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제거래법 통일용어사전의 필요성

        손태우(Sohn Tae-w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법학연구 Vol.44 No.1

        It is undesirable not to have professional dictionaries or books for international commercial law which can catch up with its development and speed. Even though there are some dictionaries about international trade or international transaction law, most of them are simply English-Korean translation ones. Especially, when legislators make rules related with international commercial area, they seem easily to rely on a particular source which explains their legal terms needed to translate for the first time or for the reason of its popularity without verification of their accuracy and specialty. I would like to propose to make a uniform terms dictionary of international commercial law for the purpose of unification and specialty of the terms. To achieve the above project, the dictionary has to have the following originality and specialty: First, one can search the term he wants to know by simultaneously comparing the term with multilingual ones, i.e. English, Chinese, Japanese. Second, the dictionary can have the term he or she wants to know explained with its source. It makes the dictionary not a simple list of words but a professional academic one. Third, to increase the understanding and specialty of the searched terms, visual tools should be used, such as picture, photo, graphic or mark etc.. Fourth, the dictionary can be used by not only the physical format, such as a paper dictionary, but also the electronic one, such as an e-dictionary.

      • KCI등재

        이슬람 금융의 분쟁해결수단으로서 중재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 WOO)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國際去來와 法 Vol.- No.40

        Using arbitration as a mean of resolving Islamic finance disputes is gaining popularity in Islamic countries, thanks to the increased demand for specialized dispute resolutions of Sharia based products. Arbitration is deeply rooted in the Arab Muslim traditions and has long been implemented in practice since the pre-Islamic period. Major arbitration institutions in Islamic countries, as well as new specialized dispute settlement institutions only for Islamic finance, are positioning themselves to cater to the Islamic finance industry’s growing demand for dispute settlement. The issue of Shaira compliance in Islamic finance dispute is a key for the resolution of its dispute. But the issue is compounded by unpredictable court decisions, noncodification of Islamic Law and varying interpretation by various Shaira committees.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through developing and publishing the comprehensive Sharia standards, such as the one of AAOIFI as well as adopting the Islamic arbitration rules, such as AIAC i-Arbitration Rules, for Islamic finance arbitration. Islamic finance arbitration can note be viewed in the context of Islamization of the law, but as part of a revival of Islamic religious ethics in international business. Islamic finance only employs Sharia exclusively to ascertain the permissibility of a certain transaction. Through all the challenges, Sharia has continued evolving in finance services to respond to the global trended arbitration system and operating environment brought about by globalization

      • KCI등재

        이슬람 금융상품에 내포된 샤리아(이슬람법)의 원칙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 woo),김분태(Kim Bun tae)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圓光法學 Vol.34 No.2

