it is discussed how to understand the main terms of assimilation, and identified what types of meaning for describing grammatical markers are. The results are as follow. ‘-Kuna’ has ‘unassilmilated knowledge’ as a foreground meaning. ‘-Gess-’ has ‘unassilmilated knowledge’ as a background meaning and ‘-eulgesi-’ has ‘assilmilated knowledge’ as a background meaning. ‘Assimilated knowledge’ of ‘-keodeun’ and ‘Unassimilatedknowledge’of‘-Ne’arebothderivedmeanings. ‘Assimilated knowledge’ of ‘-ci’ is an implicature.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insistence that only ‘unassilmilated knowledge’ can realize in a marked way in languages. Therefore, ‘assimil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grammatical markers, but it is not appropriate for indicating a grammar category in Korea. ‘Mirativity’ can be a more appropriate term for indicating a grammatical category.

      • KCI등재

        한국어 접속문에 나타나는 ‘-었-’의 생략 현상의 환경과 해석: ‘-고’, ‘-지만’, ‘-으니’ 접속문을 중심으로

        손혜옥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본 연구에서는 ‘-고’, ‘-지만’, ‘-으니’ 접속문을 대상으로 한국어 접속문에서 시제 생략이라고 했던 현상들에 대해서 그 환경을 밝히고, 원인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 접속문의 경우 공간나열의 의미를 갖는 ‘-고’ 접속문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에서 시제 생략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고’ 접속문의 시제 생략 현상을 생략으로 보지 않고 구조적 차이로 설명했다. ‘-지만’ 접속문은 선행절 동사구의 어휘상이 상태동사구일 때, 선행절에 반복상이 나타날 때, 선행절의 ‘-었-’의 유무에 의한 시제 해석의 차이가 사라졌다. ‘-으니’ 접속문은 선행절의 동사구의 어휘상이 상태동사구일 때 선행절에 진행상이 나타날 때 선행절의 ‘-었-’ 유무에 의한 시제 해석의 차이가 사라졌다. ‘-으니’의 경우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상대시제의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설명했다. 상대시제의 경우 선행절의 ‘-었-’ 유무에 따른 과거/현재의 차이는 종료,완료/진행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과거 시제 형태소 ‘-었-’이 상태동사구나 진행형에 결합할 때는 종료상이 드러날 수 없기 때문에 의미 변별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리고 ‘-지만’, ‘-으니’ 접속문에 보이는 이런 현상을 시제 중화 현상이라 하였는데, 이는 Comrie(1985)의 시제 중화 개념을 들여와 그 의미를 수정한 것이다.

      • KCI등재후보

        시설청소년의 자립 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손혜옥,최외선,이미옥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13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improvements by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independence of teenagers raised in fostering facilities. Therefore, this paper will help provide information contributing to the promotion of a self-support program.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8 high school students inhabiting 18 fostering facilities in Daegu. The research tools were the measurements of social support, problem-solving skills, right awarenessand preparation for self-support and the period of collecting data was from March 7th to April 19th, 2008. Th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tracking analysis and Scheffé test were done by the SPSS WIN 14.0 Program, which analyzed the materials. The summarize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 group aware of their occupational goals (M=2.96) received more support, had a higher level of right awareness and morepreparation than the group that was not . Second, the better one had developed their occupational goals, the more social support they received, the higher problem-solving skills and greater level of right awareness they possessed, and the higher level of preparation for self-support they had. The preparation was indirectly affected by the awareness of one’s occupational goal and directly by establishing job goals, social support, problem-solving skills and right awarenes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establishing an occupational vision is important for young students in fostering facilities. This indicates that the collaboration between fostering facilities and local resources with speciality is essential. Counseling and mentoring programs are needed for preparing young students to get a sense of their desired careers before leaving foster facilities. Training facility workers to provide emotional support would build a constant support network and caring system for young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양육시설에서 생활하는 시설보호청소년의 자립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모색하여 자립지원 활동이 질적으로 개선되고, 자립지원 프로그램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지역에 소재하는 18개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고등학생 128명이며, 연구도구는 사회적 지지 척도, 문제해결능력 척도, 권리인식 척도, 자립준비도 척도이며, 자료수집기간은 2008년 3월 7일에서 4월 19일까지다. 자료 분석은 t-test,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경로분석과 사후검증으로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경변인에 따른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문제해결능력, 권리 인식, 자립준비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시설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에서는 직업목표를 인식한 집단이 직업목표를 인식하지 못하는 집단보다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고, 권리 인식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목표를 수립하고, 인식한 집단이 직업목표를 수립하지 못하고 인식하지 못한 집단보다 자립의지와 생활관리능력, 자존감 그리고 자립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청소년의 자립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직업목표 수립, 직업목표 인식, 사회적 지지, 문제해결능력, 권리 인식이 자립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직업목표를 잘 수립할수록, 직업목표를 확실하게 인식할수록,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문제해결능력이 높을수록, 권리 인식도가 높을수록 자립준비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목표 인식은 자립 준비도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직업목표 수립, 사회적 지지, 문제해결능력, 권리 인식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통해 시설청소년에게 직업관 형성이 자립준비에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동양육시설이 직업 및 취업의 전문성을 가진 지역사회 자원과 잘 연계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시설에서 자립지원에 대한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전담직원을 지원해야 하며, 퇴소를 앞둔 시설 청소년에게 멘토 역할을 할 수 있는 취업처를 발굴하여 퇴소하기 전에 직장체험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는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뿐만 아니라 시설종사자를 대상으로 상담 등의 교육 기회를 제공하여 청소년들에 대한 지속적인 관리와 지지망을 형성할 수 있는 정서적 지지원이 이루어 져야 한다.

