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영양집중지원팀 자문 의뢰 및 순응 여부에 따른 중환자실 환자의 영양상태 비교
손윤진,현태선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2022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Vol.27 No.2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f the nutrition support team (NST) on the nutritional status of critically ill patient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176 adult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and received enteral or parenteral nutrition for more than 7 days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the NST and non-NST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were referred to the NST or not. The NST group was further classified into the compliance and non-compliance groups depending on their compliance with the NST recommendations. Results: The NST referral rate was 56.8%, and the rate of compliance with the NST recommendations was 47.0%. Significantly higher energy and protein were provided to the NST and the compliance groups than to the non-NST and the non-compliance groups. The proportion of patients who reached the target calories after the initiation of enteral nutr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ST and the compliance groups than in the non-NST and the non-compliance groups. The serum albumin and hemoglobin levels significantly decreased in every group, but the chang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the compliance group. The nutritional status at discharge from the intensive care unit compared to the status at admission was significantly worse in the NST, non-NST, and non-compliance groups. However, the status was maintained in the compliance group. The length of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compliance group. Conclusions: Compliance with the NST recommendations was found to provide more calories and protein and prevent the deterioration of the nutritional status of critically ill patients. Therefor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staff and the NST from the early stages of admission to the intensive care unit is needed to improve referrals to the NST and compliance with the recommendations.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전염이 공감적 이해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
손윤진,이수림 한국상담학회 2019 상담학연구 Vol.20 No.5
본 연구에서는 Arizmendi(2011)가 제안한 공감 이론을 바탕으로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전염이 공감적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도 일대에 거주하는 2에서 6세의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정서전염 척도,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 공감적 이해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수집된 370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한 매개모형을 검증하였다. 상관분석 결과에서 대부분의 주요변인 사이에 유의한 상관이 나타났다. 매개모형 검증 결과, 정서전염과 공감적 이해의 관계에서 정서인식 명확성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경로가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정서전염이 자녀에 대한 공감적 이해로 가는 데 정서인식 명확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emotional clarity on the process of emotional contagion affecting empathic understanding for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based on the empathy theory of Arizmendi(2011). Using Emotional Contagion Scale (ECS), Barret-Lennard Relationship Inventory (BLRI), Trait Meta-Mood Scale (TMMS), Mood Awareness Scale (MAS) as the measurement scale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70 mothers with young children ages 2-6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Correlation analysis result shows that there a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emotional clarity,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for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Result of analyz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a complete mediation effect of mother’s emotional clarity on relation of mother’s emotional contagion and empathic understanding. Moreover, the empathic understanding formation for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shows that the path through the mother’s emotional contagion and emotion clarity is significant. This study confirms that emotional contagion and emotional clarity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empathic understanding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2012년 제11회 KSPEN 학술대회 : P-10 ; 경장영양 및 정맥영양 치료 환자에서 발생한 전해질 불균형 빈도 비교 분석
전현정,이정옥,손윤진,조민자,임은아,박진우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2012 한국정맥경장영양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2 No.-