        이슬람 금융에 대한 정의가 확립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자를 주된 요소로 보는 서구식 금융과 대비되는 이자 없이 샤리아에 적합하게 운용되는 금융으로 보고 있다. 이 논문에서 말하는 이슬람 금융상품은 이슬람 은행에서 취급하는 대표적인 금융상품인 무다라바, 무라바하, 무샤라카, 이자라 등을 말한다. 이들 금융상품은 동시에 이슬람 보험과 이슬람 채권에서 원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금융기법이기도 하다. 한편 이슬람의 경제활동에 기본이 되는 샤리아 원칙은 이자(리바) 지급 금지의 원칙, 불확실성이 내포된 계약(가라르) 체결 금지의 원칙, 손익 공동 부담의 원칙, 하람(특정 금지행위) 준수의 원칙, 자금 퇴장의 금지의 원칙, 샤리아위원회 승인 획득의 원칙 등이 있다. 이러한 원칙 하에서, 무다라바는 단순한 일반 투자가 아니라 투자가에게 위험과 손실을 모두 귀속시킴으로써 보다 신중한 투자를 유도하고 투자경영에도 적극적으로 관여시킴으로써 민주적 경영방식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무라바하는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개인이 원하는 목적물을 취득하고 목적물 하자에 대한 위험을 부담하게 하여, 개인이 보다 안전하게 동 목적물의 소유권을 확보하게 함으로써 소비자 보호에 일조한다. 무샤라카는 다수의 당사자가 합의하에 사업을 경영하게 함으로써 상부상조 정신으로 영세 사업자를 보호하게끔 하여 대기업 위주의 경제 생태계를 다원화 시킬 수 있다. 이자라는 금융기관이 해당 목적물의 소유권을 보유한 채 임대인의 지위에서 목적물의 유지・보수의무를 지게하고 임대료를 계약 시에 확정시킴으로써 약자의 지위에 있는 임차인을 보호하게 한다. Islamic finance has grown rapidly over the past decade. It is well known that the features of Islamic finance, for examples its risk-sharing features and prohibition of speculation, could pose less systemic risk than conventional finance in the international finance crisis recently. Islamic finance is also fueled by the huge savings accumulated by many oil-exporting countries that are seeking to invest in Sharia-compliant financial products. Islamic finance basically requires the provision of financial services in accordance with the Sharia ban on interest(Riba), which should be replaced by Islamic financing contracts based on equity, sale or leasing. Transactions involving haram activities and unethical behavior should be also avoided. That is, Islamic finance is founded on strong ethical precepts. It also requires that the financing provided is asset-based, often resulting in the purchasing, ownership, transfer, and transactions of real goods between the related parties. Islamic scholars and bankers have devised new products and instruments by updating or combining contracts that go back to classical Islam, or by creating products that pose no religious objections. The best-known sale-based instrument is the murabaha. It is a cost-plus contract in which a client wishing to purchase any type of goods asks the bank to purchase the item and sell it to him at cost plus a declared profit. Ijara is also technically a sale contract. Its principle is virtually identical to conventional leasing: the bank leases an asset to a third party in exchange for a specified rent. Islamic finance purported to offer an alternative model based on partnership finance. The partnership could be of one of two types: mudaraba and musharaka. Musharaka is similar in its principle to mudaraba, except for the fact that the financier takes an equity stake in the venture.

      • KCI등재

        WTO 체제내에서의 지역무역협정(RTA)의 법적 지위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W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법학연구 Vol.49 No.2

