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질성과 표상 그리고 다문화와의 관계

        손은하(孫銀河)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4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9

        Korean society has enter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since rapid progressed influx of immigrants. Because We Korean have stuck to ethnically homogeneous nationalism, the encounter with those peoples brings a ‘fear’ of heterogeneity. furthermore, we requires the separation of space from them. This article discuss the Georg Simmel"s definition of stranger and their bright side with viewpoint of hybridity, mobility and objectivity. Homi K. Bhabha"s complicated issues; immigration, asylum and cultural deportation are also discussed in aspect of ‘the uncanny’. He refers the relationship of self & others is ‘uncanny’. Julia Kristeva gives counsel to us “yourself is also uncanny one to you.” These postcolonizing and postmodernizing narrative discourses also discussed in relationship of locality. In conclusion, I appeal the necessity of new paradigm of stranger in viewpoint of ‘The humanities of locality’ as a Others-oriented narrative.

      • KCI등재

        문화를 통한 도시의 이미지와 관광마케팅 - 부산의 ‘영화도시’ 이미지 만들기를 중심으로

        손은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44

        The culture is being variously used, as its range of concept expands. Sometimes, to improve the image of the city, traditional culture or something containing potential value of the city is publicized. As the marketing through such culture is used in tourism, recently the cultural tourism attracts public attention as a form of alternative tourism different from mass tourism. Current package tourism make tourists lost their free will and push them only to consume the products, whereas the cultural tourism is reflected the latest social conditions, which want to see, feel and experience the region's culture and history. Nevertheless, even in the cultural tourism, most of tourists see the parts which are the things travel agencies or the media want to be seen due to the marketing elements. In the case of our country, while the local festivals as a field of the cultural tourism combined with cultural elements are used of a means to attract tourists, the cultural tourism festival is the most common type of that kind. Festival is also processed as a product selected from 'meaningful past' or 'traditional culture' of certain region. Of course, something, which has never been related to newly produced festival, is made with adding storytelling work and transplanting cultural value. The city of Busan is now working on the cultural festival of 'Busan International Film Festival' to solidify it as a city image beyond a tourism level. However, now is the time when the infra being able to produce films, not a film city only with its image, has to be established and its own independent programs have to be operated by budgetary independence.

      • KCI등재

        공공미술로서의 지역 만들기와 예술촌의 역할

        손은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1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29

        How has been used the concept of ‘publicness’ in the domestic public art? This concept of ‘publicness’ can be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in the social science. The first one is the value of the public, the second one is the territory, and finally the subject performing its role. The meaning of the territory has something in common with public space. When the arts came out of the exhibition hall and was placed on the public space, it was affected by the mass and place. When the initial types of the arts were displayed, it brought about disputes with various points of publicness. It caused the necessity to pay attention on the concept “in-between” of Hannah Arendt. Not confronting between personal and public territory, you need to pay attention to the various communication opportunities maintaining the relationship while they are crossing their borders each other. Variability of view points has been formed and progressed since the formation of New Genre Public Art as social movements. However, it still have been causing confusion as the public art is explained as site-specific -art and community-oriented-art. Recently, the public art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public arts, village regeneration, artist village. Each type has its own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an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eoul Art Space Sin-dang’ as the third one. This one also is in need of artists' labor by the explanation through community-oriented-art's viewpoi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in separate areas of the public arts.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색채에서 나타나는 상징적 셔레이드: 영화<우먼 인 골드>를 중심으로

        손은하 인문콘텐츠학회 2019 인문콘텐츠 Vol.0 No.54

        This study discusses the symbolic charades of colors in the film, <Woman in Gold>. The film is based on a trial by the Austrian government and the protagonist about the retrieval of cultural property for Gustav Klimt's portrait of Adele Bloch-Bauer. The film is used in golden color as the main symbol charades. It was applied when expressing a warm and mild atmosphere and expressing an authoritative and oppressive atmosphere. The dual image also appears in the color psychology of yellow. For Maria, this picture is a subject of childhood memories and a dual feeling of fighting the country and looking for it again. Also, the code that achromatic color talks about is the recollection of the past and the color of bloody and heavy memories. The Nazi red armbands on the gray-coloured streets made perfect contrasts that frightened the audience. At the end of the film, there is a scene in which the current Maria visits her home and into the scene from which she had appeared. It completely changes the color image and confirms that this film uses color as symbolic charades. 이 연구는 영화 <우먼 인 골드>에서 나타난 색채의 상징적인 셔레이드를 살펴본 것이다. 영화는 구스타프 클림트의 그림 ‘아델레 블로흐의 초상(Portrait of Adele Bloch-Bauer)’을 두고 오스트리아 정부와 주인공이 문화재 환수에 관한 재판을 벌이는 내용이다. 이 영화는 황금색이 주요한 상징 셔레이드로 사용되고 있는데 따뜻하고 온화한 분위기를 나타낼 때, 그리고 권위적이고 억압적인 분위기를 표현할 때 적용되었다. 이중적인 이미지는 노란색이 가지고 있는 색채심리에서도 나타난다. 마리아에게 있어서 이 그림은 어린 시절 추억의 대상이자 국가와 싸워 다시 찾아야 할 이중적 감정이 깃들어 있다. 또한 무채색이 이야기하는 코드는 과거에 대한 회기, 그리고 살벌하고 무거운 기억 속의 색채로 표현되고 있다. 회색빛으로 물든 거리에 나치의 붉은 완장은 완벽한 대비를 이루어 관객들로 하여금 공포심을 갖게 만들었다. 영화의 마지막 부분에 가면 현재의 마리아가 자신의 집을 방문하여 예전에 나왔던 화면 속으로 들어가는 장면이 있는데 색채 이미지를 완전히 바꾸어 이 영화가 색채를 상징적 셔레이드로 사용하고 있음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 KCI등재

