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협업의 관점에서 바라본 정부주도 과학문화 사업의 한계와 대안

        손향구(Hyang Koo Shon),박진희(Jin Hee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11

        사회 제반 문제를 논의하는 과정에 합리적 사고, 창의성, 비판적 검증을 근간으로 하는 과학문화의 역할과 의미가 점차 확대되고 있다. 과학문화 확산을 위해서는 대중과 전문가간의 쌍방향 소통을 기반으로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콘텐츠를 제공하거나 자발적으로 전개되고 있는 시민과학 활동을 지원하는 방안을 마련해 대중의 능동성을 지속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과학자, 정부정책담당자, 커뮤니케이터, 문화예술인, 전시담당자 등 다양한 주체간의 협업체계를 구성해야하며, 협업이 원활하게 진행되기 위해서는 참여자들 간의 합의, 동기부여, 리더십, 의사소통, 신뢰관계 형성 등의 요인이 제대로 충족되어야한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자문회의, 인터뷰, 워크숍 등을 통해 취합된 의견과 자료조사를 토대로 정부주도 과학문화 사업에서 이러한 요인들이 얼마나 실천되고 있는지 검토한 후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특히, 과학문화사업인력을 충원하고 커뮤니케이션 허브, 지역거점, 플랫폼 등의 기반을 구축해야하며, 사업 참여자의 경쟁과 협업을 촉진하기 위해 사업선정방식을 개선하고, 나아가 규제와 보수체계를 현실화해야 한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이는 대중을 수동적 담지자로 전제하는 결핍모형에서 벗어나 자신의 관심을 능동적으로 표출하고 참여하는 구성원으로 고려하는 맥락모형이나 참여모델관점에서 사업의 효율성을 증진하는데 필요한 포괄적 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The meaning and role of science culture based on such values as rational thinking, creativity, critical validation has been growing in the process of discussing various social problems. In order to diffuse science culture, it is important to sustain citizen’s activeness by providing contents which can induce interest on the base of two-way communication between public and experts and to support citizen activities performed voluntarily. To that end, various people such as scientist, government policymaker, communicator, those in charge of culture and art, exhibition curator should make up collaboration system and such requirement as motivation, leadership, agreement between the participants, communication, trust relationship is also to be met properly in order to proceed collaboration efficiently. This study reviews how these factors are coming true in governmental project for science culture and develops proposal for improvement on the base of opinions collected through expert meetings, interviews, workshop and data research. In addition, it explains that government must strengthen scientific cultural project personnel and lay infra such as communications hub, regional center, platform and improve the business selection method to promote competition and collaboration among project participants with reformation of reward and regulatory systems. It is performed to suggest comprehensive ways to increase efficiency of project for science culture out of not the deficit model which regard public as passive acceptant but context model or PES(public engagement in science) that take public who focus his attention and participate actively into account.

      • KCI등재

        일반인을 위한 과학대중화 콘텐츠 개발의 효율성 제고 방안

        손향구(Hyang-Koo Shon) 한국콘텐츠학회 201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6 No.2

        과학기술로 인한 사회경제적 파급효과가 점차 증가하며 정책결정과정에 대중의 참여가 요구되고 이로 인해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과학대중화의 필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우리 정부도 이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과학대중화의 저변을 확대하기 위해 꾸준히 노력해왔지만 성과가 뚜렷하게 나타나지는 않았다. 정부지원기관인 과학관에서는 청소년을 위한 프로그램만이 주로 제공되고 있으며 과학전문 채널의 시청률은 매우 저조한 상태이다. 한편, 최근 들어 민간분야에서 저예산으로 제작된 일부 콘텐츠가 대중들로부터 상당한 호응을 얻고 있는데, 이는 흥미 있는 주제 선별, 대중의 눈높이, 외부전문가활용, 양방향 소통방식 등의 요소를 적절히 고려하며, 대중의 요구에 탄력적으로 대응한 것에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상호작용 모형에 근거한 PUS(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과학대중화이론)이론에 기초하여 팟캐스트 기반 프로그램, 현장강연 사례, 민간기업 전시행사와 팹랩 등의 민간분야 콘텐츠를 분석하고 이의 성공요인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나아가 향후 우리 정부가 과학대중화정책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민간분야 콘텐츠 제작을 보다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양자 간 협업체계를 구축하여 시너지효과를 창출해야한다는 사실을 환기시킨 후 이에 필요한 정책을 제안하였다. The growing socio-economic effect caused by science and technology requires public to participate in policy-making process, which makes government to boost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PUS). Government has also exerted to construct infra for PUS. However results are not so meaningful. The government-funded science museum has mainly provided the program for students. Besides, science broadcasting channel has recorded the worst viewing rate. Meanwhile, some of the private sector-manufactured contents have attracted public attention in recent years, which is realized by considering elements such as an interesting topic selection, use of outside experts, two-way communication system, level adjusting for public through flexible running system. This study analyze podcast based program, face to face lectures, display contents by private industry, fab lab etc. on the base of the reciprocal PUS model to sort out the reason they have successful results. Futhermore, it argues that government should intensify support for private sector and create synergy effect by cultivate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US and offers public policy to realize the plan.