        국제무역질서는 크게 WTO의 다자간 자유무역체제와 FTA를 위시한 RTA의 지역무역체제로 전개되고 있다. 물론 WTO 출범으로 다자간 무역체제에 인한 자유무역이 확대일로에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여전히 지역주의가 공생하고 있음은 가정사실이다. WTO 체제를 선호하는 이들은 현재 추진되고 있는 RTA의 활동이 WTO 체제에서의 RTA의 인정근거인 내 · 외부 요건을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많은 RTA에서의 농업부문의 배제, 보다 복잡하고 제한적인 특혜 원산지규정의 사용 및 RTA내에서의 무역구제수단의 변이 등에 많은 우려를 표시하고 있다. 물론 WTO 협상라운드와 자체 분쟁해결절차라는 메카니즘을 통해 위의 우려를 불식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위 메카니즘이 어느 정도로 진보되어서 위 우려를 불식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의문이다. 예컨대 GATT 제24조의 개선 협정인 제24조 양해각서는 여전히 GATT 제24조의 핵심 용어인 '실질상 모든 무역’, '기타 통상 규칙’ 및 '기타 제한적 통상 규칙’에 대해 명확히 정의를 내리지 있지 않을 뿐만 아니라 GATS 제5조 및 허용조항에 대해선 별다른 개선 협정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RTA에 대한 WTO 차원에서의 관심과 관련 GATT/WTO 규범을 투명하고 일관성있게 해석 · 적용하기 위해 탄생한 CRTA도 그 의욕적 출발과는 달리 주요 회원국의 비협조와 무관심으로 그 활동이 소극적이다. 또한 도하라운드 협상 도중에 체결된 RTA의 '투명성 메카니즘’의 성공여부 역시 WTO 회원국의 신의에 달려있고, 동 메카니즘상의 통지 및 투명성 의무를 이행하지 않는 것에 대한 어떠한 제재수단이 그 자체에 포함되어 있지 않다. 나아가 RTA 자체의 복잡성과 다양성 때문에 RTA에 대한 WTO의 실체법적인 개선 노력 역시 각 회원국의 정부 및 학자의 제안에만 그치고 구체적인 합의를 이끌어내고 있지 못하다. 물론 제24조 양해각서에서 RTA에 대한 분쟁을 WTO 분쟁해결절차로 해결할 수 있음을 명확히 규정함으로써 종래 문제시되었던 RTA에 대한 WTO상의 법적 해결의 불확실성이 제거된 것은 환영할 만하다. 그러나 WTO 분쟁해결절차가 RTA의 관련사건에 어느 정도 활용될 수 있을 지는 의문이다. 왜냐하면 RTA에 적용되는 WTO 규범 그 자체의 불명확성이 여전히 상존하고 있으며, WTO 분쟁해결기구 뿐만 아니라 잠재적 원고가능 회원국들 역시 사안의 정치적 · 경제적 민감성 때문에 스스로 법적 판단을 자제하는 분위기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미국을 위시한 RTA 주요 활동국은 RTA가 WTO 체제를 보완시키고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보여 줌으로써 여타 WTO 회원국으로 하여금 RTA가 다자간 체제내에서 순기능 역할을 충분히 수행하고 있음을 알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와 더불어 CRTA의 적극적 활동과 신라운드에서의 RTA에 대한 WTO 규범의 개선이 요구된다. Over the past decades, many countries have increasingly turned toward negotiating bilateral and regional trading arrangements. They seemed to be away from negotiations in multilateral forums like the WTO. Regional Trade Agreements (RTAs) are an exception from the rule of non-discrimination, which constitute the cornerstone of the multilateral trade system. Under Article XXIV of the GATT 1994, customs unions and free trade area agreements are a permitted exception to the main principle of MFN because it is recognized that such agreements have the potential to further economic integration without necessarily adversely affecting the interests of third countries. That is, the article requires that, when an RTA is completed, substantially all of the trade within the RTA should be liberalized and that trade restrictions vis-a-vis outside parties should not be higher than before the RTA was formed. Difference of opinion among participants in working parties regard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substantially-all-trade" and the "not-on-the-whole-higher-or-more-restrictive" requirements in Article XXIV have been a major reason why working parties have not reached a consensus on the GATT consistency of individual agreements. There are many reports of the working parties on the interpretation of Article XXIV in the time of the Doha Round as well as the GATT 1947. However, by and large, the conclusions of those reports are indecisive about the question of the extent to which RTAs are compatible with Article XXIV. In 1996, the WTO created a Committee on Regional Trade Agreements to provide oversight of all RTAs and to consider the implications of such agreements for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Here it is emphasized that a bilateral or regional free trade agreement can be complementary to the multilateral principle as incorporated in the WTO. For achieving this purpose, serious efforts should be made on the regional and the multilateral level to maintain a healthy multilateral system while at the same time ensuring that RTAs adhere to the law pursuant to which they are established. That is, on the regional level, RTAs should include provisions or phrases in their agreements that affirm the importance of being consistent with WTO laws. On the multilateral level, the WTO should consider having the Transparency Mechanism as a cornerstone for harmonizing between multilateralism and regionalism as well as having a CRTA deal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RTAs.

      • KCI등재

        아랍 이슬람국가에서의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유엔협약(CISG)의 법적 적용가능성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W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1 No.2