      • KCI우수등재

        양태 표현이 부호화하는 의미의 분석과 양태 발화의 해석

        손혜옥 국어학회 2024 국어학 Vol.- No.112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meanings encoded by modal expressions and the process of utterance interpretation based on relevance theory. The study focuses on the expressions ‘-kess-’, ‘-eoya ha-’, and ‘-eul su is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kess-’ is an ambiguous expression that encodes two semantic elements, directly influencing the formation of higher-level explicatures. It encodes two semantic elements, directly influencing the interpretation of higher-level explicature. One leads the hearer to interpret the ‘-kess-’ utterance as a higher-level explicature, implying that ‘the speaker assumes the embedded proposition is probably true.’ The other leads the hearer to infer a more specific higher-level explicatures related to the speaker's intention. The interpretation process of the ‘-kess-’ utterance begins with disambiguation. If ‘assumption (probability)’ is selected, the embedded proposition is understood as a metarepresentation. If ‘intention’ is selected, the embedded proposition is understood as a potential event. Depending on contextual factors, the ‘-kess-’ utterance is interpreted as a more specific higher-level explicatures, such as ‘determination’, ‘promise’ or ‘threat’. Second, ‘-eoya ha-’ encodes two semantic elements: ‘necessity (obligation) of the actualization of situation’ and ‘assumption (necessity)’. If, in the process of disambiguation, ‘assumption (necessity)’ is chosen, ‘-eoya ha-’ utterance can be interpreted as ‘the speaker assuming, based on reasoning, that the embedded proposition is necessarily true’, with the embedded proposition understood as a metarepresentation. If ‘-eoya ha-’ is interpreted as ‘necessity (obligation) of the actualization of a state of affairs’, then, through free enrichment - considering factors such as the source and recipient of the oblig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of affairs - the ‘-eoya ha-’ utterance can be interpreted as explicatures like ‘obligation’ or ‘attribute’. When ‘-eoya ha-’ utterance is interpreted as subjective modality, it may lead the hearer to infer higher-level explicatures such as ‘command’, ‘request’, or ‘hope’. Third, ‘-eul su iss-’ encodes th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a potential situation’. An utterance containing ‘-eul su iss-’ can be interpreted as various explicatures—such as expressing ‘possibility’, ‘ability’, or ‘permission’—through a free enrichment based on contextual resources, such as factors aff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state of affairs and the person who desires its realization. When the utterance containing ‘-eul su iss-’ is interpreted as subjective modality, it leads the hearer to infer a higher-level explicature, understood as "the speaker grants permission for the potential state of affairs.