      • KCI등재

        대학 과학교양교육 효율성 제고를 위한 융합적 교수법 개발: 플랫폼미디어 기반 유튜브 콘텐츠 활용을 중심으로

        손향구(Shon, Hyang K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20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8 No.3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기 미래인재와 시민사회구성원에 요구되는 자질 함양을 위해 과학교양교육의 개선노력이 있으나 기초과학에 대한 문해력을 증진시키는 효과는 미비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유튜브 기반 과학콘텐츠를 활용해 과학지식에 대한 대중의 수용성을 높인 후, 질적 전환을 통해 기초과학에 대한 문해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과학교양교육 모델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과학교양교육 현황과 한계에 대해 정리하였다. 둘째, 유튜브의 주제, 구체적인 내용, 대중호응도 등을 살펴보기 위해 유튜브 크리에이터 데이터 정보 및 트렌드 발굴사이트를 조사하였다. 셋째, 크리에이터들의 제작전략을 맥루언의 미디어이론에 근거하여 분석함으로써 콘텐츠의 대중적 호응도가 높은 이유를 설명하였다. 넷째, 플랫폼미디어 기반 흥미위주의 표면적 내용을 극복하고 질적 전환을 꾀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튜브 미디어는 수용성과 신뢰도가 있고 기초과학 관련 핵심어를 다루는 경우가 적지 않아 과학교양수업에 도입될 경우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둘째, 민 · 교 협업체계를 통해 콘텐츠를 확충할 경우 효율성을 대폭 개선할 수 있으며 셋째, 온라인 질의응답, 지식공유활동, 토론활동, 소그룹 관리 등의 쌍방향 소통을 보완할 경우 수업의 질적 개선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 교수법공유를 위한 플랫폼 운영과 교수자지원이 필요하다는 점도 제안하였다. 이는 플랫폼미디어와의 융합을 통해 비효율적인 과학교양교육에 실천적인 보완책을 제시하여 최종적으로 4차산업혁명기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는 교육모델 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started from the problem that the actual effect of improving literacy for basic science is insufficient even though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has been devoted to improving the qualities required of future human resources and civil society members during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a new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model that can improve literacy for basic science through qualitative transformation from YouTube-based scientific contents after presenting that they are effective to increase the public"s acceptance of scientific knowledge. For this, first, the current status and limitations of science liberal arts education were summarized through advance research. Second, YouTube creator data information and trend excavation sites were searched to analyze YouTube"s themes, specific contents, and popularity. Third, it explained why the content has been highly popular by analyzing the creator"s strategy based on McLuhan"s media theory. Fourth, it tried to find a way to overcome interest-based classes based on platform media and seek qualitative transformation. The result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YouTube contents are receptive and reliable, deals with key words related to basic science, so it can improve efficiency when it is introduced into science education classes. Second, if contents are expanded by collaboration system between private sector and public education, efficiency can be improved. Third, quality of class can be improved by questioning and answering, knowledge sharing activities, discussion activities, and small group management. To this end, it is also suggested that instructor support and platform operation for sharing teaching methods are needed. This will contribute to establishing an educational model that meets the needs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ra by presenting practical supplementary measures to inefficient science liberal education through convergence with platform medi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