        한국은 2005년 3월부터 CISG를 발효시켜 이를 물품매매계약의 주요한 국내法源으로 정착시켰다. 이에 국내 수출입관계자뿐만 아니라 관련학자들도 CISG에 대한 연구와 사례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지만, 아랍 이슬람국가에서의 CISG의 법적 기능성에 대한 연구가 미미할 뿐만 아니라 이슬람법 그 자체에 대한 연구도 전무한 실정이다. 아랍 이슬람국은 현재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와 여전히 원유, 천연가스, 오일달러, 지정학적 중요성 및 중개무역의 활성화 등으로 경제적 관계와 교역규모가 확대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랍 이슬람국가와 한국간의 각종 법률문제가 발생될 가능성이 농후하지만 이에 대한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특히 국제거래의 근간인 국제물품매매거래에 관한 아랍 이슬람국의 법적 태도와 CISG의 수용여부는 위의 각종 법률문제를 직 · 간접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이기 때문에 그 법적 연구가 절실하다. CISG가 이슬람국가 특히 아랍 이슬람국가에서 어느 정도 법적으로 적용되고 있는지 혹은 적용될 수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샤리아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샤리아는 기본적으로 인간 상호간 및 인간과 신과의 관계를 다룸으로써 아랍 이슬람인들에게 올바른 신앙생활과 인간관계를 규율하는 神法이다. 그러나 이들 국가는 이슬람문화를 유지하면서 세계 각국과의 통상 및 경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서양 법제도와 이슬람 법제도를 병행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샤리아의 다른 법체제와의 유연한 적용성으로 구시대적 각종 법제도를 수정시키고 있다. 또한 CISG에 가입한 아랍 이슬람국은 전통적인 이슬람법인 샤리아에 입각한 국내입법체계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국제물품매매에 관한 새로운 국제규범인 CISG를 국내법화시키고 있다. 문제는 CISG하의 여러 법적 규범이 아랍 이슬람국에서도 합리적인 기대치로 수용되고 있는가이다. 만일 국제물품매매당사자가 CISG 원용하는 아랍 이슬람국의 상대방과의 거래시 자신이 기대하고 있었던 CISG 법규정이 제대로 적용되지 않거나 적용이 배제된다면 CISG의 제정취지 뿐만 아니라 CISG의 활용도에 심각한 해를 끼칠 것이다. 그러나 다행히도 샤리아의 구체적 법적용력과 보편타당성을 지향하는 아랍 이슬람국의 종교적 실용성 때문에 앞의 우려는 단순한 기우에 지나지 않는다. 예컨대 아랍 이슬람국에서 여전히 논쟁의 대상이 되고 있는 이자문제 역시 구체적인 분쟁발생시 이자에 관한 샤리아의 융통성 있는 해석 혹은 공공정책의 문제로 개별적으로 해결하고 있다. 따라서 아랍 이슬람국가는 CISG를 그 입법취지처럼 국제물품매매계약을 규율하고 상이한 사회적 · 경제적 및 법적 제도를 고려한 통일규칙으로써 채택하여 국제거래상의 법적 장애를 제거하고 있다고 사료된다. Before applying the CISG co Arab Islamic Countries, it is important co understand the foundations of the Islamic legal system.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Sharia, commonly referred co as Islamic law, is co understand its politic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second step is an understanding of the sources of Islamic law-the Quran, the actions of the Prophet, law through analogy, and law by the consensus of the community. The final step is to understand the schools of Islamic thought. The main source of legislation in Sharia is the Quran which is not merely a religious text but a legal code. Even though Sharia might be called an essentially defective and backward legal system, it is essential to know that its basic principles are co protect human and property rights and its power of adaptability can make the CISG fully compatible with Islamic law principles. This paper is trying to find out some important characteristics between the CISG and Islamic law for anyone who intends to enter business relationships with Islamic countries. Considering this purpose, contract formation under the CISG can be understood co compatible with Sharia due co no requirement of writing and 'Parol Evidence' rule. They are also bound by trade customs and usages as well as good faith for interpreting their rules and principles. Furthermore, they seem co share the similar legal principles in the specific areas. For examples, there are specific performance, statute of limitations and interest. Even though charging interest is strictly prohibited in Shari a, Islamic countries that are party to the CISG did not make reservations about Article 78 dealing with interest. They adopted the modern trend on the applicability of interest and used Article 6 of the CISG as a safe harbor to avoid application of the Article 78.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s who want to economically cooperate with Islamic counterparts to look at objectively any possible business problems and free from misconceptions involved in making judgments regarding the precepts of Sharia.

      • KCI등재

        국가안보(National Security)로 인한 미통상법의 변화와 WTO 규범과의 상충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W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법학연구 Vol.51 No.4