        공유 공간과 커뮤니티

        손은하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32

        Due to its own configuration, space can manifest various characteristics and also cause specific behavior. Shared space is a semi-public/private space, which is located roughly in between public and private space. In other words, it contains the closed part of public area and open part of private section. From the emotional point of view, this space is capable of healing mental disease of the lonely moderns by the intimate relationship among humans, connection each other, and communication. This space is divided into ‘territoriality’, ‘accessability’, and ‘functionality’ based on its function. It is also summarized by categorizing it into friendly relation, openness, and humanity based on its emotional point. Moreover, this space has a point of contact with the expression of modern community. Being obscure among boundaries of modern communities is very similar to the point that the boundaries are ambiguous as the shared space is laid across both public and private section. Moreover, that the shared space is developed in a type of network can be compar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shared space to make connection with humans. Open and public characteristics have the similar direction with what this space is pursui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e amenity plan was applied as an activation plan for the community. Especially, constructional amenity plan is progressed focusing on convenience, nature-friendliness, esthetic appreciation, and culture. Amenity plan, which applies landscape architecture, means comprehensive comfortableness of the environment after all, and also a paradigm which can improve the quality of space. Moreover, physical environments and programs for environmental improvement and community activation are capable of building a community infrastructure. Like the architectural amenity plan, the shared space can also lea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ublic space to the private space, which forms inter-relationship with intimacy. Thus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community can be activated in the space. The interior and the exterior in architecture can be considered by applying them to the public and private space.