연구배경: 영양치료는 기저 질환의 합병증 최소화를 통해 환자의 예후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적극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효과적인 영양치료는 효율적인 영양공급과 영양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예방을 위해 집중적인 모니터링과 이에 대한 관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영양치료 중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은 혈당상승, 감염 및 영양재개증후군 등 다양하며 전해질 불균형 역시 발생하기 쉽다. 전해질 불균형은 임상적 특성보다는 주로 주기적인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하기 때문에 사전에 미리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영양치료환자를 대상으로 전해질 불균형 빈도를 알아보고 전해질 불균형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을 영양치료방법에 따라 비교 분석하여 영양치료 시 수액 및 전해질 보충에 대한 영양 계획 치료 수립 근거를 마련하는 데있다. 연구방법: 2011년 1월부터 2012년 9월까지 충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를 중 정맥영양공급 및 경장영양공급 받는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영양공급 전 각 환자의 전해질을 측정하였고 이와 함께 영양검색을 시행하였다. 영양검색은 충북대학교병원 영양검색 시스템 (체질량지수, 알부민, 총콜레스테롤, 총림프구수)을 사용하여 판정하였다. 영양공급 7일 째에 영양 판정과 함께 전해질을 측정하였으며 이와 함께 7일간 보충된 수액과 전해질 용량을 측정하여 전해질 이상 유무에 따라 각 군의 임상적 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환자는 총 192명으로 정맥영양치료환자 93명, 경장영양치료환자 99명으로 구성되었다. 전해질불균형은 전체 환자의 46.9% (90명) 정도로 관찰되었다. 나트륨(Na+) 이상은 38% (73명) 이었으며, 칼륨(K+) 이상은 15.6% (30명)으로 나타났다. 정맥영양치료환자군과 경장영양치료환자군으로 분류하여 양군 간의 전해질 불균형 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정맥영양치료환자군에서 전해질 불균형은 57% (53명), 경장영양치료환자군에서 전해질 불균형은 37.4% (37명)로 나타나 정맥영양치료환자군에서 전해질 불균형 빈도가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나트륨 이상 빈도는 양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나(정맥영양치료군 vs. 경장영양치료군 : 43% vs. 33.3%) 칼륨 이상 빈도는 정맥영양치료군 23.7%, 경장영양치료군 8.1%로 정맥영양치료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정맥영양치료군에서 전해질 불균형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에서 나트륨 140.05±3.94 mEq/L vs. 133.40± 5.71 mEq/L, 칼륨 4.31±0.38 mEq/L vs. 3.93±0.67 mEq/L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경장영양치료군에서 전해질 불균형 유무에 따른 임상적 특성에서는 나트륨 139.50±2.71 mEq/L vs. 132.68±5.55 mEq/L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었으나 칼륨에서는 4.28±0.48 mEq/L vs. 4.12±0.62 mEq/L로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영양치료 환자에서 전해질 불균형은 46.9%로, 수액 보충 요법 및 전해질 보충 요법에도 불구하고 비교적 많은 환자에서 나타났다. 정맥영양환자군에서 경장영양환자군에 비해서 칼륨 전해질 이상이 임상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정맥영양환자군은 영양치료계획 수립 시에 보다 적극적인 전해질 보충 및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백재옥,최공영,손윤진 국방대학교 국가안전보장문제연구소 2022 국방연구 Vol.65 No.3
Mid-term Defense Program should be established in effective manner in order to flexibly respond to changes in defense environment. This study conducts the job analysis and the survey to derive the development plan for Mid-term Defense Program in Force Operation. The results identified such resolutions, firstly, the Ministry of National Defense(MOD) should strengthen resource allocation system to ensure its control-tower function and should provide fiscal guidance which includes expenditure limits. Divisions regarding Mid-term Defense Program could also be separated from MOD's Programming and Budgeting Bureau in terms of reorganization. Secondly, MOD's program divisions should develop middle and long term plan by field and should organize discussion system to reinforce its own function such as programming and policy. Lastly, this study suggests implementing the system of identifying, selecting, amnaging targeted program which nedds analysis conducted by external specialists in order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Analysis and Evaluation. 국방환경의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방정책을 고려한 재원배분 계획 등 실효성 있는 국방중기계획의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전력운영 분야의 국방중기계획의 발전 방안을 도출하고자 국방부 및 각 군 관련부서에 대한 직무분석,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런 과정을 통해 첫째, 국방부의 컨트롤 타워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가용재원의 합리적 배분 판단체계를 강화하고, 지출한도를 포함한 재정지침 제공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조직 재편 차원에서 국방부 계획예산관실 내 중기계획 조직을 분리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둘째, 국방중기계획의 계획 및 정책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국방부 사업국에서 분야별로 중장기 계획서를 발전시키고 협의 체제를 구축하고 내실화할 것을 강조하였다. 셋째, 국방중기계획의 분석평가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분석평가 대상사업의 식별, 선정, 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외부 전문 분석평가 수행체계 구축을 제안하였다.
김경곤,최수빈,손윤진 한국국방연구원 2021 국방정책연구 Vol.37 No.2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equipment and supplies of the disaster response units which have been designated as the military's national disaster emergency rescue and relief support agency. This study finds that the retention rate was low compared to the accreditation. To raise the rat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level of the total equipment and supplies of the unit to which the disaster response unit belongs when determining the quantity of accreditation through the equipment compilation and the material distribution standard. In addition, if redundant investment is prevented through information sharing with other disaster-related organizations, the utilization of equipment and supplies can be improved.