        미국은 국가안보라는 최고 가치를 지키기 위해 주저 없이 타국에 대해 일방적 무역제재를 해 오고 있으며, 여기서 발생하는 국제적 비난이나 국제규범 위반은 필요악 혹은 부수적 비용으로 취급하고 있다. 이는 미국이 국가안보에 기한 무역제재의 근거를 주로 GATT 제21조에 두기 때문에 국제규범상 문제가 없다는 자신의 법적 정당성도 한몫을 하고 있다. 이처럼 미국은 9.11 테러사건 이후 국가안보를 그 어느 때보다 최고의 국시로 보고 국가안보를 위해서는 기존의 입법을 그 내용이나 체계와는 상관없이 제 · 개정을 통해 그 목적을 달성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이 원용하는 GATT 제21조로 인한 무역제재는 우루과이라운드 이후의 다자간 무역체재 내에서 그 적절성을 판단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제도내의 규범과의 일치성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물론 GATT 제21조가 해석상 국가안보제재의 사용에 대해 엄격한 제한규정으로서의 역할을 못하고 있지만, ‘GATT 제21조에 관한 결정’과 같은 후속적 입법조치로 WTO 회원국은 상호간 GATT 제21조에 대한 운영지침과 해석원칙을 국제적 신의 위에서 재정착해야 할 것이다. 나아가 미국의 국가안보제재가 자신이 의도했던 대로 긍정적 효과를 거두었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할 필요가 있다. 특히 1974년 통상법 301조 이외의 법령에 따라 사용된 미국의 국가안보로 인한 무역제재는 예상했던 것과는 달리 거의 실효성이 없었거나 오히려 미국경제에 악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고 있다. 이제까지 우리의 대미통상분쟁의 주된 쟁점들은 미국측의 일방적 무역제재에서 연유되었으며, 이러한 무역제재가 WTO를 위시한 국제무역규범에 위반하는지 여부가 중요한 법적 문제였었다. 이와 같은 미국의 일방적 무역제재의 주된 근거는 미통상법 301조를 위시한 통상관련 미국내법이었고, 이러한 미통상법이 계속해서 사용될 것이라는 점은 의문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작금의 미국 대외정책의 최대 화두는 국가안보이며 이러한 국가안보를 위해서는 모든 미국내법은 이러한 정책에 맞게 제 · 개정되고 있다. 이처럼 국가안보라는 새로운 논거로 미국 측의 일방적 무역제재를 국제적 면죄부로써 묵인해야 할지 아니면 국제통상규범이라는 수단을 방패로 하여 적극적으로 방어해야 하는지 선택해야 할 중대기로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United States does not hesitate to enact legislation authorizing unilateral trade action against another country in the interest of national security. For its legal argumentation, the U.S. is willing to rely on Article 21 of GATT, which a contracting member of the WTO can legitimately restrict trade without violating GATT, to protect its “essential security interests” or to comply with the UN Charter. The problem is that there are no clear standards for determining whether a WTO member's invocation of Article 21 is truly for an essential security interest. But legal scholars are trying to find out an objective standard to interpret the provision based on the history of insistence upon its related cases as well as the article itself. Furthermore, in the face of terrorist threats, a series of administrative measures which the U.S. would take measures to protect its ports, borders and trade supply chain should be reevaluated. It is because they will ultimately prove detrimental to developing countries, U.S. security interests, and the multilateral trading system as a whole. September 11 showed that security and globalization are interrelated. Thu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 secure trade, which can be paralleled with 'free trade' and 'fair trade'. However, we should understand that a stable and prosperous trading system will only be achieved when these three trade norms are incorporated within the international trade regime -WTO-.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샤리아(이슬람법)의 法源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 Woo)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1