      • KCI등재후보

        다문화사회에서 이주민의 타자화: 재현된 영상물을 중심으로

        손은하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3 다문화와 평화 Vol.7 No.1

        다문화주의는 여러 문화 간에 우열이 없다는 입장으로, 평등한 공존이라는 지향점에서 긍정적인 측면을 갖고 있는 듯 보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그 이면에는 단일한 공통문화의 가능성을 부정하고 있어, 제문화의 다양성이 인정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분리될 가능성을 초래하고 있다. 이에 벨쉬(W. Welsch)는 “다문화 주의가 상이한 문화들을 계속해서 독립적인 그 자체로 동질적인 형성체로서 이해함으로, 개념적으로 여전히 단일문화라는 관습적 문화이해의 계열에 놓여있으며, 융합 되지 못한 다양한 단일 문화들의 병존을 의미하게 된다”.고 한다.2) 우리나라에서도 이주민들이 급격하게 늘어나게 되자 참여정부시절 다문화정책을 내세우며 이들의 인권과 권리를 보호하겠다는 명분을 세웠지만, 이는 소수자들의 수용과 문화적 배려가 고려되기 보다는 대상자별로 생활의 적응과 동(同)화를 위한 정책으로 활용된 경향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영화 <반두비>3)에서도 여주인공 민서가 이주노동자 카림에게 향한 우호적 시선은, 카림의 나라와 문화 그 자체를 인정하며 존중하기보다, 궁극적으로는 ``동화``의 차원에서 우리나라로의 편입을 지향하고 있다. 민서는 카림에게 국내 체류가 해결될 수 있도록 계속 결혼을 하자고 말을 한다. 그를 이 사회에 편입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이곳의 일원이 되어 적응을 하고, 혼인을 통해 비자를 취득하기를 바라고 있다. 4) 빨리 한국 사람이 ``되기``를 원하는 것이다. 그의 종교나 문화에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 하루에도 몇 번씩 절을 하는 무슬림이지만, 그런 모습의 카림을 보지 못한다. 한국사회의 분위기가 이러하다. 그들의 고유문화는 한국사회의 구성원에 의해 ``문제적인 것``, 빠른 한국사회의 정착을 위해 ``버려야 할 것``으로 요구되면서, 주체자의 오만한 친절이 ``교육``이라는 옷을 입고 빠른 적응을 유도하고 있다. 다문화 모델을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한 카스텔(Castles)과 밀러 (Miller)는 차별적 포섭·배제모델, 동화주의 모델, 다문화주의 모델로 나누고 있다. 먼저 차별적 포섭·배제모델(differential exclusionary model)은 소수인종집단과의 접촉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함으로써 사회 갈등을 회피하고자 하는 유형으로, 이를 선택한 나라는 아주 제한적이며 주로 나머지 두 유형에 속해있다. 두 번째로 동화주의 모델(assimilationist model)은 주류문화를 통한 사회통합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영국, 독일, 프랑스처럼 비교적 동질적인 문화를 가졌던 전통적인 국민국가들이 이 모델을 채택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주의 모델(multicultural model)은 주류문화 뿐만이 아닌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가운데 집단 간 상호 존중의 질서가 자리 잡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으며, 캐나다나 미국처럼 건국 초기부터 다양한 인종과 문화로 구성되어 상대적으로 다민족·다문화 사회의 도전에 익숙한 국가들이 이 모델을 주로 채택했다.5) 이 다문화주의 모델은 문화의 이질성을 존중하고 타문화를 인정하고 보호해야 한다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정책적으로도 소수집단의 문화와 권리 보호를 법제화하고, 이주민을 사회 구성원으로 인정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많은 나라에서 수용을 하려고 하지만, 민족 정체성의 약화와 사회적 분열을 초래한다는 비판도 함께 안고 있다. 또한 초기에 시도했던 정책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기도 하고, 한 국가 내에서 다른 국가들 간의 차별적인 정책을 일삼고 있는 경우도 발생하기 때문에 하나의 모델이 정답이 될 수 없고, 각 나라의 사정에 맞게 부딪혀 가면서 만들어 가는 것이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는 다문화주의를 정책상으로 채택하고 있지만, 동질적인 문화를 가진 전통적인 국민국가가 이주노동자의 유입으로 민족·다문화 사회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화주의 모델 국가들과 유사한 배경을 지니고 있다고 한다.6) 그러나 동화주의 모델은 문화적 동질화를 추구하고 있기 때문에 타문화의 이해와 수용이 어렵고, 정책 목표를 소수 집단이 주류 사회로 동화되는 것을 삼고 있어 현실적으로 실현되기 어려운 정책임이 밝혀졌다. 이 모델은 서로 다른 문화 간에 충돌을 피할 수 없고, 소수 인종 통합역량이 약화되며, 이들에 대한 사회적 배제가 나타날 수밖에 없는 점이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다. 전형적인 동화주의를 표방한 국가인 프랑스의 경우, 대혁명이후 속지주의를 근간으로 자국 내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을 프랑스인으로 인정하고, 공화주의적인 국민주의를 추구해 왔다. 개인의 인종적 문화적 정체성은 사적 영역에만 속하였고, 문화단일성은 사회적 규범으로 간주 되어 문화의 다양성이 배제되었다. 물론 언어 또한 프랑스어만 교육을 했고, 언어가 국민을 하나로 묶는 토대로 간주되었다. 이러한 동화정책은 이민자들의 다양한 논쟁을 촉발시켰고, 이슬람 교도들의 ``차도르 논쟁``은 지금까지도 이어오고 있다. 2005년 이후 프랑스에 이어 오스트레일리아에서의 폭동은 다문화, 다인종의 무비판적 수용은 또 다른 갈등을 야기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에 프랑스 정부는 소수 집단들의 사회 편입 기회를 확대하고, 구조적 불평등과 인종 차별을 퇴치하기 위한 법과 제도를 강화하였다. 또 1980년대 후반부터는 ``차이에 대한 권리``를 인정하기 시작했다. 이는 다문화주의 모델을 부분적으로 수용함으로 사회통합정책을 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전통적 순혈주의를 내세우며 다른 문화와 인종들에 대한 배척적인 태도가 뿌리 깊은 편이다. 허정은 이에 대해 “서구가 아닌 지역을 타자화 시키고 그들과의 분리를 통하여 자신의 동일성을 구성하고자하는 식민주의적 욕망, 한국사회에 내재해있던 완고한 순혈주의 신화가 해체되어야 한다”.고 하며 이와 더불어 소수자들에게도 폐쇄적 영역에서 숨어있을 것이 아니라, 이를 깨고 나와 “서로가 서로에게 상호 침투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인정하고, 변화시켜나가는 쌍방의 노력이 합쳐져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7) 이주민들 또한 자신이 도움을 받아야하는 존재라는 인식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고, 자국민들 또한 이들을 연민의 대상으로 보는 점은 지양해야 할 부분이다. We tried to look into characters which are projected to images and to discuss about multiculturalism as we were facing the entry of extended multicultural society by increasing immigrant workers and international marriage. The Film “Bandhobi” gazes at the encounters and experiences of Karim, a male worker from Bangladesh and Minseo, a female suffering from double alienation - as a minor and a female in a man-ruled society. The violence, exclusion, social ostracism and indifference of Korean society towards the foreigners may touch the minds and hearts of many Korean viewers who perhaps never looked at their country in such a way. The main hero has to experience forceful assimilation at the hands of governmental institutions, and his suggestion to the alternative approach are not being heard. <Persepolis>looked around the life of Marjane who experienced the life of both minority and the strang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as an example of another country. My argument incorporates philosophy studies of ``the Other`` and ``Otherness`` as suggested by such thinkers as Emmanuel Levinas, Georg Simmel who look at these issues with Strangers. For instance Levinas and Derrida in their studies gave attention to “hospitality”, which possibility I here also explore. Hereof, Richard Kearney is saying that it is necessary to compensate the deconstruction of absolute hospitality. Finally, locality discourses were suggested for drawing change of frame in views to accept and respond to others. As a resistance against imperial view, this is a discourse to overthrow the logic of modern centralization and to re-organize others. In the era of multi-cultural society of migrant workers and married migrant women, this study sheds new light on parts which were excluded and alienated from logic of capital letter, and tries to give attention on newly formed locality.

