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감각기관 영역 관련 개념의 성별에 따른 지위 중복과 개념 간 근접성 분석

        임수민 ( Soo Min Lim ),고희경 ( Hee Kyung Ko ),손종경 ( Jong Kyung Sohn ),권덕기 ( Duck Kee Kwon ),김영신 ( Young Shin Kim ) 한국생물교육학회 2014 생물교육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ual niche overlap and proximity of students`` concepts in 9th grade sensory system domains according to gender differences through the classes. The analysis of conceptual niche overlap in concepts and conceptual proximity was performed by changing in graph before and after classes. Four hundred and twelve 9th grad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Concepts in sensory system were selected from preliminary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composed of five domains: eye, ear, nose, tongue, and skin. Students were asked to write down relevance score (1∼5) and scientific knowledge in respect of each concept. And the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were classified into five levels. There are main findings from this study. First, the niche overlap graph of scientific concepts were moved on to improved direction as a result of learning. Second, the niche space size was reduced. Size of all niche space was reduced after classes indicating that deviation of understanding level and relevance of the concept declined. Third, similar concepts were connected in concept learning. Fourth, student already had non-scientific concepts before the learning. And they recognized both non-scientific concepts and scientific-concepts at the same time.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I have the following suggestion. Teachers need to plan and instruct to offer students highly relevant scientific concept in learning. Therefore, when planning a lesson, teachers need to instruct chunking of concept.

      • KCI등재

        Calculator - Based Laboratory system과 실험 Kit를 이용한 과학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정화숙,송방호,권덕기,손종경,양홍준,박성호,서혜애,윤기순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2

        Calculator-Based Laboratory(CBL) system을 중·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기에 앞서, 그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고,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의 현장 적용을 위한 교사 연수 프로그램의 효율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을 현직 중·고등학교 과학교사 54명에게 소개하고, 직접 실습하게 한 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의견과 학교 현장에서의 적용가능성 및 학생들의 과학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고, 교사의 성별, 학교, 지역, 최종학위 및 교사 경력 연수 따른 인식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교사들의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에 대한 인식은 일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은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 방법이 우수하며, 고등학교 및 대학교 학생들에게 적합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교사들의 성별, 학위소지, 근무학교 경력 등의 차이에 따라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도 다양한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CBL system을 이용한 과학 실험에 대한 과학 교사 연수 프로그램을 보다 세분화하고 교사들의 흥미, 관심 및 필요성에 따라 여러 그룹으로 구분하여 보다 효율적인 교사중심의 연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 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CBL system을 과학교육에 보다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각 단원별 현장 적용 및 효율성을 검정하여, 우리 나라 과학 교육 현장에 적합한 CBL system 과학 실험 모형의 개발이 촉구되며, 현행 과학 교육과정 및 교과서의 개선이 요구된다. A Calculator-Based Laboratory (CBL) system was introduced to science teachers and their perceptions to its classroom application was assessed. A CBL survey instrument was responded by 54 middle and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who undertook a three-hour workshop of science experiments with CBL system.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perceptions to CBL system among gender,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teacher's degree, and years of teaching in terms of learning CBL system, applicability of CBL system for science classrooms, and effects on science achievement. Male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er agreement to learning of CBL system and applicability for science classrooms than female teachers. Compared to middle school teachers, high school teachers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 interests in CBL applicability for science classrooms and perceptions that there will be an increase of science achievement. Teachers with 4-8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also showed significantly (p<.05) higher interest toward learning CBL system and its applicability. It was concluded that science teachers perceived CBL system as a promising science teaching method in Korean middle and high schools. However, a science teacher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CBL system should be developed in consideration of gender, school level, school location, and years of teaching.