        이슬람국가에서의 샤리아는 단순한 종교적·의례적 규범이 아니라 무슬림의 일상생활에 뿌리깊게 가려있는 근본 행위규범이자 정의로운 사회로 이끄는 지도원리이다. 이러한 샤리아가 우리를 비롯한 서구사회에 낯설게 느껴지는 것은 이슬람국가에 대한 편향된 시각과 세계법체계를 단지 대륙법과 영미법으로 보는 이분적 사고에서 기인된다고 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글로벌화와 교통·통신기술의 급격한 발전으로 이슬람국가는 여타 나라와 마찬가지로 한국을 위시한 서구 국가들과 무역·투자·관광 및 문화 교류 등을 활발히 진행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관광객으로서 이들 국가에 체류하는 동안에 샤리아에 위반되는 행위를 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들 국가와 무역협상이나 투자를함에 있어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법률적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슬람국가의 고유의 법·경제·문화의 핵심코어인 샤리아를 이해하지 않으면 안된다. 이 논문은 샤리아의 법원을 다수 이슬람국가들이 전통적으로 채택하고 있는 꾸란, 순나, 이즈마 및 끼야스 등 4개로 분류하고 있다. 물론 일부 이슬람학자들은 이러한 4개의 법원 이외에도 이스니흐산, 이스티스라흐, 이스티스하브, 관습, 사하바들의 의견 및 이슬람 이전의 법 등을 이슬람의 法源으로 보고 있다. 여기서 꾸란은 알라로부터 아랍어로 예언자 모하메드에게 내려진 계시의 집합체로 모든 종파와 교리를 초월해서 가장 오류없는 法源이자 권위있는 法源으로 여기지고 있다. 순나는 예언자의 삶을 기록한 ‘시라’와 예언자의 첫 계시에서 죽음에 이르기까지 그의 일상 발언과 이야기를 일컫는 ‘하디스’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이즈마는 꾸란과 순나에 규정되어 있지 않는 사안을 해결할 수 있는 규범인데, 이는 이즈티하드를 통해서 무슬림사회에서 의견일치를 보았을 때 생성된다. 끼야스 역시 무즈타히드가 어떤 사안에 판단을 내릴 때 꾸란 및 순나에서 보여준 법적 이유와 동일한 경우 두 사안을 동일하게 판단할 때 사용되는 분석적 사고인 유추이다. 그런데 샤리아의 법원의 해석여부는 어느 학파(교리)에 따르느냐에 달려 있으므로, 이들 학파에 대한 연구는 샤리아 法源의 연구와 항상 관련되어 있다. 이들 학파는 다수 무슬림이 따르는 순니파와 그렇지 않은 시아파로 구분된다. 순니파는 다시 하니피파, 말리키파, 샤피파, 한발리파 등 4개 분파로 나누져 있다. 한편 이슬람국가들은 자국의 이슬람문화와 법규범을 유지하면서 세계 각국과의 통상과 경제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서양 법제도 및 서구식 法院을 도입하고 있지만, 샤리아는 대부분 이슬람국가에서 사는 무슬림 뿐만 아니라 서구 사회에 거주하는 무슬림의 일반 생활양식 뿐만 아니라 행동규범의 기초로 여전히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The word ‘Sharia’ typically is translated as ‘Islamic law’. The first step in understanding Sharia is to understand its political environment and development. The second step is an understanding of its sources. The final step is to understand the schools of Islamic thought. This paper mainly focuses on the latter two steps. There are four sources of Sharia. That is, the primary sources of law in Sunni orthodoxy are: (1) the Quran (the divine word of Allah), (2) the sunna (the practices, examples and decisions of the Prophet Mohammed, (3) ijma (the consensus of the community of scholars), and (4) qiyas (analogical deductions) Among them, the Quran and Sunna are primary sources of the Sharia, while ijma and qiyas are secondary sources. In order aspect, the Quran is supreme, and no other source, even Sunna, can overrule it. Even though the traditionist, like Hanbali school scholar, mainly emphasizes the Quran and Sunna as the sources of Sharia, most of the Islamic scholars put their moderate position, meaning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classical theory of the Sharia includes all four sources. But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Sharia is a human interpretation of Divine Will of Allah(God), coming as close to the ideal pattern of behavior as possible. It is also important to know that Ijma, as well as Qiyas, in the modern world can be used to develop Islamic law to meet the needs of the rapidly changing world. However, it may also be used as a tool for individual gain or lead to stagnation for society overall.

      • KCI등재

        이슬람금융상품의 국내도입을 위한 이슬람은행에 관한 연구

        손태우(Sohn, Tae Woo),김홍배(Kim, Hong Bae),김분태(Kim, Bun Tae),정희진(Jeong, Hee Jin)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연구 Vol.54 No.2

