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청소년 정책참여 수준과 세대 간 차이 비교연구

        손의숙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07 미래청소년학회지 Vol.4 No.2

        This study aims at encouraging youth being regarded as the identical personality into taking an active part i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through studying the generation gap in regard to their activity and level for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t can be regarded as a main element to transfer to their successful adulthood that they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 in the progress of proceedings in the various sphere in which related to their lives.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youth(15-20), the twenties(25-29). the thirties, the forties and the fifties and the results follow; First, the level classified by stages of youth's experience in the political participation indicated their active participation according to adult's invitation for which they don't know well the details of their political activity and their appeasement participation according to adult's decision of final policy in which they perform their regular role. The types of participation in which youth experienced indicated that youth had participated in ‘governmental formal evaluation group’ and in such as an advisory organ as youth representative and had stated their views. Second, it indicated the generation gap about the level of a desirable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youth and the fifties expect the level of youth's active participation in which youth share political decision with adult as an equal subject, the twenties, the thirties and expect the level of accompanying participation in which adult on their own initiative prepare for and share youth with proceeding decision. Finally every generation thought about the desirable types of youth's political participation that youth expected ‘a proposal for proceeding in the step of a political project’, youth, the twenties, the thirties and the fifties expected ‘the support of a youth policy in operation’ and the fifties expected ‘the evaluation of a political effect’. 본 연구는 청소년을 주체적 인격체로 간주하고 청소년 정책참여 활동의 수준과 유형에 대한 세대 간 차이 연구를 통해 청소년 정책참여 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청소년 정책참여 활동은 그들의 삶과 관련된 다양한 영역에서의 의사결정과정에 직․간접적인 참여활동으로 성공적인 성인기로 이행하는 핵심요인으로 간주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청소년 세대(15세 이상 만 20세 미만), 20대(25-29세), 30대, 40대, 50대 894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이 경험한 정책참여의 단계별 수준은 ‘내용은 잘 알지 못하지만 성인의 권유에 의한’ 수동적 참여, 청소년이 일정한 역할을 수행하지만 최종 정책의 결정은 성인’이 하는 유화적 참여로 나타났다. 청소년이 경험한 참여의 유형은 ‘정부의 공식적 평가단’ 활동과 ‘자문회의 등에 청소년 대표의 자격으로 참여하여 의견을 개진’하는 활동유형에 가장 많이 참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바람직한 청소년 정책참여의 수준에 대해 청소년 세대와 50대는 ‘청소년이 동등한 주체로서 참여하고 정책결정은 성인과 함께 공유’하는 능동적 참여 단계를, 20대와 30대, 40대는 ‘성인이 주도적으로 준비하되, 의사결정은 청소년과 공유’하는 동반적 참여단계를 기대하고 있어 세대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바람직한 청소년 정책참여 유형은 각 세대별 동일하게 ‘정책계획 단계에 의견 제안’을 가장 우선순위로 기대하고 있었다. 다음 순위로는 20대, 30대, 50대는 ‘시행중인 청소년정책 지지’를, 40대는 ‘정책효과 평가’를 바람직한 참여의 유형을 기대하고 있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