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첨가’ 계열 연결어미들의 의미 분석과 구문 해석 -관련성 이론에 기반하여-

        손혜옥 한국어의미학회 2023 한국어 의미학 Vol.82 No.-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terpretation of sentences containing ‘additive’ Korean connective endings that evoke ‘strengthening’ cognitive effects and their procedural meanings. The Korean connective endings that analyzed in this study are ‘-geoniwa’, ‘-eulppundeoleo’, ‘-ji’. The results are as follows. ‘-Geoniwa’ and ‘-eulppundeoleo’ lead a hearer to understand that both preceding and subsequent propositions support the same assumption and to infer that same assumption. As propositions that function as evidence for the same assumption appear sequentially, the strengthening occurs. ‘-Geoniwa’ tends to be used with expressions such as ‘to’, ‘kkaji’, ‘yeoksi’, ‘tto’. This usage tendency of ‘-geoniwa’ is due to its diachronic change of function. ‘-ji’ leads a hearer to understand a subsequent proposition as a negation of a proposition that is incompatible with a preceding clause, thereby correcting a hearer’s misconception and affirming the truth of a preceding proposition.

      • KCI우수등재

        '-지만'의 절차적 의미와 영역

        손혜옥 국어학회 2022 국어학 Vol.- No.103

        본 연구의 목적은 ‘-지만’ 구문에서의 ‘-지만’의 의미론적 기여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절차적 의미 요소로서 ‘-지만’의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 ‘-지만’이 사용될 수 있는 영역과 ‘-지만’의 절차적 의미가 타 영역에서도 유효한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만’의 절차적 의미는 청자로 하여금 선후행 명제가 특정 속성에서 서로 다른 값을 가지고 있다는 화자의 현저한 인식을 이해하는 데로 이끄는 것이며, 이는 ‘대조’라 할 수 있다. 비대칭 ‘-지만’ 구문에서 '-지만'은 청자로 하여금 일반적으로 공유되는 상식에 기반한 전제의 확인, 전제를 기반으로 한 가정의 도출, 그리고 후행 명제에 의한 가정의 취소라는 구체적이고 일관된 해석의 절차로 안내한다. 이것은 소위 ‘기대 부정’의 해석이다. 그러나 ‘기대 부정’의 해석에서 가정은 선행 명제에 해당되고 이 선행 명제가 후행 명제와 부정 혹은 반의 관계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으므로 ‘기대 부정’은 ‘대조’의 해석에 수렴될 수 있다. 또한 ‘기대 부정’과 일반적인 ‘대조’의 해석이 변별되지 않고 모호한 ‘-지만’ 구문도 존재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지만’의 절차적 의미는 ‘대조’라고 보고, ‘기대 부정’은 ‘대조’에 속하는 특수하면서 꽤 관습화된 의미로 보았다. 둘째, ‘-지만’이 사용되는 영역은 인식 영역과 화행 영역이다. ‘대조’는 논리적이거나 객관적 의미 관계로 확인될 수 없는 것이며 화자의 인식과 관련한 것이므로 ‘-지만’은 실제 세계와 관련된 내용 영역에서가 아닌 인식 영역에서 사용되는 것이다. ‘-지만’의 영역별 사용은 화행 영역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는 경우 외에 엄격히 변별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동일 문장이라도 맥락에 따라 두 가지 영역에서의 사용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동일 문장 동일 맥락이라도 두 영역이 구분되지 않고 모두 해석되기도 한다.

      • KCI등재

        영어+하다’류 외래어 형용사의 국어 내 정착 양상 연구 - 한자어, 고유어와의 유의 관계 분석을 중심으로 -

        손혜옥,이수미 한국어의미학회 2011 한국어 의미학 Vol.35 No.-

        As research on the settlement of loan words from a lexical viewpoint, this study analyzed the synonymic relation of loan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with their corresponding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2’ adjectives of ‘English+hada’ type sampled from the entries of <Standard Korean Dictionary> and <Yonsei Korean Dictionary>, and corpus materials and Naver newspaper articles were used. Through this process, we defined the semantic domain occupied by this type of adjectiv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analyzed their synonymic relation with existing adjectives in three categories: those synonymous with existing words; those similar to existing words, and those without any synonymic relation with existing words. This study overcame limitations in previous studies in that it altered people’s attention from nouns, which have been the focus of previous studies on loan words, to adjectives and reilluminated loan words that have been considered redundant with existing Sino‐Korean words and native words or harmful to the purity of our language. Loan words will be imported and coined continuously as long as the speech community’s desire to create new words is not fully gratified. Our duty is continuity research on loan words, regarding them not simply as objects of cleanup but as our assets that enrich our language life along with existing words.

