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진로장벽 검사 개발 동향과 후속연구과제

        손은령,이순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0 진로교육연구 Vol.23 No.3

        This article is aimed to review the past 10 years of studies on career barriers in Korea and to provide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In doing this, the focus is placed on career barriers inventories first developed by Son(2001) for female college students. By examining this inventory and eight others, we seek to identify what has been found and what to be explored further. For this purpose, related studies were searched and reviewed with the examination of inventory development processes and features in the factors elicited from the processes. In reviewing the features, it was done with regard to practicality and objects of application. We also offer implications for career counseling practice by discussing for whom and what age career barriers inventories need to be improved and newly developed. 여자 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을 확인하기 위한 검사가 개발(손은령, 2001)된 이후 10년 동안 총 9개의 진로장벽 검사가 개발되었으므로, 지금까지 검사도구의 개발을 통해서 무엇을 알게 되었고, 어떤 것을 더 탐색해야 하는지를 확인하려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를 위하여 학술정보 검색을 통하여 관련 연구물을 검색한 후 그 연구 현황을 검토하였고, 관련 변인 연구 동향을 파악하였다. 또한 국내에서 개발된 진로장벽 검사도구별로 개발과정 및 추출요인의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특징들을 실용성 측면과 적용 대상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도구 개발 및 진로상담 실제와 관련한 여러 가지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여성의 진로 선택과 진로 장애 지각의 관계

        손은령 서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2000 학생생활연구 Vol.18 No.-

        Recently, Many career counseling researchers recommend career barriers constructs as important variable of women's career choice and decision making and request the need to study. Especially, in Korea, women should have many structural constraints and occupational barriers. This career barriers make the occupational choice and career decision making more complicated and difficult. Therefore, Women's vocational behaviors couldn't be interpreted and understood in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ly. Sociological perspectives as well as psychological perspectives are needed, too. Career barriers variable is one of the contextu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nd introduction of this variable will visualize the real vocational world of women more concretely. This article is the base research to study the relations of women's career barriers perception and career decision making. To do so, first, the spectrums of career barriers women experience are recognized and second, the relations of career barriers and career choices of women are reviewed from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and the empirical aspects, also. Third, methodological problems of career barriers mesurements and limitations of career barriers researches are highlighted. Finally, future research necessities, meaning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 KCI등재

        직업 성취과정에 미치는 우연 혹은 기회의 영향 -40대 여성 진로상담전문가를 중심으로-

        손은령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에서는 40대 여성 진로상담전문가 10명을 면접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방법(CQR)을 사용하여 직업 성취과정에서 경험한 우연의 발생, 우연의 내용 및 영향, 우연에 대한 의미화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3회 이상의 이직을 경험한 경우가 전형적이었으며, 대학의 전공과 현재의 전공이 불일치한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일반적으로 우연이 진로경로에 영향을 미쳤다고 얘기하고 있었으며 현재의 직장에 오게 된 중요한 계기로 생각하는 경우가 전형적이었다. 우연의 내용에는 직업 환경의 변화, 주변사람들의 도움 또는 추천, 예기치 못한 사건의 발생, 정보의 우연한 획득 등이 전형적이었다. 우연에 대한 의미화는 긍정적 의미화와 중립적 의미화라는 두 개의 범주로 구분되는데 자신의 직업 성취과정에서 경험한 우연에 대해 준비하고 시도한 자에게 오는 기회로 여기거나 그동안 쌓아왔던 네트워크의 결과물 또는 전화위복이라 여겨 그 혜택에 감사한다가 전형적으로 나타난 긍정적 의미화 내용이었으며, 우연을 일종의 운명 혹은 신의 뜻으로 여기거나, 그 영향력을 상당 부분 수용해야 한다가 중립적 의미화 범주에 전형적으로 나타난 내용이었다. 본 연구는 우연 혹은 기회가 개인의 진로선택 및 직업 성취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고, 현장에서 진로상담을 하고 있는 진로상담전문가의 삶에서 우연 혹은 기회의 역할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happenstance or chances in the vocational achievements process. Research team interviewed 10 female career counseling professionals in forties and analyzed the data with the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From the theory and empirical results, the team selected the interview questions like occurrences of happenstance, contents of happenstance and it's effects, personal meaning process of happenstance. Participants' over 3 times job transition and inconsistencies of college majors with current job major were typical. Happenstance effect of their career path is general and changes in work environments, helps or recommendation of acquaintances, unplanned events, acquisition of accidental information are typical. Somer participants typically interpreted their experiences of happenstance as chances of prepared attempter, results of accumulated networks, turning evils into blessings. The results had importances in finding the meanings and effects of happenstance in vocational achievements of female career counseling processionals in 40s and the usefulness of alternative theories in career theories.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were addressed.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과 개인ㆍ심리적 변인의 관계