      • KCI등재

        고교 생물의 오버헤드 프로젝터용 필름 제작 및 전달 매체로서의 CD - ROM과 홈페이지의 설계

        정화숙,송방호,최미숙,박창보,권덕기,손종경,양홍준,박성호,안나영,서혜애,신연욱,강재석,김정현 한국과학교육학회 199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19 No.3

        고등학교 생물교육의 강의 및 학습의 효율증진을 위한 영상매체로써 오버헤드 프로젝터 필름(OHP)을 제작하였으며 이의 전달매체로써 CD-ROM및 웹용 홈페이지를 설계하였다. 본 필름은 제6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정된 공통과학 및 생물교과서에 수록된 내용을 총 망라하는 방향에서 천연색으로 제작하였으며 도안의 선명도, 수려성, 청정성, 색상, 명암, 인지도 등에서 내용의 질적 우월성을 시도하였고 교수-학생-내용 상호간의 관련성을 감안하여 학습항진효과를 극대화하는 측면에서 설계되고 제작되었다. 제6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정된 공통과학 및 생물 교과서 7 종에 수록된 내용을 총 망라하는 방향에서 교재를 분석한 후 가장 다빈도로 출현하는 내용을 우선적으로 제작하였다. CD-ROM은 로고(logo), 초기 메인(main), 학습목록, 내용, 종료 등의 화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초기 메인 화면은 공통과학, 생물I, 생물II 교과서에 수록된 단원의 내용(장)목록을 제시한 후 내용세부 문항, 실제내용화면으로 하이퍼링크 시켰다. 내용화면은 교과서 내용의 요약, 그림 및 사진과 그 해설, 실험과정 및 결과의 요약, 표에 의한 내용의 정리 등 4가지 형식으로 제작된 필름 화면이 우선적으로 수록되어 있으나, 비디오 영상수취(video capture)에 의한 화면이나 인쇄 버턴, 자료의 설명 또는 해설, 용어해설 등의 버턴과 연결시킨 경우도 있다. OHP파일은 제작시 포토상(Adobe Photoshop) 일러스터레이터(Adobe Illustrator), 클레리스 오피스(Claris Office)를, CD-ROM 은 MM 디렉터(Macromedia Director)를 웹용 홈페이지는 html 에디터(editor)를 주된 소프트웨어로 사용하였다. OHP파일은 스케닝, 그림, 배경, 문자의 입력, 그림의 수식, PICT 또는 PSD 파일로의 저장, JPG 파일로의 변환 등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공통과학 14점, 생물I 80점, 생물II 142점, 총 236점이 제작되었으며 이들의 전달매체로써 CD-ROM 및 웹 홈페이지를 제작하여 이들을 이미 공개된 중학생물과 동일한 주소 즉 http : //gic.kyungpook.ac.kr /biocosmos에 공개하였다. The colorful overhead projector films, named as Bio-cosmos II, including photographs, pictures, concept maps, and diagrams, were developed and manufactured as audio-visual teaching aids and teaching resources for students' biology learning in high school, and the CD-ROM and web sites for their application to the school were also constructed. The content of the films was organized based upon the analysis of seven different biology textbooks approv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The films were designated based on various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manufactured using multimedia with various educational softwares. The CD-ROM was composed of the scenes as logo, initial main, chapters list, contents, and quit. Initial main scene indicated various chapters according to the texts of biology areas in General Science, Biology I, and II. Each chapters linked with the scenes for detailed concept maps, the downstream real subjects, and contents. The subject screens were composed of various types of summarized diagrams including lesson contents, figures, pictures, photographs, and their explanation, experimental procedures and results, tables for summarized contents, and additional animation with video captures, explanations, glossary, etc. Most files were manufactured in software Adobe Photoshop by scanning the pictures, figures and photographs, and then the explanation, modification, storing with PICT or PSD files, and transformation with JPG files, were processed in the aspect of high quality in term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and graphic skills on gracefulness, clearness, colorfulness, brightness, and distinctness. A 14 films for biology areas in General Science, 80 for Biology I, and 142 for Biology II were manufactured and loaded to the CD-ROM and web site, and the files had been attempted to opened with an Internet home-page of http://gic.kyungpook.ac.kr/biocosmo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