      • KCI등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을 위한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 고찰 – 漢韓大辭典, 韓國漢字語辭典, 한국고전용어사전, 옛편지낱말사전을 중심으로 –

        손혜옥,김다미,차명희,김우정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The aim of this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in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which are the basic resources for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and to find out what needs to be discussed before developing it.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examine all of the digital Chinese dictionaries, so we selec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with largest number of headwords, the special dictionaries,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as the research subject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ctionary headwrods are as follows. First,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and Dictionary of Korean-Chinese Characters have the greatest coverage of classical Chinese vocabulary, while Dictionary of Korean Literature’s Term , Word Dictionary of Traditional Letter contain vocabulary of specific genres. Second, in all four dictionaries, the linguistic features of the headwords were not reflected in the macrostructure of them. Therefore, except for the head-characters of Great Chinese-Korean Dictionary , which can be seen as a word, it seems that the four dictionaries contain headwords with quite a variety of linguistic characteristics, such as a word, idioms that acquire new meanings, patterns, typical syntactic construct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headwords, we were able to find out several points to discuss before developing a classical Chinese lexical semantic network. First,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data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eveloping lexical semantic networks should be discussed.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uss whether it is possible to select data with homogeneous linguistic characteristics from digital Chinese vocabulary data, and how to select it if possible. 이 연구는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의 기본 자원이 되는 기구축된 디지털 한자어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고찰하여 한자 어휘 의미망 개발에 앞서 먼저 논의해야 할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연구에서 모든 디지털 한자어 사전의 표제어들의 성격을 고찰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므로 가장 많은표제어를 싣고 있는 漢韓大辭典 , 한국 문헌에만 등장하는 어휘를 모아 놓은 韓國漢字語辭典 , 특수 목적사전이라 할 수 있는 한국고전용어사전 , 옛편지낱말사전 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 사전 표제어의 성격을 표제어 범위 면에서 살펴본 결과, 한한대사전 과 한국한자어사전 은 한국 문헌에만 나타나는 것을 포함하여 한·중·일 고전 한문 자료에 나타난 모든 자와 어휘를 포괄하고자 했고 표제어 규모도 커 한문어휘에 대한 포괄성은 가장 넓다. 한편 한국고전용어사전 과 옛편지낱말사전 도 고전 한문 자료를 바탕으로한 사전이나 전자는 주로 기관에서 발행한 공적 문서를 바탕으로 하였다면 후자는 사적 문서인 간찰을 바탕으로 표제어를 선정하였으므로 특정 장르적 성격을 반영하고 있었다. 언어적 특성 면에서는, 네 사전 모두 표제어의 언어적 성격이 사전의 거시 구조 차원에서 구분되어 반영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단어로 볼 수 있는 한한대사전 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한한대사전 과 한국한자어사전 의 어휘 표제어와 한국고전용어사전 , 옛편지낱말사전 의 표제어들은 모두 단어에서부터 새로운 의미를 획득한 관용구, 의미 합성성을 지키고 있는통사적 구성에 이르기까지 꽤 다양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것들이 혼재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표제어 성격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어휘의미망 개발을 위한 다음의 논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첫째, 개발하려는 어휘의미망의 성격을 확정하고 그에 합당한 데이터가 무엇인지 골라내는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보통 어휘의미망 개발은 유사한 언어적 속성을 가진 것을 모아 개발되는 편이므로 한한대사전 의 표제자를 제외하고 다양한 언어적 속성이 혼재된 한자 어휘 데이터들에서 균질한 언어적 특성을 가진 데이터를 어떻게 골라낼 수 있을지, 혹은 이러한 데이터의 성격을 고려할 때 현실적으로 개발 가능한 어휘 의미망은 무엇이 될 수 있을지 논의가 필요하다.

      • KCI등재

        ‘못’ 부정 표현과 ‘-을 수 없-’ 구성의 의미 비교

        손혜옥,유현경 한국어의미학회 2020 한국어 의미학 Vol.70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hared component meanings and non-shared component meanings of the similar expressions, ‘mos’ negative expressions and ‘-ul swu eps-’ periphrastic construc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hared component meaning of ‘mos’ negative expressions and ‘-ul swu eps-’ is ‘impossibility’. However, the component meaning of ‘mos’ negative expressions is ‘impossible of the actualization of an event’, which is more narrowly defined than ‘-ul swu eps’. Because the ‘mos’ negative expressions are limited in their use in adjectives or ‘-i-’ phrases. ‘Incapability’, ‘forbiddennes’, ‘willingness to non-actualization’, ‘prohibition’ mentioned as meanings of ‘mos negative expression and ‘-ul swu eps-’ can be judged as the conetxt meanings. ‘Epistemic meaning’ also cannot be the component meaning because it is difficult to distinguish it from ‘impossible’ and to find it’s own context of the use that is distinct from ‘impossible’ Second, ‘mos’ negative expressions have ‘non-actualization’ and ‘not reached to the state that a speaker prefers’ as their component meanings unlike ‘-ul swu eps’ periphrastic construction. ‘Non-actualization’ always appears with ‘impossibility’ and ‘not reached to the state that a speaker prefers’ appears in the different context of these. ‘Impossibility’ of ‘mos’ expressions is the cause of ‘non-actualization’, which leads to somewhat contradictory restrictions on the use of ‘mos’ negative expressions. ‘Not reached to the state that a speaker prefers’ can be found in some adjective phrases and ‘-i-’ phrase, in the same context ‘-ul swu eps-’ can be interpreted as ‘impossible’