        손은령 한국상담심리학회 2002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Vol.1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areer barriers perceived by college women student and personal․psychological variables. In this study the personal variable means grade and major and the psychological variables means career decision level and internal-external locus of control.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areer barriers perception and career decision level, the career barriers perception and locus of control showe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hereas grade and major didn't show a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the locus of control was compared with the degree of career barriers perception, the internal locus of control group showed lower level of career barriers perception than the external locus of control. Third,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compared with the degree of career barriers perception, the group of low decision level showed lower level of career barriers perception than the group of high decision level. Fourth,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decision level was the best contributing factor to explain the perception of career barrier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 of career counseling of counseling women students was widely discussed with relation to the previous researches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여자대학생의 진로선택 및 진로결정과정을 진로장벽 변인이 잘 설명해줄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여, 이 장벽들을 지각하는 과정에서 학년, 전공과 같은 개인적 변인과 심리적 변인(진로결정수준, 내외 통제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895명의 여자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진로장벽검사, 진로결정수준검사, 내외 통제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자대학생이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정도는 여자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내외통제성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었다. 하지만, 학년 및 전공과 여자대학생이 진로장벽을 지각하는 정도간에는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내적 통제경향을 보이는 여자대학생집단이 외적 통제경향을 보이는 여자대학생 집단보다 진로장벽을 더 적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수준이 높은 여자대학생 집단이 진로결정수준이 낮은 여자대학생 집단보다 진로장벽을 더 적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자대학생의 진로장벽 지각을 설명하는데 가장 기여하고 있는 변인은 진로결정수준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와 관련지어 논의한 후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진로선택과정에서 우연 혹은 기회의 역할 고찰

        손은령 한국상담학회 2009 상담학연구 Vol.10 No.1

        Chance or happenstance were regarded as a error source or one of the contextual factors in the career research. But most people experience that chance or happenstance affect their career choice and career directions. Currently, some researchers studied to the forgotten factors like chance, intuitions, and spiritualities. And they proposed to study the unreasonable factors in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It was caused from their awareness that there are too many uncontrollable and unpredictable events in life. So career counselors should counsel and encourage the clients to think, prepare and cope the planned events and unplanned events. This kind of view is named as an alternative models. In this research, the role and function of chance and happenstance in the process of career choice were studied and concepts of chance and happenstances were reviewed. Among the alternative model, the role of chance and happenstance were discussed from the perspectives of happenstance theory and chaos theory.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career counselors and future researchers were suggested. 본고에서는 그동안 진로 상담 이론 및 현장에서 주목받지 못하였던 우연 혹은 기회의 역할을 이론과 실제의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선택을 강조하는 전통적인 진로 상담 이론에서는 우연의 역할을 간과하거나, 일종의 과실로 간주하면서 진로선택과정에서 개인의 합리성을 강조하여 왔다. 하지만 진로선택과정에는 예측하기 힘들거나,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변인(우연)들이 영향을 미치며, 우연은 기회로 변화되어서 활용되기도 한다. 개인이 진로와 관련된 모든 변인들을 통제할 수 없다는 인식은 보다 적극적으로 실천행동들을 준비하는 동기가 될 수도 있다. 본고에서는 대안 모델의 관점에서 진로선택과정에서 우연의 역할을 어떻게 조망해야 할지를 고찰하였다. 그리고 비록 소수이기는 하지만 우연의 영향을 다룬 연구들을 소개하고, 진로상담 실제 및 후속 연구자들에게 주는 시사점들을 고찰하였다.