      • KCI등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을 위한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 고찰 – 漢韓大辭典, 韓國漢字語辭典,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을 중심으로 –

        손혜옥,김다미,차명희,김우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동양학 Vol.- No.88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in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which are the basic resources for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and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discussed before developing i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examine all of the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so we selec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with largest number of headwords, the special dictionaries,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ctionary headwrods are as follows. Firs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nd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have the greatest coverage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hile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contain vocabulary of specific genres. Second, in all four dictionaries,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headwords were not reflected in the macrostructure of them. Therefore, except for the head-characters of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 which can be seen as a word, it seems that the four dictionaries contain headwords with quite a variety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such as a word, idioms that acquire new meanings, patterns, typical syntactic construct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we were able to find out several points to discuss before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First,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veloping lexical semantic networks should be discus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select data with homogeneous linguistic characteristics from digital Chinese vocabulary data, and how to select it if possible. 이 연구는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의 기본 자원이 되는 기구축된 디지털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고찰하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에 앞서 먼저 논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연구에서 모든 디지털 한자어 사전의 표제어들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가장 많은표제어를 싣고 있는 漢韓大辭典 , 한국 문헌에만 등장하는 어휘를 모아 놓은 韓國漢字語辭典 , 특수 목적사전이라 할 수 있는 한국고전용어사전 , 옛편지낱말사전 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표제어 범위 면에서 살펴본 결과, 한한대사전 과 한국한자어사전 은 한국 문헌에만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여 한·중·일 고전 한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자와 어휘를 포괄하고자 했고 표제어 규모도 커 한문어휘에 대한 포괄성은 가장 넓다. 한편 한국고전용어사전 과 옛편지낱말사전 도 고전 한문 자료를 바탕으로한 사전이나 전자는 주로 기관에서 발행한 공적 문서를 바탕으로 하였다면 후자는 사적 문서인 간찰을 바탕으로 표제어를 선정하였으므로 특정 장르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었다. 언어적 특성 면에서는, 네 사전 모두 표제어의 언어적 성격이 사전의 거시 구조 차원에서 구분되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단어로 볼 수 있는 한한대사전 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한한대사전 과 한국한자어사전 의 어휘 표제어와 한국고전용어사전 , 옛편지낱말사전 의 표제어들은 모두 단어에서부터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관용구, 의미 합성성을 지키고 있는통사적 구성에 이르기까지 꽤 다양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것들이 혼재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표제어 성격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의미망 개발을 위한 다음의 논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개발하려는 어휘의미망의 성격을 확정하고 그에 합당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골라내는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보통 어휘의미망 개발은 유사한 언어적 속성을 가진 것을 모아 개발되는 편이므로 한한대사전 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다양한 언어적 속성이 혼재된 한자 어휘 데이터들에서 균질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어떻게 골라낼 수 있을지, 혹은 이러한 데이터의 성격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어휘 의미망은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현대 국어에서의 ‘-더-’의 범주적 위상 - 종결형 ‘-더라’를 중심으로 -

        손혜옥 한국어의미학회 2013 한국어 의미학 Vol.40 No.-

        This paper argues that ‘-teo-’ in ‘-teola’ is both a tense marker and an evidential modality marker. ‘-teo-’ has a evidential modality meaning indicating that a preceding proposition to ‘-teo-' is a speaker's a cognition through a direct sensory experience. And ‘-teo-’ also indicates the past time point when the speaker acquired the information(the cognition, the proposition). Although the time ‘-teo-’ indicates is a cognition time, ‘-teo-’ can be considerd as tense. Because the time reference of ‘-teo-’ corresponds with the definition of tense, which is a grammaticalized expression of location in time, A view of including a location of cognition time in time line in tense can give us a good explanation about ‘-eoss’ that can scope over epistemic modality construction. Many previous literature considerd ‘-teo-’as either a tense marker or a modality marker, and they accounted the another categorical characteristics to the derived meaning or a function from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which they considered. But if we classify ‘-teo-’ as only a modality marker, we can not explain the imperfective aspectual meaning of ‘-teo-’ and if we classify ‘-teo-’ as only a tense marker, we can not explain why the proposition is the cognition through the speaker's direct sensory. Therefore considering ‘-teo-’ as a morpheme combining information about evidential modality and tense gives us a good explanation of ‘-teo’. Across languages evidential modality markers often have the function to indicate the time the speaker get the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with the diachronic change. ‘-Teo’ is one of this kind of evidentail modality mak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