      • KCI등재

        한국어 접속문에 나타나는 ‘-었-’의 생략 현상의 환경과 해석: ‘-고’, ‘-지만’, ‘-으니’ 접속문을 중심으로

        손혜옥 국어학회 2010 국어학 Vol.0 No.58

        본 연구에서는 ‘-고’, ‘-지만’, ‘-으니’ 접속문을 대상으로 한국어 접속문에서 시제 생략이라고 했던 현상들에 대해서 그 환경을 밝히고, 원인을 찾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 접속문의 경우 공간나열의 의미를 갖는 ‘-고’ 접속문 이외에도 다양한 유형에서 시제 생략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고’ 접속문의 시제 생략 현상을 생략으로 보지 않고 구조적 차이로 설명했다. ‘-지만’ 접속문은 선행절 동사구의 어휘상이 상태동사구일 때, 선행절에 반복상이 나타날 때, 선행절의 ‘-었-’의 유무에 의한 시제 해석의 차이가 사라졌다. ‘-으니’ 접속문은 선행절의 동사구의 어휘상이 상태동사구일 때 선행절에 진행상이 나타날 때 선행절의 ‘-었-’ 유무에 의한 시제 해석의 차이가 사라졌다. ‘-으니’의 경우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에 대해 상대시제의 자체가 가지고 있는 특성으로 설명했다. 상대시제의 경우 선행절의 ‘-었-’ 유무에 따른 과거/현재의 차이는 종료,완료/진행으로 해석될 수 있는데, 과거 시제 형태소 ‘-었-’이 상태동사구나 진행형에 결합할 때는 종료상이 드러날 수 없기 때문에 의미 변별이 사라지는 것이다. 그리고 ‘-지만’, ‘-으니’ 접속문에 보이는 이런 현상을 시제 중화 현상이라 하였는데, 이는 Comrie(1985)의 시제 중화 개념을 들여와 그 의미를 수정한 것이다.

      • KCI우수등재

        한국어에서 내면화 의미의 존재 양상

        손혜옥 국어학회 2018 국어학 Vol.0 No.8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emantic type of assimilation meaning in Korean. In order to do this, it is discussed how to understand the main terms of assimilation, and identified what types of meaning for describing grammatical markers are. The results are as follow. ‘-Kuna’ has ‘unassilmilated knowledge’ as a foreground meaning. ‘-Gess-’ has ‘unassilmilated knowledge’ as a background meaning and ‘-eulgesi-’ has ‘assilmilated knowledge’ as a background meaning. ‘Assimilated knowledge’ of ‘-keodeun’ and ‘Unassimilatedknowledge’of‘-Ne’arebothderivedmeanings. ‘Assimilated knowledge’ of ‘-ci’ is an implicature.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insistence that only ‘unassilmilated knowledge’ can realize in a marked way in languages. Therefore, ‘assimilation’ can be used to describe the meaning of grammatical markers, but it is not appropriate for indicating a grammar category in Korea. ‘Mirativity’ can be a more appropriate term for indicating a grammatical category.

      • KCI등재

        현대 국어에서의 ‘-더-’의 범주적 위상 - 종결형 ‘-더라’를 중심으로 -

        손혜옥 한국어의미학회 2013 한국어 의미학 Vol.40 No.-

        This paper argues that ‘-teo-’ in ‘-teola’ is both a tense marker and an evidential modality marker. ‘-teo-’ has a evidential modality meaning indicating that a preceding proposition to ‘-teo-' is a speaker's a cognition through a direct sensory experience. And ‘-teo-’ also indicates the past time point when the speaker acquired the information(the cognition, the proposition). Although the time ‘-teo-’ indicates is a cognition time, ‘-teo-’ can be considerd as tense. Because the time reference of ‘-teo-’ corresponds with the definition of tense, which is a grammaticalized expression of location in time, A view of including a location of cognition time in time line in tense can give us a good explanation about ‘-eoss’ that can scope over epistemic modality construction. Many previous literature considerd ‘-teo-’as either a tense marker or a modality marker, and they accounted the another categorical characteristics to the derived meaning or a function from the categorical characteristics which they considered. But if we classify ‘-teo-’ as only a modality marker, we can not explain the imperfective aspectual meaning of ‘-teo-’ and if we classify ‘-teo-’ as only a tense marker, we can not explain why the proposition is the cognition through the speaker's direct sensory. Therefore considering ‘-teo-’ as a morpheme combining information about evidential modality and tense gives us a good explanation of ‘-teo’. Across languages evidential modality markers often have the function to indicate the time the speaker get the information, which is related with the diachronic change. ‘-Teo’ is one of this kind of evidentail modality makers.