      • KCI등재

        색채의 사용과 화면구도에 나타난 심리적, 정서적 이미지 - 애니메이션 <키리쿠 키리쿠>을 중심으로 -

        손은하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23 한국디자인포럼 Vol.28 No.3

        Background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is a formative and orderly arrangement of location, viewpoint, unity and change, omission and emphasis of the subject, and these visual elements are very important in delivering a psychological message to the audience. The use of color is also an element that affects the emotional aspect and mood, so it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herefore, I tried to analyze the visual aspects of actual animations. Methods <Kiriku Kiriku 2006> and French director Michel Oslo's <Kiriku and the Witch 1998> were analyzed as screen elements. The work is produced in 2D animation, so the director's intention is accurately calculated. For the color of the screen, the emotional image that appears in the color arrangement was analyzed, and for the composition, the movement of the camera and the shot between the character and the background were analyzed. Result As for the color, a lot of intense and primary colors were used by setting Africa as the spatial background. The contrast between the heat and cold of Karaba, who was set as a witch, could also be found on the way to the witch's lair. The comparison of text or background color was expressed through the difference in saturation and brightness. The composition used camera walking and camera shots to create a sense of space, depth and speed. Conclusion This paper tried to analyze the emotional and psychological images in the visual aspect. The use of color can effectively express emotional images of people and backgrounds. The composition of the screen created an effective atmosphere through camera work such as panning and tilting, distant view and foreground, and insert shot. 연구배경 화면의 구성은 대상의 위치, 원근감, 통일과 변화, 생략과 강조 등을 조형적으로 질서 있게 배치하는 것으로, 영상물에서 이 시각적인 요소들은 관객들의 정서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색채의 사용도 정서적인 면과 분위기를 좌우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실제 애니메이션을 대상으로 시각적인 측면을 분석하고자 했다. 연구방법 프랑스 미셀 오슬로 감독의 <키리쿠 키리쿠 2006>와 <키리쿠와 마녀 1998>을 대상으로, 화면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했다. 작품은 2D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감독의 의도가 정확하게 계산된 형식이다. 화면의 색상은 배색에서 나타나는 감성적 이미지를 분석하였고, 구도는 카메라의 움직임과 캐릭터와 배경 사이의 쇼트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색채는 아프리카를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한 만큼 강렬하고 원색적인 색채가 주로 사용되었다. 마녀로 설정한 카라바의 한난대조는 마녀의 은신처로 가는 길에서도 찾아볼 수 있었고, 캐릭터나 배경색의 비교는 채도와 명도의 차이를 통해 표현되었다. 구도는 카메라의 워킹과 카메라 쇼트의 사용으로 공간감과 깊이감, 속도감을 연출해 내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시각적인 측면에서 정서적이고 심리적인 이미지를 분석하려고 했다. 색채의 사용은 캐릭터의 이미지와 배경의 정서적인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었다. 화면의 구도는 패닝과 틸트 등과 같은 카메라 워킹과 원경과 근경, 그리고 인서트 쇼트 등을 표현할 수 있는 카메라 연출로 효과적인 분위기를 연출해 내고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