      • KCI등재

        상담자 교육 관점에서 본 예비교사 교육의 과제

        손은령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4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appropriateness of current preliminary teacher education from the point of counselor education. In school setting, all the teachers should teach and counsel students, so basic counselor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offered to all the preliminary teachers. Because all the teachers are a kind of quasi-professional counselors in school. But current teacher education programs didn't contain the practical contents and training process for preparing quasi-professional counselors. A few important results were identified. Small number of counseling related subjects were opened in college or university. Therefore, preliminary teachers couldn't get high efficacy of counseling. So they feared about counseling and avoid of counseling tasks. The professors of counseling awared many problems of teacher education like number of counseling subjects, contents and methods of teachings, way of teacher selection, and quality of counseling professors. In addition, we got the items about necessary teaching contents in teacher education from the point of quasi professional counselor education.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were provided for the future teacher education. 본 연구는 준전문상담자 양성이라는 측면에서 예비교사들에게 상담교육을 반드시 실시해야 하지만, 현재 그 내용, 방법, 교육과정 측면에서 문제가 있음을 규명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교육을 담당하고 있는 사범대, 교육대, 일반대학 교직과정 및 교육대학원 수업 중 상담관련 교육의 비중을 확인하였다. 이후 현직 상담교수들을 대상으로 상담자 교육의 관점에서 현재의 예비교사 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도출한 결과 상담 교과목 개설 및 수업 시수, 교육내용 및 수업 방식, 교사 선발 방식, 상담 교육 전문가의 자질 등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이에 더하여 준전문상담자 양성교육을 위한 필수항목을 살펴본 결과 전문상담자 양성교육에서 제안된 내용과 동일한 내용-상담 이론, 상담 기법, 심리 검사, 집단상담이론, 상담 윤리-도 있었지만 학부수준에서 그리고 학교 현장에서 학습되어야 할 다양한 교육내용-학업 및 진로상담, 청소년 이해 및 문제행동, 위기문제, 다문화교육, 진단 및 평가, 다문화 교육, 자문 등-도 제안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 교육정책, 상담 교육 실제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대학생용 학습행동 검사도구 개발

        손은령,김연중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learning behavior inventory for college students who have problems in studying. First developed 126 items were evaluated from 5 professionals, and then 19 items were deleted and 48 items were revised for pilot test. 160 college students took the pilot test of 107 items and after analyzing the pilot test results, the final test of 79 items was administered to 443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factor analysis, College Students' Learning Behavior Inventory which has 6 factors of 40 items was developed. 6 factors were named as Information Processing, Object Performance and Self- Management, Class Participation and Task Achievement, Test Management and Review, Cognition․Meta-cognition, Learning Motivation and Habit.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method validates 6 factor structure. The factor structure was well reflected in characteristics of learning behaviors in Korean college students. The average difference between high academic achievement group and low academic achievement group in the score Learning Behavior Inventor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and practical meanings were discussed. 본 연구에서는 학습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들이 자신의 학습행동 문제를 쉽게 파악하고 이를 보완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기존도구 고찰, 대학생 대상 설문을 통해 8개 하위요인, 총 126문항의 예비문항을 구성하였다.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전문가 5인에게 내용의 적절성과 문장의 정확성에 대한 평정을 받아 19문항을 삭제하고 48문항을 수정 보완하여 최종 107문항의 예비검사 도구를 제작한 후, 남․여 대학생 160명을 대상으로 예비검사를 실시하였다. 문항분석을 통하여 구성한 79문항의 검사 도구를 가지고 남․여 대학생 443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요인분석을 한 결과, 최종적으로 6개 하위요인 40문항으로 구성된 대학생 학습행동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으며 각각의 요인은 정보처리(6문항), 목표실행 및 자기관리(9문항), 수업참여 및 과제수행(6문항), 시험관리 및 검토하기(6문항), 인지ㆍ초인지(7문항), 학습동기 및 습관(6문항)으로 명명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적합도 지수를 구한 결과, 요인구조의 안전성을 검증하였으며 개발한 도구의 전체 신뢰도는 Cronbach-α 계수가 .91이고 각 하위 요인별 신뢰도는 .71〜.81로 나타났다. 한편 개발한 검사도구의 변별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학업성취 상·하 집단 간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6개 하위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차이가 나타났다.

      • 대학생의 개인적 변인과 지각된 진로 장벽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손은령 한국진로교육학회 2002 진로교육연구 Vol.1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any personal variable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variable to the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of college students. In this study personal variables mean sex, grade, major and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Demographic and academic background questionnaire, Career Barriers Inventory and Career Decision Scale were administerd to 375 college students. The analysis show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major satisfaction level, major and grade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Second, career decision level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major, major satisfaction level and perception level of career barriers. Third, the major satisfaction level explained 14.1%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And perceived career barriers and major explained 6.1% and 1.2% of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 making level.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implications of career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were widely discussed with relation to the previous researched and the limitations of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