      • KCI등재

        `가지다` 구성의 문법화에 대한 공시적 분석

        손혜옥(Hye Ok Son) 한국어학회 2012 한국어학 Vol.55 No.-

        In this study, considering grammaticization as a process, I analyzed the process of grammaticization of ``gajida`` in particular constructions synchronically: ``V-eo gajigo``, ``geurae gajigo``, ``NP(lul) gajigo``, ``NP(lul) ``gataga``. As a result of a grammaticization of ``-eo gajigo``, it is being in competition with ``-eo``, ``-eoseo`` currently, which is a renewal. Functional differences among ``-eo, -eoseo, -eo gajigo`` can be explained by principle of proximity/distance. ``geurae gajigo`` became a discourse marker through undergoing grammaticization indicating that former utterance is a cause of a proceeding utterance or speaker want to returning to the original topic. ``gajigo, gataga`` following NP are changing into particle whose meaning is an instrument or a cause. And ``gajigo, gataga`` have also emphatic function after a nominal object. However, ``gataga`` has less distributional restriction than ``gajigo``, which is explained by the difference in the process of grammaticization each other.

      • KCI등재

        그럼에도 불구하고 남은 문제들: 문숙영(2009)를 중심으로

        손혜옥(Son, Hyeok) 형태론 2019 형태론 Vol.21 No.1

        문숙영(2009)는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에서 몇 가지 중요한 성취를 이룬, 시제에 관한 종합적 논의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성취에도 불구하고 더 논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두 가지 문제를 중심으로 문숙영(2009)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보았다. 하나는 문숙영(2009)의 상황시 체계에 관한 것이다. 문숙영(2009) 에서는 상황시 체계를 과거 대 비과거의 대립으로 보았다. 그러나 비과거를 나타낸 다고 본 ‘-느-’와 ∅는 한정된 미래 상황을 지시하고, 미래 상황 지시에 사용될 때맥락의 도움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현재 시제 표지로 보는 것이 적당할 것이다. ‘-느 -’와 ∅의 함축적 의미가 모두 이들의 현재 지시 기능에서 비롯된다는 점도 현재 시제 표지로서의 타당성을 뒷받침한다. 따라서 한국어의 상황시 체계는 과거 대 현재의 대립을 이루며, 체계상의 빈칸인 미래 시제는 실현 가능성에 대한 화자의 판단에 따라 확실성이 높은 상황에 대해서는 현재 시제 표지로, 그보다 확실성이 낮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추측이나 의도의 양태 표지로 표시된다고 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인식시에 관한 문제이다. 문숙영(2009)에서는 ‘-더-’가 가리키는 인식시를 시제 논의에 포함하지 않는다. 시제가 ‘-더-’와 같이 특별한 의미를 가지는 경우는 드물 며, ‘-더-’ 하나만을 위해 범언어적으로 통용되는 시제의 정의를 수정하는 것은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더-’의 증거양태 의미와 인식시 지시 기능 중에 전형적 쓰임을 찾을 수 없다는 점, 그리고 한국어에서 ‘-더-’ 외에도 ‘-네’, 추측 표지와 결합한 ‘-었-’이 인식시를 가리킬 수 있다는 점에서 화자의 인식론적 의미를 나타 내는 구문에서의 시제로서의 인식시를 시제 논의 안에 포함시키는 것에 대해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critically reviewed Moon(2009), focusing on two issues. One is about the Moon(2009)’s situation tense system. According to Moon(2009), Korean has a tense system that distinguishes between past and non-past. But it is appropriate that ‘-ne-’ and ∅ are described as present tense markers. Because -ne- and ∅ indicate a limited future situation, and require specific context when used indicating future situa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Korean has a binary tense system of past and present. Future situation, which is a systematic blank, is marked by -ne- and modality markers. Another is about the cognition time. In Moon(2009), cognition time of ‘-teo-’ was not included in tense. But we can not find the typical use of ‘-teo-’ between evidential meaning and indicating past cognition time and there are evidential markers indicating cognition time like –teo-‘ in some languages. In Korean, ’-ne’ and ’-eoss-’ combined with epistemic modality markers also indicate cognition time. So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cluding the cognition time in the tense as the tense of constructions having epistemological mean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