        세계금융위기가 전세계를 뒤흔든 후 각국에서 금융제도에 대한 비판과 각성의 목소리가 나오는 가운데, 이슬람금융이 주목 받기 시작했다. 이에 세계 각국 특히 비이슬람 국가는 더욱 이슬람금융에 관심을 보여 자국의 금융권내로 이슬람금융상품을 도입시키거나 도입을 위한 제도적 개혁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 역시 2011년 이슬람채권인 수쿠크의 국내도입을 위해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을 여러 차례 국회에 상정시킨 적이 있었다. 물론 동 개정안은 일부 종교단체와 정치권의 압력으로 개정되지 못했지만, 이슬람 금융도입에 대한 필요성은 여전히 절감하고 있다. 특히 최근 비이슬람권인 일본의 이슬람금융도입을 위한 제도정비와 관련법령개정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 이슬람금융 중 이슬람은행은 특히 이자 금지와 실물자산 수반이라는 특성으로 관련법규의 개정 없이는 국내에서 운영되기 힘들다. 관련 법규를 개정하기 위해서는 우선 국내에서 이슬람금융을 어느 정도 허용할 것인가를 먼저 염두해 두어야 한다. 만일 이슬람전업 금융기관을 국내에 설립하고자 한다면 관련 특별법을 제정하고 은행법이나 자본시장 및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등과 같은 관련법규를 개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의 이슬람금융수요를 고려하고 대외적 오일머니 이용에 초점을 둔다면 기존 은행기관에 이슬람창구를 허용하거나 해외 이슬람금융기관과의 제휴를 통해 이슬람금융이 이루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에 우리 정부는 최근 개정된 일본 은행관련법규처럼 이슬람금융상품을 금전대출과 동일시하여 은행업무 범위에 포함시키는 입법적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유의할 것은 샤리아위원회가 이슬람금융상품의 샤리아 적합여부를 검증하고 승인하기 때문에 그 설치가 필수적이라는 사실이다. 특히 이슬람금융이 기본적으로 계약당사자의 샤리아 준수 합의를 중요시하기 때문에 샤리아위원회는 샤리아 관련 분쟁발생시 사전적․사후적 분쟁조정역할을 담당한다. 그런데 장래 국내 은행이 샤리아위원회으로부터 검증받은 이슬람금융상품을 취급할 때도 현재 금융감독기관의 금융감독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샤리아위원회와 금융감독기관과의 조율문제가 대두될 것이다. 이처럼 이슬람은행의 국내 도입과 관련해서 직접적으로 관련 법규를 제․개정해야 할 뿐만 아니라 현행 금융시스템와의 충돌 및 조화 문제를 슬기롭게 해결해 나가야 한다. 나아가 이슬람금융 중 국내금융시장에 도입이 용이한 이슬람은행을 우선 국내에 도입하려고 해도 이슬람은행 외에 이슬람금융의 샤리아기준 및 감독시스템 등에 관한 연구, 이슬람금융의 전문 인력의 양성, 이슬람금융 유치를 위한 법제 및 세제 등 제도적 정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처럼 이슬람금융과 관련된 제도적․법률적․학문적 영역에서 역량이 구축되지 않는다면 장기적으로 국내에서 성공적인 이슬람은행 운영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다.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growing need for financial funding has forced non-Islamic nations to have increasingly an interest the Islamic finance, which is governed Islamic law or Sharia. Actually, Islamic finance continues to be one of the fastest growing financial segments in the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However, unlike conventional finance based on interest-based transaction, the Sharia requires Islamic financial transactions be supported by real economic activity and encourages profit-loss sharing. So, it is nearly impossible to run this type of Islamic financial products, for examples Murabaha, Istisna, Ijarah, Mudarabah, Musharaka, in Korea without revising the current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Banking Act, equipment or house leasing business coming from Ijarah is not included as a permissible activities in banking business. Korean bank is not allowed to run into partnerships or joint ventures coming from Musharaka, either. Note that we have to consider which type of business management in Islamic bank is much suitable to Korean marketing situation before revising the laws and regulations. Considering lack of demand in individual and consumer financing in Islamic bank here, wholesale banking business will be popular to Korean banking institutes with the consideration of domestic demand to oil money. So, Korean commercial banks will open their window to deal with these Islamic financial products as well as the establishment of their subsidiaries or branches in Islamic countries. It may be desirable to revise the current Banking Act to include the real economic activities being suitable in Sharia in the scope of banking activities. Although opening up our domestic market for Islamic bank needs to revising the current banking regulations, our government should study the governance structure, supervisory regulation and standardization of Islamic financial products throughly as well as training Sharia experts for the long term benefit of Islamic ban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